• 제목/요약/키워드: neutral lipase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6초

전통 명태식해 숙성중의 미생물 및 효소학적 특성 (Microbiological and Enzymatic Characteristics in Alaska Pollack Sikhae during Fermentation)

  • 차용준;김소정;정은정;김훈;조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709-1714
    • /
    • 2004
  • 숙성온도 조건(5$^{\circ}C$, 2$0^{\circ}C$ 및 변온조건)을 달리한 명태식해에서 숙성에 지배적으로 관여하는 미생물상의 변화 및 효소학적 특성을 구명하였다. 2$0^{\circ}C$조건의 숙성초기에는 단백질분해균이나 Lactobacillus속 및 Pediococcus속이 총균수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숙성 10일 이후에는 단백질분해 3, Leuconostoc속, Streptococcus속 및 Pediococcus속의 감소가 총균수의 감소에 기여하였고 숙성 10일 이후의 총균수는 Lactobacillus속, Pediococcus속 및 효모가 대부분이었다. 변온조건의 경우 숙성 10일 이후에도 총균수가 일정수준을 유지하였는데, 이는 Lactobacillus속, Pediococcus속 및 Streptococcus속이 변온 이후에도 균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2$0^{\circ}C$와 변온에서 숙성 10일 이후의 균증식 양상은2$0^{\circ}C$의 경우효모의 증식이 우세한 반면에, 변온에서는 Streptococcus속의 증식이 우세하였다. 반면 5$^{\circ}C$의 경우 Lactobacillus속이 숙성초기에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특히 Leuconostoc속이 다른 조건의 비해 오래 지속되었다. 산성단백질분해효소 및 지방분해효소 활성은 온도에 민감하여 2$0^{\circ}C$일 때가 5$^{\circ}C$보다 활성이 높은 반면 중성 단백질분해효소와 지방분해효소는 온도에 따른 활성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변온조건에서는 단백질분해효소의 경우 실활 되었고, 지방분해효소는 온도변화에 적응력이 존재하여 활성 이 유지되었다.

Dietary ε-Polylysine Decreased Serum and Liver Lipid Contents by Enhancing Fecal Lipid Excretion Irrespective of Increased Hepatic Fatty Acid Biosynthesis-Related Enzymes Activities in Rats

  • Hosomi, Ryota;Yamamoto, Daiki;Otsuka, Ren;Nishiyama, Toshimasa;Yoshida, Munehiro;Fukunaga, Kenji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0권1호
    • /
    • pp.43-51
    • /
    • 2015
  • ${\varepsilon}$-Polylysine (EPL) is used as a natural preservative in food.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ssess the beneficial functions of dietary EP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inhibition of neutral and acidic sterol absorption and hepatic enzyme activity-related fatty acid biosynthesis following EPL intake. EPL digest prepared using an in vitro digestion model had lower lipase activity and micellar lipid solubility and higher bile acid binding capacity than casein digest. Male Wistar rats were fed an AIN-93G diet containing 1% (wt/wt) EPL or L-lysine. After 4 weeks of feeding these diets, the marked decrease in serum and liver triacylglycerol contents by the EPL diet was partly attributed to increased fecal fatty acid excretion. The activities of hepatic acetyl-coenzyme A carboxylase and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which are key enzymes of fatty acid biosynthesis, were enhanced in rats fed EPL diet. The increased fatty acid biosynthesis activity due to dietary EPL may be prevented by the enhancement of fecal fatty acid excretion. The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EPL was mediated by increased fecal neutral and acidic sterol excretions due to the EPL digest suppressing micellar lipid solubility and high bile acid binding capacity. These results show that dietary EPL has beneficial effects that could help prevent lifestyle-related diseases such as hyperlipidemia and atherosclerosis.

CGI-58 Protein Acts as a Positive Regulator of Triacylglycerol Accumulation in Phaeodactylum tricornutum

