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matode parasitism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1초

소나무뿔나무좀(Orthotomicus angulatus) (딱정벌레목 : 나무좀과)에서 발견된 천적선충 신종과 기생율 (Parasitylenchus orthotomici sp. n. (Tylenchida: Allantonematidae) from Orthotomicus angulatus (Coleoptera: Scolytidae), with Note on Parasitism)

  • 추호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
    • /
    • 1989
  • 나무좀인 Orthotomicus angulatus에서 천적기생선충인 Parasitylenchus orthotomici가 신종으로 기술되었으며, 적송에서 채집된 170마리의 표본에서 51.8%가 선충에 기생되어 있었다. 한 마리의 나무좀에서 발견된 선충수는 1~97마리였다. {TEX}$F_{1}${/TEX}세대의 기생율도 43.2%~52%로 높았으며 양지쪽과 음지쪽의 서식나무간좀에는 기생율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 PDF

사과뿌리썩이선충의 침입과 기주의 해부학적 및 생화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Anatomical and biochemical Changes of Corn Roots Infected with Pratylenchus vulnus)

  • 한혜림;한상찬;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2-119
    • /
    • 1995
  • 본 연구는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vulnus)이 옥수수뿌리조직을 침입했을 때, 조직의 해부학적.생화학적 변화를 밝힘으로써 식물과 선충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이들 정보를 바탕으로 선충저항성 작물의 육종 및 선별에 활용하기 위함이다. 옥수수뿌리 표피를 뚫고 들어온 선충은 뿌리 피층에 자리를 잡고, 세포벽을 파괴하면서 다른 세포로 이동한다. 마침내 선충들은 피층의 내피와 세근의 기부에 밀집했다. P.vuinus의 암컷들은 세포내에 공간(cavity)을 형성하여 그 속에 알을 낳는 습성을 지니고 있다. 선충에 의한 주된 피해양상은 세포벽이 파괴되고 부서져서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세근의 기부에서도 관찰된다. 선충의 피해로 야기된 옥수수 뿌리의 생화학적 변화는 선충접종구와 무접종구간 총단백질양과 esterase활력조사를 통해 비교.분석되었다. Denaturing gel 상에서 총단백질양의 비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esterase 의 pattern 및 활력에서도 유의할 만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 PDF

국내서식 야외 고양이의 기생충 감염 조사 (Intestinal parasite Infections in Stray Cats)

  • 강문일;한동운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13-418
    • /
    • 2003
  • This survey of endoparasite infections among stray cats in Korea has been carried out during November 1995 to October 1997. A total of 215 stray cats were collected from SeoulㆍGyeonggi (54), Gangwon (38), Chungchong (34), Jeonla (38), and Gyeoungsang (51) areas. The positive rate of endoparasites was 184 (85.6%) cats among 215. Of isolated parasites, nematodes were the most often detected parasites especially Toxocara cati (102 cats), Ancylostoma tubaeformae (9 cats). The next most often detected parasites were cestodes (60/215; 27.9%) sepecially Spirometra erinaecei (34 cats), Taenia taeniaformis (26 cats). Opisthorchis tenuicollis was found in bile duct (9 cats) and Isospora spp. were identified in 41 cats (19.1 %). In mixed parasite infection, the rate of infections of nematodes, trematodes and protozoas was 3.3%, nematodes and cestodes with 8.8%, nematodes and protozoa with 4.2%, cestodes and protozoa with 1.9%. In parasitic infection by a considering age category, age from 2 to 4 years had the highest infection (92.3%), 1-2 years were 87.6%, over 4 years was 80.0%. 79.6 percents of the stray cats in SeoulㆍKyounggi areas were ranked the 1st in parasite infection. The next was Kyoungsang 76.5%, Kangwon 65.8%, Cholla 63.2% and Chungchong 61.8% in order. Considering age categories from birth to greater than 4 years, parasite infections were most prevalent in cats 2 to 4 years old; other ages seemed to have no effect on prevalence of parasitism. Also sex seemed to have no effect on prevalence of parasitism. In endoparasite infection, nematode and cestode infections were most frequently found, trematode infections were low, coccidiosis was showed very often.

Mermithid 선충을 이용한 벼멸구의 생물적방제 (Biological Control of the Brown Planthopper by a Mermithid Nematode)

  • 추호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07-215
    • /
    • 1994
  • 벼멸구(Nilaparvata lugens)는 아시아의 중요한 벼해충이다. 현재의 방제법은 주로 살충제와 저항성 품종에 의존하고 있다. 한국에서의 가장 중요한 생물적 방제인자는 자연 발생하고 있는 mermithid선충의 한종인 Agamermis unka로 생각된다. 벼멸구에의 기생율이 비록 장소와 해에 따라 변이가 높다하더라도 Mermithid 선충은 기주의 생식력을 감소할 뿐만아니라결과적으로 기주티사를 가져오기 때문에 전망이 밝은 생물적 방제인자이다. Mermithid 선충은 벼멸구가 년 3~4년세대를 경과하는데 비하여년 1세대를 나나 Mermithid선충 암컷은 일시에 산란을 하지 않기 때문에 전세대의 많은 벼멸구가 기생된다. 본 Mermithid선충은 완전기생충으로 대량생산 기술이 아직 개발되지 않아 개체군 억제를위한 증대법을 단지 제한적인 범위에서 가능하다. 그러나 재배적 방법이나 저항성 품종의 이용, 살충제와의 혼용을 통한 자연발생 선충 개체군을 보존함으로서 효과적인 벼멸구의 종합방제를 이룰 수 있다.

