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eolithic period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8초

강원도 양양 오산리 쌍호 일대 Holocene 환경변화 (Environmental Change around the Coastal Lagoon Ssangho, Osan-ri, Yangyang-county, Gangwon-province in the Korean Peninsula)

  • 윤순옥;황상일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1-52
    • /
    • 2010
  • 양양 오산리 쌍호 일대의 신석기 유적지가 입지한 해안사구(S1)와 쌍호 가장자리 충적층(S4)에서 얻은 토양으로 화분분석을 행하고, 두 지점의 지형특성과 관련하여 고식생환경을 복원하였다. 신석기 유구 위에 퇴적된 해안사구(S1)의 저습지는 약 4,000년 BP 경부터 형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흑송(해송)이 전 시기동안 번성하였으며, 약 2,000년 BP를 경계로 화분대가 구분되었다. 화분대 I시기는 AP가 우점한 가운데 국화과가 우세하였고, 화분대 II는 벼과, 쑥속, 메밀 등을 중심으로 하는 NAP 우점기로서 농경 시기의 특징을 보였다. 쌍호 가장자리 충적층(S4)에서는 상부유기질층이 형성될 때, 습지 가장자리에서 번성한 오리나무속을 중심으로 하는 낙엽활엽수림과 벼과, 쑥속, 국화과, 부들속, 산형과, 여뀌속이 번성하였다. 전 시기동안 초본화분(NAP)이 목본(AP)에 비해 우점하므로, 해안사구(S1)의 화분대 II시기와 대비된다.

젓가락 문화 및 연구에 관한 문제 (On several questions concerning the reaserch of Zhu culture)

  • 조영광;박기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37-362
    • /
    • 2002
  • The history and culture of using Zhu to help take food in China is a focal question in contemporary Chinese academic circle and leads to various conflicting ideas. This article, based on original historical documents, archaeological findings, cultural relic authentication, field investigation and the author's long-term thinking, comes up with a series of new conclusions. Firstly, Zhu emerged and developed along with cooked food and granular food served in bowls; secondly, there had been a period of using a single Zhu in China's history before two Zhus being used simultaneously; thirdly, the development of Zhu culture went through five historical periods, namely the former form, the interim form, the Jia form, the Zhu form and chopsticks form. In addition, the author gives out his unique viewpoints on some other relevant questions, including the Zhus which can be dated back to the Neolithic Age unearthed at Longqiuzhuang in Jiangsu province, Jiangzhai in Shanxi province etc, and the bronze utensils in the shape of Zhu unearthed in 1934 at Yin Dynasty ruins in Henan province.

제주도 종달리 1819번지 패총에서 출토된 뼈 유물의 분류 (A study of animal bones excavated from the shell mound of Jeju Jongdali 1819 archaeological site)

  • 강윤형;문지환;안미정;방문배;신태균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3-19
    • /
    • 2014
  • Animal bones excavated with earthenware from the shell mound at the Jeju Jongdali 1819 archeological site, where three consecutive chronological layers covering the Neolithic (B.C. 15C-B.C. 10C), early Tamra, and late Tamra periods have been identified, were morphologically classified. The majority of the bones from all three periods were broken or split. The major fauna of the mammalian bones in all periods were Cervus spp., Sus scrofa, and Bos taurus. In the early and late Tamra periods, bones of small animals including Mustela sibirica coreana, Meles meles, Rodentia, and Aves were also found in small number. The excavated bones were from all parts of the animal bodies, including head, trunk, forelimb, and hindlimb. Coll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major fauna from the Neolithic to late Tamra periods consisted of Cervus spp., Sus scrofa, and Bos taurus and that the fauna was dissected and carried to the shell mound site after hunting. Information from the bone remains in the shell mound are useful data for study of the wildlife and domestic animals living during the prehistoric period of Jeju Island.

정선 아우라지 출토 토기의 재료과학적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Material Property on Eartherwares Excavated at Auraji site in Jeongseon)

  • 이병훈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545-55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정선 아우라지 유적에서 출토된 신석기시대 및 청동기시대 토기 총 11점을 대상으로 재료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불석결과, 청동기시대 조기 토기의 염기성 및 산성 성분은 신석기시대 토기와 청동기시대 전기 토기의 중간 영역에서 분포하였지만, 각 제작시기에 따른 큰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미 연구되었던 강원지역 출토 토기와 비교해본 결과, 정선 아우라지 출토 토기는 영동지역 출토 토기보다 산성 성분이 적은 경향성을 보였으며, 염기성 성분은 출토유적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희토류 원소 분포 패턴에서는 분석대상 토기 모두 유사한 패턴 결과를 나타내어 태토원료의 모암이 동일기원임을 확인하였으며, 기 연구되었던 타 유적 토기 태토와의 비교를 통하여 정선 아우라지 출토 토기 태토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미세구조 불석결과 분석대상 토기는 대체로 점토입자 및 공극의 분포가 불규칙하며, 기질이 느슨하여 치밀한 소성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신석기시대 토기에서는 부정형 공극이 많이 확인되었으며, 점토기질과 함께 장석을 포함한 알루미노 규산염의 배열이 관찰된 반면, 청동기시대 전기 토기의 공극은 미정질 입자와 입방체 결정 등으로 채워진 부분이 다수 확인되었다. 정선 아우라지 출토 토기 태토의 주된 광물상은 제작시기와는 별개로 각 토기의 특성에 따른 광물 조성이 검출되기도 했지만, 전체적으로 유사한 조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토기의 소성온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확인되며, 약 750~850℃ 범위에서 저온소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韓國) 선사시대(先史時代) 및 삼국시대(三國時代) 주거사(住居史)의 시대구분(時代區分)에 관한 재고(再考) (A Study on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dwellings during the age of prehistory and the ancient Kingdomes)

