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stand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35초

Comparison of stand structure and growth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white pine plantation and oak-dominated natural deciduous forest by thinning treatment

  • Lee, Daesung;Choi, Jungke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6권1호
    • /
    • pp.85-98
    • /
    • 2022
  • Background: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is a major commercial species, and the importance of the oak trees (Quercus spp.) is increasing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values. However, more information is required to clearly understan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se species especially regarding thinning intensit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the silvicultural guideline and field manual by analyzing tree and stand characteristics in line with thinning intensity in the Korean white pine plantation and oak-dominated natural deciduous forest. Results: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and volume changes by the thinning intensity in the Korean white pine plant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the oak-dominated deciduous natural forest. In particular, DBH distribution in the pine stand appeared that there were more large diameter trees as the thinning intensity was higher. DBH periodic annual increment (PAI) of the pine stand was higher as the thinning intensity was stronger and the growth period was shorter. This trend was similarly shown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but the amount of PAI was smaller than in pine stand. The volume PAI after thinning was not decreased over time. In each stand type, the PAI tended to be lower as stand density was higher. The volume PAI in the pine stan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oak-dominated natural deciduous forest. Dead trees occurred the most in the unthinned plots of each stand type, and those were higher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Ingrowth trees were observed only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and its distribution was the lowest in unthinned plots; Korean white pine as ingrowth occurred the most frequently among many tree species. Conclusions: Different effects of thinning treatment on DBH and volume PAI, mortality, and ingrowth were observed for each stand. With respect to forest growth, Korean white pine plantation was superior to the oak-dominated natural deciduous for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offer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ilvicultural guidelines for Korean white pine plantations and oak-dominated natural deciduous forests in Korea.

Biomass and Carbon Storage Pattern in Natural and Plantation Forest Ecosystem of Chhattisgarh, India

  • Jhariya, Manoj Kumar;Yadav, Dhiraj Kumar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1호
    • /
    • pp.1-11
    • /
    • 2018
  • We studied natural and plantation forest ecosystem of Sarguja in Chhattisgarh, India in order to understand how vegetation biomass, carbon stock and its allocation patterns vary among the sites. For this, stratified random sampling was opted to measure the different layers of vegetation. Wide floral diversity was found in the natural forest site as compared to the teak stand. Overall, 17 tree species found in natural forest comprising 8 families while in the teak stand 6 species were recorded. In understory strata 23 species were recorded (18 herbs and 5 shrubs) in natural forest whereas in teak stand 20 herb species and 3 shrubs were found. Great variation was also seen in the population dynamics of the different vegetation stratum in concerned sites. The sapling, seedling and herb density was found to be highest in natural stand while tree and shrub density was more in teak stand. Results indicated that stand biomass of the natural site was $321.19t\;ha^{-1}$ while in the teak stand it was $276.61t\;ha^{-1}$. The total biomass of tree layer in plantation site was $245.22t\;ha^{-1}$ and natural forest $241.44t\;ha^{-1}$. The sapling, seedling, shrub and forest floor biomass was found highest under natural forest as compared to the teak plantation site. Carbon stock has similar trend as that of biomass accumulation in natural forest and teak stand. Higher biomass accumulation and carbon stock were recorded in the higher girth class gradation of the population structure. Proper efforts are required to manage these diverse ecosystems to obtain higher biomass and sustainable ecological services.

금강소나무 1영급 천연임분과 인공임분의 직경별 뿌리발달 (Root Distribution in Natural Stand and Plantation of One-Age Class Pinus densiflora for. erecta)