  • Qin Shu;Yufang Pan;Hanhua H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2호
    • /
    • pp.242-250
    • /
    • 2023
  • Comparative gene identification-58 (CGI-58) is an activating protein of triacylglycerol (TAG) lipase. It has a variety of catalytic activities whereby it may play different roles in diverse organisms. In this study, a homolog of CGI-58 in Phaeodactylum tricornutum (PtCGI-58) was identified. PtCGI-58 was localized in mitochondria by GFP fusion protein analysi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reported subcellular localization of CGI-58 in animals and plants. Respectively, PtCGI-58 overexpression resulted in increased neutral lipid content and TAG accumulation by 42-46% and 21-32%. Likewise, it also increased the relative content of eicosapentaenoic acid (EPA), and in particular, the EPA content in TAGs almost doubled. Transcript levels of genes involved in de novo fatty acid synthesis and mitochondrial β-oxidation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PtCGI-58 overexpression strains compared with wild-type cells. Our findings suggest that PtCGI-58 may mediate the breakdown of lipids in mitochondria and the recycling of acyl chains derived from mitochondrial β-oxidation into TAG biosynthesis. Moreover, this study potentially illuminates new functions for CGI-58 in lipid homeostasis and provides a strategy to enrich EPA in algal TAGs.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Enzymatic Activity of Halotolerant and Halophilic Fungi from the Great Sebkha of Oran in Northwestern of Algeria

  • Chamekh, Rajaa;Deniel, Franck;Donot, Christelle;Jany, Jean-Luc;Nodet, Patrice;Belabid, Lakhder
    • Mycobiology
    • /
    • 제47권2호
    • /
    • pp.230-241
    • /
    • 2019
  • The Great Sebkha of Oran is a closed depression located in northwestern of Algeria. Despite the ranking of this sebkha among the wetlands of global importance by Ramsar Convention in 2002, no studies on the fungal community in this area have been carried out. In our stud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wo different regions. The first region is characterized by halophilic vegetation and cereal crops and the second by a total absence of vegetation. The isolated strains were identified morphologically then by molecular analysis. The biotechnological interest of the strains was evaluated by testing their ability to grow at different concentration of NaCl and to produce extracellular enzymes (i.e., lipase, amylase, protease, and cellulase) on solid mediu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il of sebkha is alkaline, with the exception of the soil of cereal crops that is neutral, and extremely saline. In this work, the species Gymnoascus halophilus, Trichoderma gamsii, the two phytopathogenic fungi, Fusarium brachygibbosum and Penicillium allii, and the teleomorphic form of P. longicatenatum observ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species,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in Algeria. The halotolerance test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the isolated are halotolerant. Wallemia sp. and two strains of G. halophilus are the only obligate halophilic strains. All strains are capable to secrete at least one of the four tested enzymes. The most interesting species presenting the highest enzymatic index were Aspergillus sp. strain A4, Chaetomium sp. strain H1, P. vinaceum, G. halophilus, Wallemia sp. and Ustilago cynodontis.

대두발아(大豆發芽)중 지질대사(脂質代謝)에 관한 연구-제2보(第2報) Lipoxygenase activity 및 지방산(脂肪酸)의 변화에 관하여- (Studies on the Lipid Metabolism of Soybean during its Germination-(Part 2) Changes on lipoxygenase activ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soybean during germination-)

  • 신효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7권4호
    • /
    • pp.247-256
    • /
    • 1974
  • 한국산의 대두를 $21{\sim}25^{\circ}C$의 암소(暗所)에서 10일동안 발아(發芽)시키면서 2일 간격으로 두아(豆芽)를 채취하여 자엽부(子葉部)와 배축부(胚軸部)의 2부분으로 분리한 후 이 두 lipoxygenase activity와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phospholipid 및 조지방(粗脂肪)의 구성지방산의 변화를 각각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발아중 자엽부(子葉部)의 lipoxygenase activity는 2일 후부터 급속히 감소하였으나 배축부(胚軸部)에서는 2일 후부터 서서히 증가하였다. 이와같은 lipoxygenase activity의 변화는 자엽부(子葉部)에서 linoleic 및 linolenic acid의 감소경향과 배축부(胚軸部)에서 이들 지 방산의 증가경향과 동일하였다. (2) 발아중 자엽부(子葉部)에서 추출한 triglyceride fraction의 요오드값은 계속 감소 하였으나 배축부(胚軸部)에서는 큰 변화없이 일정하였으며 배축부(胚軸部)의 요오드값은 자엽부(子葉部)의 것보다 낮았다. (3) 발아중 자엽부(子葉部)의 triglyceride의 구성지방산중 palmitic acid의 함량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stearic acid는 계속 증가하였고 oleic acid는 증감의 변화가 불규칙적이며 linoleic 및 linolenic acid는 계속 감소하였다. 그러나 배축부(胚軸部)에서는 palmitic acid의 함량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linoleic 및 linolenie acid의 함량은 계속 약간씩 증가하였고 stearic 및 oleic acid는 불규칙적으로 함량의 변화가 심하였다. (4) 발아중 자엽부(子葉部) 및 배축부(胚軸部)에서 추출한 free fatty acid fraction의 모든 구성지방산은 불규칙하게 그 증감의 변화가 심하였다. 이와같은 현상은 lipase의 분해로 생성된 각종 지방산은 생합성(生合成)과정이나 에너지 발생과정에 무작위(無作爲)하게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5) 발아증 기수(奇數)탄소수의 지방산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는바 이는 대두발아중 지방산은 $C_2$-unit로 분해 및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6) 자엽부(子葉部) 및 배축부(胚軸部)에서 추출한 phospholipid 및 배축부(胚軸部)의 모든 구성지방산의 변화는 triglyceride fraction의 지방산의 변화경향과 비슷하었다.