  • 강영환
    • 건축역사연구
    • /
    • 제5권2호
    • /
    • pp.9-24
    • /
    • 1996
  • Owing to the energitic studies of the leading shcolars, some paradigmatic theories on the history of Korean dwellings have been suggested. They constructed periodization of their own and defined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with very limited historical materials. However the new historical materials have been discovered in the neighboring academic fields, which require to review the existing theories. This study aims at restructuring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dwellings during the age of The prehistory and The ancient Kingdomes. Through the study, the existing theories on the same period are reviv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new materials. I suggest a new theory on the periodiz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a. the paleolithic period(6,000,000 B.P.-10,000 B.P.) : natural shelter, the emergence of man-made dwellings b. the neolithic period(10,000 B.P.-1,000 B.C.) : construction of pit house c. the bronze period(1,000 B.C.- 300 B.C.) : construction of semi-pit house d. the early metalic period(300 B.C. - 300 AD.) : construction of house on the ground level development of the Ondol system e. the ancient kingdomes period(300 AD - 700 AD): classification of housing type

  • PDF

중국(中國)의 면조문화연구(麵條文化硏究) (A Study on Chinese Noodles)

  • 신계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07-31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inese noodles(mian tiao). Wheat seems to have been cultivated 3-4,000 years before according to the archaeological evidences from the neolithic sites. The five grains(rice, millet, beans, barley, barnyard millet) already appeared in the period prior to Chin dynasty and were used as whole grain, but it was not until Chun Chu Zhan Guo perio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flouring method stimulated the cultivation of wheat. In Chin-Han period, when water power and animal force were put into usage to facilitate the mass production of wheat flour, 'Bing', a designation for all the food made of wheat first appeared in the literature, and it was this 'Bing' that had later developed into noodles. In Wei Chin Nan Bei Chao period, roasted 'Bing', namely 'Kao-Bing' made its first appearance, and in Tang period, various noodles were created with the increase of restaurants specialized in noodles. In Song dynasty, 'La-Mian', the noodles stretched and beat from noodle dough, was first introduced, and in Yuan period, invention of drying method made the appearance of dried noodles, 'Gua-Mian', possible, which was good for easy and long preservation. Qing dynasty developed the noodles with a variety of assorted ingredients. The Chinese noodles are classified by various standards such as main ingredients, cooking methods, kinds of sauce, secondary ingredients, shape, eating method, flavor, and look.

  • PDF

East Meets West : The Introduction of Cotton Fibres in Ancient Greece

  • Margariti, Christina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13권1호
    • /
    • pp.23-25
    • /
    • 2010
  • Archaeological evidence shows that cotton fibres of the genus Gossypium were first used for textile production at Mehrgarh, Pakistan in the Neolithic period ($6^{th}$ millenium BC). Eventually the cotton plant and textiles found their way to Egypt and through there, to Greece. However, the chronological origins of the cultivation and/or use of cotton fibres in textile production in ancient Greece are ambiguous. The main sources of information are ancient written texts and excavated textile finds. Both indicate that the introduction of cotton in Greece can be placed in the mid-first millenium BC. However, it is not clear whether the cultivation of the plant and consequently the production of cotton textiles was established in that period or whether another cotton species was produced and used locally in Greece or whether isolated examples of cotton textiles had been imported in Greece before the cotton plant. A more comprehensive analytical study of surviving textile finds coupled with archaeological research for plant production and cultivation would provide the answer to these questions.

  • PDF

아산만지역(牙山灣地域)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 집자리의 시공적(時空的) 위치(位置) (Temporal-Spatial Location of Dwelling Site in Asan Bay in the Neolithic Age)

