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omycin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35초

Analysis of antibiotic residues in milk from healthy dairy cows treated with bovine mastitis ointment using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electrospray tandem mass spectrometry

  • Park, Eun-Kee;Ryu, Yong-Jae;Cha, Chun-Nam;Yoo, Chang-Yeul;Kim, Suk;Lee, Hu-Jang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233-239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penicillin G (PEG), streptomycin (STR) and neomycin (NEO) residues in milk of healthy lactating cows. Milk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ll four quarters of 12 dairy cows 2−7 days after intramammary infusions of an ointment containing PEG, STR and NEO once (n = 4; group I) or twice (n = 4, group II) daily.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electrospray tandem mass spectrometry was used to determine the antibiotic residues in the sampl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2$) of the calibration curves for all antibiotics was > 0.999 and the limits of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were $0.002-0.005{\mu}g/mL$ and $0.007-0.02{\mu}g/mL$, respectively. Recovery rates were ranged from 75.5 to 92.3%. In group I, PEG, STR and NEO residues were detected in milk at 2, 3 and 2 days post-treatment, respectively, which were below the maximum residue limit (MRL). In group II, PEG, STR and NEO residues were detected in milk at 2, 3 and 3 days post-treatment, respectively, which were bellow the MR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3-day for milk withdrawal period after the ointment treatment might be sufficient for reduction of the antibiotic residues below the MRL.

낙동강 하류에 분포하는 남조류 Microcystis aeruginosa의 무균분리 및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분석 (Axenic Isolation and 16S rRNA Gene Sequence of the Cyanobacterium Microcystis aeruginosa in Downstream of Nakdong River)

  • 박홍기;정은영;이유정;정종문;홍용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8-163
    • /
    • 2002
  • 남조류 Microcystis aeruginosa를 무균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낙동강 물금지역의 수화를 멸균 증류수로 vortex 전처리를 하였으며, 세균제거 및 무균상태를 계속 유지하기 위하여 항생물질(ampicillin 150 $\mu$g/$m\ell$, neomycin 25 $\mu$g/$m\ell$)을 배지에 첨가하고, 독립 집락으로 형성시켜 오염 기회를 줄이기 위하여 0.7% agarose로 고형화시킨 CB고체배지에서 3$0^{\circ}C$, 40 $\mu$mol m$^{-2}$ s$^{-1}$ 광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그 결과 분리되어진 26개의 Microcystis aeruginosa colony 중 3개의 무균 균주만이 확보되었다. 3개의 무균균주를 16S rRNA primer를 이용하여 PCR 증폭한 결과 M. aeruginosa AF 139292와 99.5에서 100%의 상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Particle Bombardment에 의한 고구마의 형질전환 (Genetic Transformation of Sweet Potato by Particle Bombardment)

  • 민성란;정원중;이영복;유장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29-333
    • /
    • 1998
  • Escherichia coli의 $\beta$-glucuronidase (GUS) 유전자를 고구마의 배발생세포괴에 particle bombardment로 도입하여 재분화 식물체에 발현시켰다. CaMV35S-GUS 융합유전자와 선발표지로서 neomycin phosphotransferase유전자가 들어있는 binary 운반체 pBI121 DNA를 텅스텐 입자로 코팅하여 정단분열 조직 유래의 배발생 세포괴에 bombarding하였다. Bombarding된 세포괴를 1mg/L 2,4-D와 100mg/L kanamycin이 첨가된 MS 배지로 옮겨 한달 간격으로 6개월동안 계대배양하였다. Kanamycin 저항성 캘러스를 0.03mg/L 2iP, 0.03 mg/L ABA 및 50 mg/L kanamycin이 들어있는 MS 배지로 옮겨 체세포배를 유도하였고, kanamycin이 첨가되지 않은 MS 기본배지에서 식물체로 발달시켰다. 토양에서 생육중인 6개체의 식물을 대상으로 PCR과 northern분석을 수행한 결과 GUS 유전자가 식물체 genome에 안정적으로 도입, 발현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조직화학적 분석으로 GUS 유전자가 형질전환 식물체에서 발현됨을 밝혔다.

