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roticism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8초

ASMR 콘텐츠 지속적 사용 영향 요인 탐색: 신경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Continuous Usages of ASMR Content: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Neuroticism)

  • 이성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112-125
    • /
    • 2019
  • 1인 방송 및 동영상 플랫폼들이 영상 소비를 위한 주요 창구로 자리잡은 상태에서 ASMR 콘텐츠가 새로운 소비의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본 연구는 ASMR 콘텐츠 이용 영향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인구사회학적 요인들, 하위 콘텐츠 유형, 이용 동기, 신경증 및 주관적 규범을 영향 가능 요인들로 설정하고 이들의 ASMR 콘텐츠 이용에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규명해보았다. 신경증의 직접 효과 이외에 조절 효과 또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들로 교육수준, 마찰 및 입소리 콘텐츠 유형, 이용 동기로서 집중, 수면장애해소, 즐거운쾌감 스트레스해소 및 주관적 규범이 ASMR 콘텐츠 이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호기심 유행 및 성적 쾌감 동기는 이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경증의 조절 효과도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ASMR 콘텐츠 이용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신경증과 같은 이용자의 성격 특성들도 영향 가능 요인으로 고려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대학생의 성격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신경증과 성실성을 중심으로-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Factor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in college students -Focus on Neuroticism and Conscientiousness-)

  • 백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19-22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 5요인 중 신경증과 성실성,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기효능감의 관계는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둘째, 성격 5요인 가운데 그 자체가 대학생의 정신건강을 의미하는 변인으로, 임상적 의미가 매우 높은 신경증과 성실성을 선정하여 신경증 및 성실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충청지역 D대학 1학년 462명을 대상으로 성격 5요인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격요인 중 신경증, 성실성과 자기효능감과의 상관 분석 결과 신경증과 자기효능감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고, 성실성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그리고 성격 5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살펴보면 성실성은 스트레스 대처방식 가운데 회피중심과 부적상관을 보였고, 신경증은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사회적지지, 문제해결중심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성격요인 중 신경증, 성실성과 스트레스대처방식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신경증 요인과 회피중심 간에 관계에서만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를 예측하기 위해 성격요인이 유용한 심리적 구인이라는 점과 특히 대학생의 정신건강의 예언변수인 신경증 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가운데 회피성향을 갖고 있는 경우 정신적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자기효능감에 대한 교육적 중재의 필요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성격특성이 통원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들의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Personality Traits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Outpatients Receiving Rehabilitation Therapy)

  • 문종훈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5-36
    • /
    • 2018
  •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personality traits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stroke outpatients receiving rehabilitation therapy. Methods : The current study included 52 outpatients who received occupational therapy in a rehabilitative and general hospital located in Incheon. Their personality traits were assessed using the Big Five Inventory-Korean Version (BFI-K), and depression was measured using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Quality of life was evaluated using the Stroke Specific Quality of Life (SS-QOL)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 Neuroticism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p<.05), and neuroticism and agreeablenes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p<.05). Additionall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p<.05). Neuroticism affected depression significantly ($R^2=.503$, p<.05). Among the five personality traits, neuroticism, agreeableness, and extraver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quality of life ($R^2=.474$, p<.05).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rsonality traits need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Neuroticism and pain catastrophizing aggravate response to pain in healthy adults: an experimental study

  • Banozic, Adriana;Miljkovic, Ana;Bras, Marijana;Puljak, Livia;Kolcic, Ivana;Hayward, Caroline;Polasek, Ozren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1권1호
    • /
    • pp.16-26
    • /
    • 2018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neuroticism, pain catastrophizing, and experimentally induced pain threshold and pain tolerance in a healthy adult sample from two regions of the country of Croatia: the island of Korcula and city of Split. Methods: A total of 1,322 participants were enrolled from the Island of Korcula (n = 824) and the city of Split (n = 498). Participants completed a self-reported personality measure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EPQ) and pain catastrophizing questionnaire Pain Catastrophizing Scale (PCS), followed by a mechanical pain pressure threshold and tolerance test. We have explored the mediating role of catastrophiz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pain intensity.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ain catastrophiz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pain intensity,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pain catastrophizing in increasing vulnerability to pain. The results also indicated gender-related differences, marked by the higher pain threshold and tolerance in men. Conclusions: This study add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personality and pain, by provid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such mechanisms in healthy adults.