  • PDF

Applicatio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during the Acclimatization of Alpinia purpurata to Induce Tolerance to Meloidogyne arenaria

  • da Silva Campos, Maryluce Albuquerque;da Silva, Fabio Sergio Barbosa;Yano-Melo, Adriana Mayumi;de Melo, Natoniel Franklin;Maia, Leonor Cost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3호
    • /
    • pp.329-336
    • /
    • 2017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olerance of micropropagated and mycorrhized alpinia plants to the parasite Meloidogyne arenaria. The experimental design was completely randomized with a factorial arrangement of four inoculation treatments with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Gigaspora albida, Claroideoglomus etunicatum, Acaulospora longula, and a non-inoculated control)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M. arenaria with five replicate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after 270 days of mycorrhization and 170 days of M. arenaria inoculation: height, number of leaves and tillers, fresh mass of aerial and subterranean parts, dry mass of aerial parts, foliar area, nutritional content, mycorrhizal colonization, AMF sporulation, and the number of galls, egg masses, and eggs.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treatments for AMF spore density, total mycorrhizal colonization, and nutrient content (Zn, Na, and N), while the remaining parameters were influenced by either AMF or nematodes. Plants inoculated with A. longula or C. etunicatum exhibited greater growth than the control. Lower N content was observed in plants inoculated with AMF, while Zn and Na were found in larger quantities in plants inoculated with C. etunicatum. Fewer galls were observed on mycorrhized plants, and egg mass production and the number of eggs were lower in plants inoculated with G. albida. Plants inoculated with A. longula showed a higher percentage of total mycorrhizal colonization in the presence of the nematode. Therefore, the association of micropropagated alpinia plants and A. longula enhanced tolerance to parasitism by M. arenaria.

A case of ovarian enterobiasis

  • Hong, Sung-Tae;Choi, Min-Ho;Chai, Jong-Yil;Kim, Young-Tak;Kim, Mi-Kyung;Kim, Kyu-Ra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0권3호
    • /
    • pp.149-151
    • /
    • 2002
  • A 36-year old Korean woman consulted a clinic for a regular gynecological examination, and a mass was noticed in her pelvis. She was referred to the Asan Medical Center, Seoul where transvaginal ultrasonography confirmed a pelvic mass exceeding 10cm in diameter. She received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and bilateral salpingoophorectomy, and a borderline serous neoplasm with micropapillary features involving the left ovary and right ovarian serosa was histopathologically confirmed. In addition, a section of a nematode with numerous eggs was found in the parenchyma of the left ovary. The worm had degenerated but the eggs were well-preserved and were identified as those of Enterobius vermicularis. She is an incidentally recognized case of ovarian enterobiasis.

약용작물거생선충에 관한 연구 (Nematodes Associated with Medicinal herbs)

  • 박소득;추연대;정기채;박선도;최대웅;최영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96-415
    • /
    • 1992
  • 약용작물에 대한 기생선충의 분포상황 및 선충에 의한 약용작물의 피해상황, 작부체계에 따른 선충의 기생정도 등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생식물별 선충기생상황은 작약의 25개 작물중에서 총 10과 15속 25종의 식물기생선충이 검출되었으며, 가장 밀도가 높은 것은 Meloidogyne hapla였고, 다음이 Tylenchus sp., Ditylenchus dipsaci., Aphelenchoides sp., Tylenchorhynchus claytoni등의 순으로 많이 검출되었는데, 바이러스 매개충인 Xiphinema sp. 과 Trichodorus sp. 도 검출되어 바이러스 감염도 우려되었다. 선충 기생에 의한 피해조사에서 작약, 방풍, 백지, 내궁, 인상, 당귀, 시호가 Meloidogyne hapla, M. incognita에 의해 심하게 기생당하였으며, 포장감염율은 54.5~88%였고 재배년수가 경과 할수록 선충기생에 의한 뿌리혹(Gall), 난낭(Egg mass), 유충(2nd larvae)의 밀도가 높았는데, 지하부 뿌리의 분지수는 뿌리혹선충의 기생이 많을 수록 높았다. 뿌리혹선충 기생에 의한 약용작물별 감수율을 조사한 결과 건전주의 근중에 비해 당귀에서는 57.8, 작약은 49.1, 시호는 27.9%의 감수율을 보였으며, 피해도는 23.2~88%로 작물별 차이가 컸고, 감염된 포장에서는 피해가 컸으며, 뿌리혹선충 유충의 밀도는 토양 300g당 50~1890마리로 밀도 범위가 컸다. 작약포장에서 작부체계에 따른 선충증식정도를 조사한 결과 논포장에서 벼재배후 작약재배나, 밭에서 참깨재배후 작약재배한 것이 고추나 작약연속 재배한 포장보다 선충의 밀도가 훨씬 낮았다.