  • PDF

원유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fermentum 450의 생리적 특성과 면역활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mmunomodulation Activity of Lactobacillus fermentum 450 isolated from Raw Milk)

  • 한누리;박선영;임상동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2호
    • /
    • pp.93-102
    • /
    • 2015
  • 본 연구는 원유로부터 면역증진 젖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고, 이 균주의 생리적 특성을 규명하여 상업적으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Modified MRS 분별배지를 사용하여 노란색 집락을 형성하는 균주를 대상으로 면역활성이 높은 균주를 선발한 결과, D205 균주가 최종 선발되었다. D205 균주는 $IL-1{\alpha}$, $TNF-{\alpha}$, NO 값이 각각 2,500pg 이상/mL, 2,000 pg 이상/mL, $11.55{\pm}2.95{\mu}M$로 나타났으며, 동정결과 Lactobacillus fermentum으로 판명되었고, Lactobacillus fermentum 450으로 명명하였다. Lactobacillus fermentum 450의 최적 생장 온도는 $40^{\circ}C$이었으며, 답즙산과 산성의 pH에서 모두 우수한 생존력을나타내었다. 효소활성은 leucine arylamidase와 acid phosphatase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항생제 내성 실험 결과, kanamycin, neomycin, polymyxin B에 내성이 있는 반면 novobiocin에 감수성을 나타냈으며,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 63.86%의 억제 효과를 지니고 있으나, Escherichia coli와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서는 항균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사람 모발에 부착되어 있는 세균의 동정 및 항생제 감수성 (Identification of Bacterial Strains Adhered to Human Scalp Hair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 이문숙;한효심;정재성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7-52
    • /
    • 2005
  • 사람의 모발에 부착되어 있는 세균을 분리 동정한 후 이 세균들의 항생제 감수성을 확인하였다. 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는 환자와 건강인의 모발에서 39개의 세균을 분리한 결과, Staphylococcus epidermidis가 19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S. aureus가 14주, S. waneri가 5주, S. pasteuri가 1주 순으로 나타났다. Amikacin, ampicillin, bacitracin, carbenicilline, cefazolin , cefoperazone , chloramphenicol, erythromycin, gentamicin, methicillin, nalidixic acid, neomycin, oxacillin, penicillin, streptomycin, tetracycline, vancomycin에 대한 내성을 디스크 확산법으로 확인하였다.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세균들은 모두 입원환자의 모발로부터 분리된 것들이었다. 사람의 모발에 부착된 세균을 제거하기 위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모발 세정제와 계면활성제인 SDS를 처리하였으나 제거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람의 모발에 부착되어 있는 세균들이 병원 등에서 교차 감염원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며, 모발에 부착되어 있는 세균 소독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주었다.

형질전환(形質轉換)된 포플러의 딱정벌레에 대한 저항성(抵抗性) 유전자(遺傳子)(Proteinase Inhibitor II) 발현(發現) (Gene Manipulation of Pin 2(Proteinase Inhibitor II) to the Cottonwood Leaf Beetle(Coleoptera : Chrysomelidae) in Transgenic Poplar(Populus deltodies × P. nigra))

  • 강호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4호
    • /
    • pp.407-414
    • /
    • 1997
  • 외래 저항성 유전자, Proteinase inhibitor II가 형질전환된 3계통의 벨기에 포플러를 대상으로 딱정벌레에 대한 유전자 발현정도가 기내에서 조사되었다. 포플러 계통은 선발 유전자로서 Nos-promoter와 Neomycin phosphotransferase gene에 의하여 조절되고 곤충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로서 CaMV-35S와 Pin2(Proteinase inhibitor II)에 의한 형질전환체이다. 특히, 형질전환된 포플러의 내충성 저항력을 조기검정하기 위하여, 조직배양을 응용한 새로운 방법으로서 곤충의 알을 표면 살균하여 기내의 조직배양묘와 배양하는 동시배양 방법이 이용되었다. 형질전환된 포플러의 저항성은 기내에서 유충에 의해 섭취된 잎면적, 잎 섭취에 의한 유충의 무게 증감, 유충의 성장단계 등에 의하여 조사되었다. 특히, 잎면적은 각각의 LPI(Leaf plastochron index)별로 측정되었고, 잎면적, 유충의 무게, 곤충의 성장 속도는 형질전환체와 비형질전환체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기내에서 무병상태로 배양된 알들이 부화된 후, 유충의 잎 섭취도는 LPI 4와 5사이에서 가장 높았다. 본 실험의 기내 배양법은 외래유전자를 삽입한 이후에 곧바로 발현을 빠른 시간내에 조기검정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의 개발이라 할 수 있다.