  • PDF

Substitution of Wheat for Corn in Beef Cattle Diets: Digestibility, Digestive Enzyme Activities, Serum Metabolite Contents and Ruminal Fermentation

  • Liu, Y.F.;Zhao, H.B.;Liu, X.M.;You, W.;Cheng, H.J.;Wan, F.C.;Liu, G.F.;Tan, X.W.;Song, E.L.;Zhang, X.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10호
    • /
    • pp.1424-1431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s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wheat, as a partial or whole substitute for corn, on digestibility, digestive enzyme activities, serum metabolite contents and ruminal fermentation in beef cattle. Four Limousin${\times}$LuXi crossbred cattle with a body weight ($400{\pm}10kg$), fitted with permanent ruminal, proximal duodenal and terminal ileal cannulas, were used in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with four treatments: Control (100% corn), 33% wheat (33% substitution for corn), 67% wheat (67% substitution for corn), and 100% wheat (100% substitution for corn) on a dry matter basis. The results showed that replacing corn with increasing amounts of wheat increased the apparent digestibility values of dry matter, organic matter, and crude protein (p<0.05). While the apparent digestibility of acid detergent fiber and neutral detergent fiber were lower with increasing amounts of wheat. Digestive enzyme activities of lipase, protease and amylase in the duodenum were higher with increasing wheat amounts (p<0.05), and showed similar results to those for the enzymes in the ileum except for amylase. Increased substitution of wheat for corn increased the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concentration (p<0.05). Ruminal pH was not different between those given only corn and those given 33% wheat. Increasing the substitution of wheat for corn increased the molar proportion of acetate and tended to increase the acetate-to-propionate ratio. Cattle fed 100% wheat tended to have the lowest ruminal $NH_3-N$ concentration compared with control (p<0.05), whereas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cattle fed 33% and 67% whea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wheat can be effectively used to replace corn in moderate amounts to meet the energy and fiber requirements of beef cattle.

한국 재래식 메주 발효과정에 있어서 지질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 (Changes in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n Native Meju during Fermentation)

  • 손양도;최춘언;안봉전;손규목;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4호
    • /
    • pp.226-232
    • /
    • 1985
  • 재래식메주의 발효과정에 있어서 지질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은 분리하였으며 gas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지방산 함량은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침지한 콩과 삶은콩으로부터 얻은 조지질의 분획은 중성지질이 각각 92.47%, 92.35%이었으며, 인지질 및 당지질이 4.64%, 4.88%로 각각 나타났나. 발효과정중 중성지질은 80.59%까지 감소했으며, 당지질과 인지질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2. 침지한 콩과 삶은콩의 비극성 지질에서 triglyceride함량은 89.66%, 87.83%로 주류를 이루었고, sterol ester, free fatty acid, diglyceride 및 sterol이 발효과정중 그 함량이 증가한 반면, triglyceride는 크게 감소했다. 3. 침지한 콩과 삶은콩에서, 조지질, 증성지질, 당지질,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acid $54{\sim}58%$, oleic acid $22{\sim}20%$, palmitic acid $10{\sim}12%$, stearic acid $3{\sim}5%$였으며 myristic acid는 trace로 나타났다. 그러나 발효과정 중 당지질에서 myristic acid가 발효 2주때 부터 나타나며 약 2%정도를 유지했다. 4. 메주 발효기간 동안 지방산 함량의 변화는 palmitic acid가 2주째 부터 점차 감소했다. oleic acid와 linoleic acid는 약간씩 감소했으며, linolenic acid는 인지질에서 크게 감소한 반면, 조지질, 중성지질, 당지질에서는 약간씩 증가했다. 5. 발효기간 동안 당지질 분획에서 myristic acid가 증가하였으며,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은 3주째 최대치를 보였다. palmitic acid, stearic acid는 3주째 까지 증가한 후 차차 감소하였고 linoleic acid는 1주째 부터 6주까지 점차 증가하였다.