  • 나성준;김정환;이도형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5호
    • /
    • pp.33-39
    • /
    • 2011
  • 본 연구는 강원지역 1영급 금강소나무를 대상으로 천연임분과 인공임분간의 직경별 뿌리의 분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직경별 뿌리분포는 두 임분 모두 0.5-2.0 mm 직경급의 뿌리가 가장 많았고, 10.0-20.0 mm 직경급의 뿌리가 가장 적었다. 두 임분간 직경별 뿌리발달에서 5.0 mm 이하의 직경급은 인공임분이 천연임분보다 우수하였지만, 5.0 mm 이상의 직경급 발달은 천연임분이 더 우수하였다. 토양층위별 뿌리의 직경별 발달은 천연임분이 인공임분보다 다양한 토양층위에 고르게 분포하였으며, 인공임분은 5.0 mm 이하의 직경급이 토심 10 cm, 토양 수평층위 20 cm 범위 내에 편중되어 발달하였다. 따라서 임분 성립방법의 차이는 뿌리발달의 현저한 구조적 차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인공조림시 올바른 식재방법과 조림지침을 제공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내설악 전나무림 천연갱신과 임분특성 - 전나무 자연림에서 천연갱신에 대한 개념적 고찰을 중심으로 - (The Natural Regeneration and Stand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Fir Stand in Nae Sorak - A Study about the Concept of the Natural Regeneration in a Natural Fir Forest -)

  • 윤영일
    • 환경생물
    • /
    • 제27권2호
    • /
    • pp.176-182
    • /
    • 2009
  • 전나무의 천연갱신 형태를 임분의 특성과 연관하여 내설악 길골 총 30지역에서 조사하였다. 임학적 의미의 천연갱신은 주로 예전에 인공적 교란이 있었던 곳에서 나타나며 자연림의 특성이 강할수록 오히려 의미를 상실한다. 이것은 인공적 교란이 천연갱신에 더 나은 환경조건을 제공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와는 달리 자연림에서 갱신단계는 인공림처럼 명확할 수 없고 잠시 나타났다 사라지는 상태이며 세대교체는 임분구조 변화의 일부라는 표현이 적합하다. 특히 patch dynamic이 임분구조를 결정하고 주 구성수종이 음수인 전나무 자연림에서는 인공림에서 사용되는 천연갱신 개념은 원천적으로 의미를 상실할 것으로 보인다.

자생지와 조림지에서의 우산고로쇠나무 생장특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Between Natural and Plantation Stand on Acer okamotoanum)

  • 윤준혁;권수덕;전권석;강정희;조민기;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1호
    • /
    • pp.83-90
    • /
    • 2012
  • 본 연구는 우산고로쇠나무의 적정 식재밀도와 식재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자생지와 조림지의 생장특성을 분석하고 조림 시 수액채취 도달연수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토양은 자생지가 조림지에 비해 비옥한 것으로 나타났고 조림지의 생장특성을 분석해 본 결과 초기생장은 식재밀도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생지와 조림지에서 흉고직경과 수관폭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자생지의 흉고직경별 도달연수는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없어 경급별 생장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수액채취 가능 흉고직경 10 cm에 도달하는 연수는 자생지에서 약 19년, 조림지에서 약 9년으로 나타났다.

산불피해 후 자연복원과 소나무 조림을 실시한 지역에서 설치류 3종의 개체군 밀도 차이 (Differences in Population Density of 3 Rodent Species Between Natural Restored and Red Pine Silvicultured Forests after Forest fire)

  • 이은재;손승훈;이우신;어수형;임신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4호
    • /
    • pp.553-558
    • /
    • 2010
  • 본 연구는 산불피해 후 자연복원과 소나무 조림을 실시한 지역에서 서식환경과 설치류 개체군의 밀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강원도 삼척시 검봉산 일대의 2000년도 산불피해 지역에서 2008년 3월에서 12월까지의 기간 동안 수행되었다. 자연복원지과 소나무 조림지에서 각각 3개씩 1 ha 크기의 조사지를 선정하여 2개월 간격으로 각각 4일간의 포획조사 및 서식환경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식환경 조사 결과, 하층 피도량 및 치수의 수는 조림지가 자연 복원지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낸 반면, 중층 피도량, 중상층 피도량, 상층 피도량, 교목, 관목의 수, 고사목의 수, 수목잔존물의 양 등은 자연복원지에서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 포획 조사 결과 등줄쥐(Apodemus agrarius), 흰넓적다리 붉은쥐(Apodemus peninsulae), 대륙밭쥐(Eothenomys regulus), 다람쥐(Tamias sibiricus) 등 총 4종 688개체가 포획되었다. 설치류의 포획 개체수는 조림지보다 자연복원지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흰넓적다리붉은쥐, 대륙밭쥐, 다람쥐 등 3종이 조림지보다 더 높은 포획 개체수를 보였다. 이에 비해 등줄쥐는 조림지에서 많이 포획되었다. 등줄쥐와 흰넓적다리붉은쥐는 4월과 12월에 최대 포획개체수를 나타내었으며, 대륙밭쥐는 4월과 6월에, 다람쥐는 6월과 10월에 가장 많은 개체수가 포획되었다. 수목잔존물 제거 및 조림으로 인해 수관층과 하층식생이 개방된 서식 환경은 설치류의 서식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산불 피해 발생후 하층식생 및 수관층이 유지될 수 있도록 산림을 관리하는 것이 설치류의 다양성 유지에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Changes of Understory Vegetation by Partial Cutting in a Silvopastoral Practiced Natural Deciduous Stand