  • PDF

성토의 호흡기 감염증에 관한 역학적 연구 (Epidemiological Studies on Respiratory Infection in Adullt Rabbits)

  • 손동수;김용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09-421
    • /
    • 1987
  • For the epidemiological studies of the respiratory infection from 1,918 heads of adult rabbits from January 1980 to December 1985 at an integrated farm, the causative agents were. Isolated samples 92 from of lungs and nasal discharges, and identified by serological and non-serololgical tests, the loss rates by the infection were also investigatyed, and the antimicrobial sensitivities of the isolates were determin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ellows : 1. The loss rate by respiratory infection was 11.9% among 1,819 heads which raised and 41.7% among 518 heads which lost by diseases, and the rate increased annually. 2. The loss rate of rabbits in Spring (45.0%), Summer (45.5%) and Winter (53.5%)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 < 0.01) than that in Autumn(29.1%). 3. The loss rate of Rex (56.3%)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New Zealand White (40.7%) and Californian (42.0% ). 4. P. multocida.(37.9%), B. brouchiseptica (16.0%), E. coli (10.6%) and so forth were isolated from 92 samples of lungs and nasal discharges. 5. Sixty fours trains of P. multocida were typed by serological or non-serological tests and their all serotypes were A type (62 strains) except 2 strains of untypable. 6. In antimicrobial sensitivity test for 64 isolates of P. multocida, all the strains tested were highly sensitive to chloramphenicol(95.3%), colistin (95.3%), gentamicin (92.2%), kanamycin (90.6%), neomycin (82.8%) and tetracycline (81.3%), but exhibited low sensitivity to streptomycin (26.6%), and all strains were resistant to lincomycin. 7 Twenty seven isolates of B. brouchiseptica showed higher sensitivity to cephalothin (100%), erythromycin (100% ), gentamicin (100%).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100%), chloramphenicol(88.9%), kanamycin(88.9%), neomycin (88.9%) and colistin (85.2%), but lower sensitivity to nitrofurantoin (18.5%), penicillin(18.5%). streptomycin(18.5%) and ampicillin (14.8%), and all strains were resistant to lincomycin.

  • PDF

Agrobacterium에 의한 더덕의 형질전환과 식물체 재분화 (Genetic Transformation and Plant Regeneration of Codonopsis lanceolata Using Agrobacterium)

  • 최필선;김윤성;유장렬;소웅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315-318
    • /
    • 1994
  • CaMV35S promoter-$\beta$-glucuronidase (GUS) 유전자와 선발 표지로서 neomycin phosphotransferase 유전자를 가진 pBI121 binary 벡터를 도입한 Agrobacterium turmfaciens LAB4404와 더덕 유식물체의 자엽 절편을 1 mg/L BA가 첨가된 MS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공동배양한 후 1 mg/L BA, 250 mg/L carbenicillin 100 mg/L kanamycin sulfate을 첨가한 고체배지에 옮겨 명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2주 후 절편의 절단면 부근으로부터 수많은 부정아가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이들 부정아의 GUS 활성을 조사한 결과 15%가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배양 6주 후 절편이 형성한 수많은 부정아로부터 56.7% 빈도로 shoot이 발달하였다. 이들 shoot은 기본배지에 옮겨서 4주 경과되었을 때 대부분 발근하였으며, 재분화된 개체는 토양에 이식하였다. Southem 분석결과 GUS양성을 보인 재분화 개체의 게놈 DNA에 GUS 유전자가 삽입되었음이 확인되었다.