  • PDF

된장 발효(醱酵) 중 콩 Koji 제조(製造)과정에 있어서 지질성분(脂質成分)의 변화(變化)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hanges of Lipids during Soybean Koji Preparation for Daenjang Fermentation in Model System)

  • 이숙희;최홍식;김창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75-381
    • /
    • 1982
  • 개량식(改良式) 콩된장의 발효숙성(醱酵熟成)에 있어서 제국(製麴)과정중의 지질성분(脂質成分) 변화(變化)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고저, 삶은콩에 Aspergillus oryzae를 접종(接種)하여 3일간(日間) 제국(製麴)하고 삶은 콩과 콩 Koji에 함유하고 있는 지질(脂質)에 관한 연구를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총지질(總脂質)의 함량은 삶은콩보다 콩 Koji에서 더 높았고 요-드가(價) 및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는 제국(製麴)기간중 큰 변동이 없었으나 산가(酸價)는 크게 증가하였다. 콩 Koji제조과정에서 삶은콩 및 콩 Koji의 총지질(總脂質)을 분획한 결과, 중성지질(中性脂質)$(90{\sim}91%)$이 대부분이고 당지질(糖脂質)(1.8%) 및 인지질(燐脂質)$(7.2{\sim}7.6%)$은 상대적으로 소량이었으며, 삶은콩에 비하여 콩 Koji에서 인지질(燐脂質)의 함량이 많았다. 비극성지질(非極性脂質)은 유리지방산(39.6%)와 트리-글리세리드(29.2%)가 주요구성 성분이었으며, 이중 유리지방산은 제국(製麴)과정중 현저히 증가되었으나 트리-글리세리드는 감소되었다. 한편 극성지질(極性脂質)에서는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44.3%) 및 세레브로시드(24.0%)가 주요구성 성분이었고 제국(製麴)과정중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함량이 크게 감소하고 세레브로시드 및 모노-갈락토실 디-글리세리드는 증가하였다. 삶은콩의 총지질(總脂質) 및 트리-글리세리드 획분(劃分)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은 리놀레산(53.9% 및 54.9%)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콩지질(脂質)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과 거의 일치하였으나 삶은콩의 유리지방산 획분(劃分)에서는 총지질획분(總脂質劃分)보다 팔미트산 함량이 높았다. 또한 제국결과(製麴結果) 콩 Koji 지질(脂質)중 유리지방산 획분(劃分)에서 리놀레산 함량이 증가되었다.2%$였다. 4. 전당(全糖) 및 ascorbic acid는 선량(線量)이 증가(增加)하고 저장기간(貯藏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서 약간씩 감소(減少)하는 경향이고, 유리당(遊離糖)은 반대(反對)로 증가(增加)하였다. 5. Irish cobbler는 9개월(個月) 저장후(貯藏後)에 90%가 Shimabara는 12개월(個月) 저장후(貯藏後)에 85%가 상품적(商品的) 가치(價値)가 있었다.TEX>$131.0{\sim}499.2ppm$ (平均 : 310.16ppm), 홍조류(紅藻類) $156.0{\sim}530.4ppm$(平均 : 248.2ppm)으로써 녹조류(綠藻類)는 다른 해조류(海藻類)에 비(比)하여 특(特)히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6) 망간의 함량(含量)은 녹조류(綠藻類) $48{\sim}221ppm$ (평균(平均) : 157.25ppm), 갈조류(褐藻類) $12{\sim}65ppm$ (평균(平均) : 41ppm), 홍조류(紅藻類) $72{\sim}162ppm$ (평균(平均) : 121 ppm)의 분포(分布)로써 갈조류(褐藻類)는 특(特)히 낮은 함량(含量)을 나타내었다. 7) 아연의 함량(含量)은 녹조류(綠藻類) $191.3{\sim}451.1ppm$(평균(平均) : 290.05ppm), 갈조류(褐藻類) $89.9{\sim}374.2ppm$(평균(平均) : 202.64ppm), 홍조류(紅藻類) $106.4{\sim}281.4ppm$ (평균(平均) : 188.93ppm)이었다. 8) 마그네슘함량(含量)은 녹조류(綠藻類) $0.48{\sim}1.83%$ (평균(平均) : 1.27%), 갈조류(褐藻類)$1.04{\sim}1.71%$(평균(平均) : 1.2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