  • Kang, Sung Kee;Kim, Ji H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2호
    • /
    • pp.156-164
    • /
    • 2008
  •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multi-purpose management of natural deciduous fores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lement the partial cutting for stand regulation to examine agroforestry practice as well as other concurrent forest resource production,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stand characteristics and understory vegetation in a silvopasture practiced natural deciduous stand in the Research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Three different partial cutting intensities (68.1%, 48.6%, and control) were performed in the unmanaged natural deciduous stand in order to improve the growing condition, especially light condition, for introducing some commercial herbaceous plants on the forest floor to establish agroforestry and/or silvopastoral system. Dominated by Quercus varibilis Blume (50.5%) and Quercus dentata Thum. ex Murray (42.6%), eight tree species were composed of the study forest, including poles of Pinus desiflora Siebold & Zucc and sapling of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The total of 87 (13 tree species, 12 shrub species, 58 herbaceous species, and 4 woody climbers) vascular plant species were observed in study site after partial cutting treatments, while that of before partial cutting was 53 species (14 tree species, 8 shrubs species, 30 herbaceous species, and 1 woody climbers). The proportion of life form spectra in plot B was Mi (28.4%)-Na (23.0%)-Ge (17.5%)-Ch (10.8%)-He (9.5%)-MM (6.7%)-Th (4.1%).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hanges of life form spectra from before to after partial cutting treatment and among partial cutting gradients in this study. Partial cutting and scratching for forage sowing made plants invade easily on the forest floor, and light partial cutting (LPC) plot (500 stems/ha) had much higher number of undersory species than those of heavy partial cutting (HPC) plot (310 stems/ha) and control plot (1,270 stems/ha).

천연(天然) 혼효임분(混淆林分)의 구조조정(構造調整)을 위한 무육방법(撫育方法) (A Method of Tending Practices for the Control of Stand Structure in Natural Mixed Stands)

  • 신만용;배상원;임주훈;전영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155-163
    • /
    • 1994
  • 본 연구(硏究)는 임분(林分)의 구조분석(構造分析) 결과(結果) 택벌림(擇伐林)으로의 유도(誘導) 가능성(可能性)을 시사(示唆)하고 있는 천연(天然) 혼효임분(混淆林分)에 대하여 이상적(理想的)인 택벌림(擇伐林) 균형상태(均衡狀態)의 직경분포(直徑分布)를 예측(豫測)하기 위하여 Q 이론(理論)을 적용(適用)한 천연임분(天然林分)의 직경분포(直徑分布)와 감소계수(減少係數) Q을 추정(推定)하는 방법(方法)을 논(論)하였다. 또한 현재(現在)의 임분(林分)을 구조조정(構造調整)에 의하여 이상적(理想的)인 택벌림(擇伐林)의 구조(構造)로 이끌어 나가는데 필요(必要)한 무육방법(撫育方法)에 대하여 고찰(考察)하였다.