  • PDF

구피(Poecilia reticulata)에서 수산용의약품 oxolinic acid, neomycin-oxytetracycline, florfenicol의 급성독성 및 Aeromonas salmonicida에 대한 약효 평가 (The acute toxicity and efficacy evaluation against Aeromonas salmonicida of aquatic drugs oxolinic acid, neomycin-oxytetracycline, and florfenicol in guppy (Poecilia reticulata))

  • 배준성;이채원;양찬영;정은하;김아름;채영식;박정진;박관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93-302
    • /
    • 2023
  • 본 연구는 구피(Poecilia reticulata)에서 oxolinic acid (OA), neomycin-oxytetracycline 복합제(NEO-OTC) 및 florfenicol (FF)의 급성독성을 96시간 동안 약욕투여하여 96h-LC50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활성성분 함량이 2-4%로 낮은 상업용 제제의 급성독성을 평가하여 표준품과 비교하고, 에로모나스병에 대한 치료 효능을 평가하였다. 구피에서의 급성독성은 NEO-OTC이 126.08 mg/L로 가장 높았다. OA는 염의 형태에 따라서 급성독성의 결과가 크게 상이하였다. Oxolinic acid 형태는 최고 농도인 1,000 mg/L에서도 모든 개체가 생존한 반면, 수산용의약품으로 사용되는 sodium염 형태는 96h-LC50이 504.61 mg/L로 도출되었다. 특히 모든 폐사는 OA가 용출되기 전인 24시간 이내에 발생하였다. FF의 급성독성은 매우 낮아 96h-LC50이 1,000 mg/L 이상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평가한 OA 및 NEO-OTC 상업용 제제는 산제 형태로, FF 상업용 제제는 액제 형태로 사용되었다. 부형제는 산제의 경우 glucose 및 lactose hydrate가 함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powdered corn syrup이 소량 첨가되었다. 액제의 경우 propylene glycol이 함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N-methylpyrrolidone, polysorbate 80, butylated hydroxy toluene이 소량 첨가되었다. OA 및 NEO-OTC 상업용 제제의 급성독성은 표준품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FF 상업용 제제는 현저하게 급성독성이 증가하였고, 그 이유는 아마도 상업용 제제에 함유된 유기용매나 용해보조제가 독성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추측된다. OA, NEO-OTC 및 FF 약욕투여는 단시간(2시간) 약욕투여시 각각 50 mg/L, 100 mg/L 및 15 mg/L 농도로, 장시간(24시간) 약욕투여시 각각 25 mg/L, 50 mg/L 및 7.5 mg/L 농도로 에로모나스병을 유의미하게 방어하였다. 이 결과는 급성독성이 발견되지 않는 용량 범위에서 에로모나스병 치료를 위한 용량 및 시간을 제시하였으며, 낮은 농도의 항생제를 포함한 액상제제가 부분적으로 독성을 증가시키기는 하지만 효과적으로 관상어의 질병을 치료하기에는 문제가 없음을 의미한다.

Development of Cotton Fabrics with Prolonged Antimicrobial Action

  • Kim, Young-Mi;Han, Suk-Kyu;Lee, Keyung-Jin;Kim, Youn-Tae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119-124
    • /
    • 1989
  • Cotton xanthate, which was obtained by treating cotton with carbon disulfide in alkaline solution, was treated with the solution of polyvalent metal ions to produce cotton xanthate-metal chelates. This chelation reaction was readily and simply achieved, and antimicrobial agents with suitable structures could subsequently be coupled to the chelate with ease at moderate pH values and in aqueous solution. Metal ions used in present work include Cu(II), Zn(II) and Fe(III). Tetracycline, streptomycin, neomycin and pyrithion were used as antimicrobial/antifungal agents. Antibacterial activities were measured employing ditch plate method against G(+)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us faecalis, and G(-) Escherichia coli, Enterobacter aerogenes, and the fungus, Aspergillus niger. All the cotton xanthate-metal-antimicrobial agent chelates exhibited activities whereas the cotton xanthate-metal chelates themselves were inactive. Considering the extensive washing procedures and results from control experiments, possibility of the involvement of physical adsorption for the binding of drugs could be exclud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