신경증-스마트폰 중독-학교적응의 매개관계에 대한 자기 통제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control on the Relationship of 'Neuroticism - Smart Phone Addiction - School Adaptation')

  • 정승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243-251
    • /
    • 2017
  • 본 연구의 주된 관심은 신경증-스마트폰 중독-학교적응에 이르는 매개과정에 대한 자기 통제력의 조절효과, 즉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서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해서 가장 취약한 계층으로 인식되고 있는 중학생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녀 중학생 1,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는 자기 통제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인 학교적응의 세부 요인에 대해서는, 학교만족과 학업성취가 종속변인일 때에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으며, 대인관계가 종속변인일 때에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자기 통제력의 조절효과와 관련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자기 통제력의 수준이 높을 때에 신경증의 수준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자기 통제력의 수준이 낮을 때보다 스마트폰 중독의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의 원인과 결과를 하나의 연결된 과정으로 검증하였다는 것과 이러한 과정에 대해서 신경증과 자기 통제력이라는 2개의 성격 변인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와 관련된 시사점 및 제한점이 결론 및 논의에서 다루어졌다.

Risk Factor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 Lee, Eun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9-1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risk indicators of depressive symptoms such as demographic, socio-economical domains (age, gender, marital status, education, child, religion, income, health, friendship) and personality domains (neurotic personality, self-esteem and life goal attitude) of community dwelling elderly persons. A total of 300 community-residing elderly participants aged 65+ in a metropolitan city in Korea, were recruited for this interview survey. The interview covered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administration of the 20-item Korean Version of CES-D, the 10-item Self-esteem, the 19-item Neuroticism and the 10-itm Goal Instability scale. The prevalence of significant depressive symptoms (CES-D scale >= 21) was 31%.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high risk for depression was associated with high neuroticism, less intimate friendship, high goa1 instability, and childlessness, respectively in the order of significance. Factors in the personality domains were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than factors in the socio- economical domains. Both cultural and universal meaning of the findings was discussed with regard to intervention.

외식 산업 종사자의 성격 특성과 직업 선호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Job Preference in Foodservice Industry)

  • 김두라;강재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67-79
    • /
    • 2007
  • This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traits and the job preference in the foodservice industry. Questionnaire was held with targeting to the persons who engage in the foodservice industry, especially restaurant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analysis and disper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a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to analyze the relation with the Big Five Theory of Personality, which includes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nd neuroticism and job preference. As a result, conscientiousness, openness to experience and neuroticism were founded as the meaningful factors of effect on the job preference. In order to promote the job preference in the foodservice industry, engagement of employees who have suitable personality traits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issue in result of this study.

  • PDF

레스토랑에서의 윤리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thical Leadership in the Restaurant Industry -Focused on Ethical Context, Personality, and Job Satisfaction-)

  • 하동현;임정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63-57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organization's ethical context, leader's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and neuroticism affected his (or her) ethical leadership, and how leader's ethical leadership influenced subordinates' job satisfaction in the restaurant industry. The model was tested in hotel restaurants and family restaurants using a sample of employees in Pusan, Daegu and Gyeongsangbukdo. Empirical results confirmed that organization's ethical context, leader's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and neuroticism influenced his (or her) ethical leadership, and leader's ethical leadership affected subordinates' job satisfaction. This research findings implied managerially that firstly, top management should establish employees' ethical regulations and motivate them to work ethically through training, incentives and punishment and secondly, should employee agreeable, conscientious and anti-neurotic person through aptitude test, if possible. In the future, restaurant's successful operations and management depends on partly its ethical status.