  • PDF

국내 콩 기생성선충의 중요도 등급 (Plant Parasitic Nematodes in Soybean in Korea and Their Importance Rating)

  • 김동근;최인수;류영현;허창석;이윤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27-333
    • /
    • 2013
  • 전국의 콩밭에서 274점의 토양을 채집하여 식물기생성 선충의 종류와 밀도를 조사하였다. 콩씨스트선충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모든 토양에서 발견되었으며 검출율은 38%(25-51%)였고 씨스트 밀도는 토양 $300cm^3$ 당 평균 46개(1-500)로 중요도 1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p.)의 검출율은 약 13%였는데, 경남, 전남, 제주 등 남부지역에서 높은 검출율(16-44%)을 보여 중요도 2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내부기생성 선충인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spp.)은 경기, 강원 등 북부지역에서 검출율(10-13%)이 높아지는 경향으로 중요도 3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나선선충류인 Helicotylenchus는 특히 제주에서 검출율과 밀도가 높았는데(62%, 토양 $300cm^3$당 평균 571마리), 제주도는 국내 나물콩의 주산지로 앞으로 나선선충이 나물콩에 피해를 주기 않을까 우려되며 중요도 4등급으로 분류하였다. 위축선충류인 Tylenchorhynchus, 침선충류인 Paratylenchus, 주름선충류인 Criconema, Criconemoide, Mesocriconema, Ogma, 검선충류인 Xiphinema, 궁침선충류인 Paratrichodorus, Trichodorus 등은 국내 콩밭에서는 밀도와 검출율이 낮음으로 중요도 5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다음의 선충들은 콩에 대한 피해가 확인되지 않았음으로 콩 기생성선충 목록에서 제외하고자 한다.; 식이성이 토양 조균류인 Tylenchus, Aphelenchus, 잎선충류의 Aphelenchoides, 줄기구근선충인 Ditylenchus, 벼뿌리선충, Hirschmanniella immamuri, 그 외 꼬리주름선충 Basiria graminophila, 곤봉선충류인 Psilenchus, Pseudhalenchus 등은 콩밭에서 드물게 발견이 되고 콩에 대한 피해는 알려져 있지 않음으로 콩 기생성선충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창선충 Hoplolaimus tylenchiformis는 콩에 상당한 피해를 끼치는 선충이나 표본미확인 상태임으로 콩 기생성선충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지금까지 국내 콩밭에서 총 26속 41종의 식물기생성선충이 보고되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선충 종류별 콩에 대한 중요도를 검토하고 우리나라 콩 식물기생성선충을 16속 30종으로 정리하였다. 국내 주요 콩 기생선충의 중요 우선순위는 1) 콩씨스트선충, 2) 뿌리혹선충, 3) 뿌리썩이선충으로 생각되며 4) 제주지역의 나물콩은 나선선충의 피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f equine hindlimb ataxia with Setaria digitata in South Korea

  • Hwang, Hyeshin;Ro, Younghye;Lee, Hyunkyoung;Kim, Jihyeon;Lee, Kyunghyun;Choi, Eun-Jin;Bae, You-Chan;So, ByungJae;Kwon, Dohoon;Kim, Ho;Lee, Inhyung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3권5호
    • /
    • pp.75.1-75.7
    • /
    • 2022
  • Background: Since 2013, the number of requests for diagnosis for horses based on neurological symptoms has increased rapidly in South Korea. The affected horses have commonly exhibited symptoms of acute seasonal hindlimb ataxia. A previous study from 2015-2016 identified Setaria digitata as the causative agent. Objectives: This study is a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to find out risk factors related to the rapid increase in hindlimb ataxia of horses due to aberrant parasites in South Korea. Methods: A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155 cohabiting horses in 41 horse ranches where the disease occurre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as investigated at the disease-causing horse ranches (n = 41) and 20, randomly selected, non-infected ranches. Results: Hindlimb ataxia was confirmed in nine cohabiting horses; this was presumed to be caused by ectopic parasitism. Environments that mosquitoes inhabit, such as paddy fields within 2 km and less than 0.5 km from a river, had the greatest association with disease occurrence. Conclusions: Most horse ranches in South Korea are situated in favorable environments for mosquitoes. Moreover, the number of mosquitoes in the country has increased since 2013 due to climate change. Additional research is required; however, these data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guidelines for the use of anthelmintic agents based on local factors in South Korea and disinfection of the environment to prevent disease outbrea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