  • PDF

설악산 전나무 고목림의 자연성 판단을 위한 기초연구 (Preliminary Study on Naturalness of Korean Fir (Abies holophylla) Stand in Mt. Sorak)

  • 윤영일
    • 환경생물
    • /
    • 제20권4호
    • /
    • pp.287-293
    • /
    • 2002
  • 원시림이 없는 한국에 산림생태계 이해에 근원이 될 자연림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설악산에 존재하는 몇몇 전나무 고목림의 자연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원시림 혹은 자연림의 특징과 임분 동태학을 산림생태계 변화(천이)의 기본으로 상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다. 비록 면적은 좁지만 모든 조사지역은 자연성을 확실히 보이고 있으며 수진된 기초자료는 한국 자연림 연구의 밑거름이 되리라 사료된다.

굴참나무천연림(天然林)의 생산구조(生産構造) 및 물질생산력(物質生産力)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roduction Structure and Biomass Productivity of Quercus variabilis Natural Forest)

  • 김시경;정좌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0권1호
    • /
    • pp.91-102
    • /
    • 1985
  • 굴참나무림(林)의 밀도(密度) 차이(差異)에 따른 생장(生長) 및 물질생산(物質生産)을 비교분석(比較分析)하여 천연림(天然林)의 무육시업자료(撫育施業資料)를 얻고자 경남산청지역(慶南山淸地域)의 해발(海拔) 900 m (A임분(林分) : 6,600본(本)/ha, $15.84m^2/ha$, $\frac{19}{17-20}$년생(年生))와 800 m (B임분(林分) : 4,300본(本)/ha, $16.65m^2/ha$, $\frac{20}{17-21}$년생(年生))의 위치(位置)에 $20m{\times}20m$ 표본점(標本點)을 각각(各各) 설치(設置)하여 조사(調査)한 바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었다. 조사구내임목(調査區內林木)을 매목조사(每木調査)하고 경급별(徑級別) 평균목(平均木)을 12본(本)씩 벌채(伐採)하여 $W_S$, $W_B$, $W_L$, $W_{Ba}$ 등(等)의 건중량(乾重量)을 측정(測定), $D^2H$와의 상대생장식(相對生長式)에 의(依)해 현존량(現存量)과 물질생산량(物質生産量)을 추정(推定)하였다. 생산구조면(生産構造面)에서 광합성부위(光合成部位)는 A임분(林分)이 지상(地上) 2.2 m, B임분(林分)이 지상(地上) 1.2 m 높이서 시작(始作)되었고, 최대광합성부위(最大光合成部位)는 A, B 임분(林分)에서 각각(各各) 4.2 m, 6.2 m 높이였으며 엽면적지수(葉面積指數)는 각각(各各) 4.25 ha/ha, 389 ha/ha로 나타났다. 지상부현존량(地上部現存量)은 A, B임분(林分)에서 각각(各各) 49.51 ton/ha, 59.20 ton/ha이고, 순생산량(純生産量)은 각각(各各) 6.75 ton/ha/yr., 8.99ton/ha/yr.로 B임분(林分)이 더 컸었으나, 현존량(現存量)에 대(對)한 순생산량(純生産量)의 구성비(構成比)에 있어서는 A, B임분(林分)이 각각(各各) 17.5%, 16.7%로 A임분(林分)이 더 컸다. 잎의 순동화율(純同化率), 간재생산능률(幹材生産能率) 및 수피생산능률(樹皮生産能率)을 A, B임분별(林分別)로 추정(推定)한바 NAR은 2.75kg/kg/yr., 3.58kg/kg/yr이고, 간재생산능률(幹材生産能率)은 1.46kg/kg/yr., 2.09kg/kg/yr로 B임분(林分)이 크게 나타나 효과적(効果的)인 공간이용(空間利用)을 하고 있음을 시사(示唆)하고 있으나, 수피생산능률(樹皮生産能率)은 0.60kg/kg/yr., 0.34kg/kg/yr.로 A임분(林分)이 크게 추정(推定)되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서 임분(林分)의 밀도조절(密度調節)을 통(通)하여 생산성(生産性)을 높일 수 있는 굴참나무천연림무육시업(天然林撫育施業)의 자료(資料)와 생산물(生産物) 목표(目標)에 따른 경영(經營)의 지침(指針)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