신경증적 척도에 의한 대학생의 정신건강 평가 (A Study on Neuroticism in College Students)

  • 이중훈;박형배;정성덕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권1호
    • /
    • pp.135-147
    • /
    • 1985
  • 영남대학교 재학생의 신경증적 경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신경증 척도를 사용하여 재학생 5,869영 (남대생 : 3,893, 여대생 : 1,976명)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총 평균점수는 남대생 $13.45{\pm}7.44$이며, 여대생 $16.89{\pm}7.19$으로 여자가 남자보아 유의하게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P<0.001). 신경증 척도의 항목별 성적은 남대생은 (16) 이유없는 기분변화인 행복감이나 우울감, (38) 백일몽, (1) 현기증, (2) 심장박동증가 및 (35) 건강염려 등의 항목이 높았다 (P<0.001). 여대생은 (16) 이유 없는 기분변화인 행복감이나 우울감, (1) 현기증, (38) 백일몽, (8) 혐오경험 및 (9) 과잉신경질 등의 항목이 높았다(P<0.001). 신경증 성적 분포는 남대생 24점 이상이 10.3% (398명), 여대생 26점 이상이 13.0% (256명) 이었으며 전체중 11.1% (654명)로 여대생에서 고득점자가 많았다. 신경증과 관련된 사회정신 의학적 요인중 남녀 대학생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끼친 것은 소속대학 선택과 현재소속학과에 대한 불만족인 경우 (P<0.001) 및 자기자신의 과거, 현재, 미래의 만족도에 있어서 비관적인 경우 (P<0.001) 등에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보였다. 또 학비부담자에서 남대생은 부모로 부터 학비를 받는 경우 (P<0.01) 및 여대생은 형제자매로 부터 학비를 받는 경우가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보였다. 남대생 단독으로 고득점율에 유의하게 영향을 끼친 요인은 1학년일 경우 (P<0.001), 월잡비에서 일만원 이하의 용돈을 쓰는 경우였으며, 그리고 여대생에서는 성장지별에서 읍단위인 경우 (P<0.05)와 현재거주지별에서 기타인 경우 (P<0.001) 등이었다. 상관계수 (r=0.40 이상)는 신경증척도 (33) 활동력 저하 및 (2) 심장박동 증가 등은 불안척도 (8) 피로감 (r=0.46) 및 (1) 심계항진 (r=0.45) 등이었고, 신경증 척도 (2) 심장박동증가 및 (33) 활동력 저하 등은 우울척도, (9) 심계항진 (r=0.48) 및 (10) 피로감 (r=0.42) 등에 각각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 PDF

SCL-90-R을 사용한 사상체질별 심리정신 특성 연구 (Neurotic Characteristics of Sasang Types with SCL-90-R)

  • 채한;이수진;박소정;김병주;홍진우;황민우;이상남;한창현;권영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22-726
    • /
    • 2010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euroticism related to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Sasang types using SCL-90-R with 107 students from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haani University. We did ANOVA analysis with seven neuroticism-related sub-scales and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atization (F=3.701, p=0.028) and hostility (F=4.396, p=0.015). The post-hoc analysis showed that the So-Yang type ($23.17{\pm}8.95$) has significantly (p=0.048, p=0.012) higher score than Tae-Eum ($19.25{\pm}5.97$) and So-Yang($19.25{\pm}5.76$) type in somatization. In hostility, the So-yang type ($11.31{\pm}3.98$) has significantly (p=0.011, p=0.015) higher score than Tae-Eum ($8.80{\pm}2.61$) and So-Eum ($9.44{\pm}3.35$) type. The ANOVA analysis with female subjects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xiety (F=3.88, p=0.03) and hostility (F=5.04, p=0.01). The post-hoc analysis showed that the So-Yang type ($20.36{\pm}5.44$, $12.36{\pm}3.82$) has significantly (p=0.043, p=0.015) higher score compared to the So-Eum type ($15.46{\pm}3.36$, $8.69{\pm}2.06$) in anxiety and hostility. The profile analysis using seven neuroticism-related subscalesof SCL-90-R did no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Flatness with Greenhouse-Geisser (F=202.347, p=0.0001), Parallelism with Greenhouse-Geisser (F=1.428, p=0.191)).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neuroticism in Sasang typology and SCL-90-R somatization, anxiety and hostility scales. This study showed opposite results compared to the previous studies that So-Eum type has higher neuroticism compared to the So-Yang and Tae-Eum type. The reason for this discrepancy between this and previous studies, and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hould be examined thoroughly with larger and balanced sam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