  • 구자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3호
    • /
    • pp.26-47
    • /
    • 2009
  • 아산만지역에서 조사된 신석기시대 유적 중 집자리(마을)를 중심으로 구조와 특징을 살펴본 후, 이 지역 신석기시대 집자리(마을)의 시 공간적 위치와 의미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아산만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방형이 주류를 이루며, 일부 장방형 집자리와 공존하는 예가 확인되고 있어 주목된다. 아산만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대부분 구릉지역에 위치하나, 세부적으로는 완만하고 낮은 구릉지역과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구릉지역으로 구분된다. 먼저 후자 유적들은 차령산맥의 영향으로 해발고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아산 천안지역의 구릉지역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부분 해발고도 50~80m 정도에 해당한다. 반면 전자 유적들은 삽교천과 예당평야가 넓게 펼쳐진 당진과 예산지역을 중심으로 확인되고 있어 비교적 해발고도가 낮고 완만한 구릉지역(해발고도 20~50m)에 위치하고 있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입지선택은 문화내적으로는 이들 집단의 생계경제 및 기술수준과 관련되지만, 외적으로는 이들 집단이 처한 자연환경(지형)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결과이다. 아산만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은 방사성탄소연대측정값과 출토유물을 통해 보면, 동시기 유적으로 필자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상대편년 중 II기(기원전 3,500~3,000년)에 해당한다. 이들 신석기시대 집자리(마을)는 경기(인천) 해안지역과 금강유역(충청내륙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데, 이는 대규모 마을을 이루던 경기 해안지역 집단들과 금강유역(충청내륙지역)의 대표적인 '대천리식 집자리'의 확산 및 교류에 의해 동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아산만지역은 기원전 3,500년을 전후한 시기에 두 유형의 집자리가 공존하는 역동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당시의 환경(기후) 및 생태적 사회적 변화 등 여러 요인들이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초보적인 농경의 도입에 따른 유적의 확산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한반도 중서부 출토 일부 고대 세라믹 유물의 제작기술 해석: 예비 연구 (Interpretation on Making Techniques of Some Ancient Ceramic Artifacts from Midwestern Korean Peninsula: Preliminary Study)

  • 이찬희;진홍주;최지수;나건주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73-291
    • /
    • 2016
  • 차령산맥 남북의 7개 유적에서 신석기시대 빗살무늬 토기부터 조선시대 백자까지 시대적으로 일부 시료를 선별하여 물리화학적 및 광물학적 정량분석을 통해 고대 세라믹의 제작기술과 특성을 해석하였다. 연구대상 선사시대 토기는 연질에 테쌓기한 흔적이 나타나며, 삼국시대 토기는 연질과 경질이 공존하나 자비와 저장용기는 모두 테쌓기한 반면 배식기는 물레성형하였다. 태토의 정선도가 높은 삼국시대 이후 토기와 달리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토기는 사질태토에 높은 광물 함량을 보이며, 태토보다 큰 비짐이 다량 확인된다. 청자와 백자 기질에서는 일차광물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나 고온생성 광물의 함량이 높게 동정되었다. 분석시료들은 시기에 관계없이 유적에 따라 주성분 및 미량원소에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지구화학적 거동특성도 거의 동일하여 태토의 기본적 성질은 유사한 것을 지시한다. 작열감량은 0.01~12.59wt.% 범위를 보여 편차가 크나, 선사시대에서 삼국시대로 가며 급격히 감소한다. 이들은 소성에 따른 중량감소율과 관련이 있으며, 태토의 소성도와 고온생성 광물의 검출 함량에 따라 5그룹의 추정 소성온도로 분류된다.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토기는 모두 $750{\sim}850^{\circ}C$ 그룹에 속하고, 삼국시대 토기는 $750{\sim}1,100^{\circ}C$의 소성온도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인되며, 청자와 백자는 $1,150{\sim}1,250^{\circ}C$의 고온에서 소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제작시기에 따른 태토의 정선도와 소성온도 차이는 제작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원료수급과 소성방식이 변화된 결과로 보인다. 그러나 같은 시기에도 제작방법에 차이를 보이기도 하여, 단순히 한 방향으로 진화된 발전보다는 사용 목적과 필요에 따라 활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韓國)의 전통적(傳統的) 식생활공간(食生活空間) (A Historical Study on the Achitectural Cooking and Storing Spaces in Traditional Korean Houses)

  • 주남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69-179
    • /
    • 1987
  • In the life style of the neolithic age, cooking and sleeping space was in one room dugout without differentiation of spaces, so to say one room system. Ro(a kind of primitive fire place) was used for both cooking and heating. However, in the early part of the Iron Age, the uses of Ro were separated into two major uses of cooking and heating. Especially, L-shaped Kudle(an unique under floor heating structure of Korea) was invented for the new system of heating, extending to Koguryo Period. The life style of Koguryo Dynasty could be seen through the mural paintings of tombs. For these mural paintings contain of cooking space(Kitchen), meat storage, and mill house drawing, we can recognize that houses were specialized many quaters according to their function. Also a kitchen fuel hole for preparing food was built without relation to L-shaped Kudle. But during Koryo Period, Kudle could be set up all over the room, the so-called Ondol(the unique Korean panel heating system) settled down. From this development of heating system, room could be adjacent to kitchen, and kitchen fuel hole and heating fuel hole be onething. This system was developed with variety, extending to Chosun Dynasty. In the period of Chosun Dynasty, a kitchen was made close to an Anbang(Woman's living room), and Anbangs Ondol was heated by the warmth of a cooking fireplace. Therefore Handae Puok, outer kitchen was used in summer. As for its storage space, it was seen that there were a pantry near the kitchen and a store house constructed as an independant building. In the latter, it was devided into a firewood storage, a Kimchi storage, and a rice storage, etc. Especially it is a unique feature that 'Handae-Duyju', an outer rice chest which keeps rice, was constructed as an isolated small build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