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food colorant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1초

자색고구마 잼의 설탕 함량에 따른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Purple-fleshed Sweet Potato Jam with Varying Sugar Contents)

  • 김예림;심기연;윤지현;최수연;고은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60-666
    • /
    • 2015
  • 과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일반적인 잼과 달리 전분질 식품인 자색고구마와 펙틴 공급원으로 사과를 이용하여 자색 고구마 잼을 제조하였다. 자색고구마, 물, 사과주스, 레몬주스를 합한 중량 대비 설탕을 0, 20, 30, 40, 50%씩 각각 첨가하여 잼을 제조한 후 색도와 조직감을 관찰하고,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설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와 적색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지만,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이것은 가열 과정에서 자색고구마의 주요 색소인 안토시아닌이 파괴된 반면에, 갈색색소는 오히려 생성되었음을 시사한다. 관능적 특성에서 설탕을 50% 첨가한 자색고구마 잼의 부드러운 정도와 퍼짐성이 가장 낮았다. 기호도 평가에서 설탕이 40% 첨가된 잼이 다른 시료에 비해 색, 단맛, 부드러운 정도, 퍼짐성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부착성은 가장 낮았으며, 그에 따른 종합적인 기호도는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색고구마 잼의 제조 시 설탕 첨가량은 40%가 가장 적합함을 보여준다. 전분질 식품인 자색고구마는 열 안정성이 비교적 높은 천연색소인 안토시아닌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신제품 개발과정에서 착색제(colorant)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식품유해균에 대한 홍국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onascus koji extracts)

  • 김은영;류미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6-81
    • /
    • 2008
  •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색소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Monascus 균주 중 붉은 색소 생산력이 높은 6종의 Monascus 균주(M. araneosus KFRI 00371, M. kaoliang ATCC 46597, M. pilosus IFO 4520, M. purpureus IFO 4482, M. ruber IFO 32318 및 M. sp. ATCC 16437)로 홍국을 제조하고 색소 추출력이 높은 70% ethanol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6종의 Gram 양성균(Clostridium botulinum, Bacillus subtilis, B.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Micrococcus luteus, Listeria monocytogens), 3종의 Gram 음성균(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Proteus vulgaris), 2종의 효모(Saccaromyces cerevisiae, Candida albicans) 및 1종의 곰팡이(Aspergillus flavus)에 대한 항균활성과 미생물 증식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M. kaoliang ATCC 46597과 M. purpureus IFO 4482가 B. subtilis, B. cereus, M.luteus, S. aureus 및 S. typhimurium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균주 중 M. purpureus IFO 4482가 M. kaoliang ATCC 46597에 비해 활성이 높았으며, 특히 대표적 식중독균의 하나인 S. typhimurium에 대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M.kaoliang ATCC 46597과 M. purpureus IFO 4482의 시험 미생물 증식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농도에 따른 증식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배양 48시간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따라서 천연의 붉은색을 띄는 홍국 추출물이 식품의 천연착색제 및 보존제 소재로의 적용 가능성이 나타났다.

복분자 부산물(박) 색소의 추출조건 모니터링 (Conditions for Pigment Extraction from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Byproducts)

  • 정용진;서지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00-404
    • /
    • 2009
  • 복분자 부산물(박)을 유용한 천연 색소원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복분자 부산물(박)의 추출조건에 따른 색소 및 폴리페놀의 추출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용매 조건별 추출한 색소액의 총 흡광도는 80% 에탄올 용매에서 9.51 unit로 높은 편이었고, 폴리페놀은 에탄올 함량이 40%일 때 최고 수율이었고 에탄올 농도가 높아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추출액의 총 흡광도는 용매에 citric acid 및 lactic acid를 첨가하였을 때 높았고, 폴리페놀의 함량은 ascorbic acid를 첨가한 용매 조건에서 높았다. 추출조건에서 부산물(박)의 혼합량이 많을수록 부산물(박) 단위 중량에 대한 총 흡광도 및 부산물(박) 단위 중량에 대한 폴리페놀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2차례의 추출과정을 반복하였을 때 색소와 폴리페놀은 $85{\sim}90%$ 이상의 추출효율을 나타내었다.

Characteristics of Red Pigment from Marine Bacterium Utilizing Colloidal Chitin

  • 류병호;김민정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69-172
    • /
    • 2000
  • Studies on extraction of red pigment was performe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utilization of red pigment as s new source of natural food colorant. A bacterium isolated from marine resources were carried out the test for excretion of red pigment. One strain of a marine bacterium, KSR-97 showed a high production of red pigment on the medium of colloidal chitin, peptone-yeast extract with mineral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in aqueous solution of red pigment was investigated at various condition of pH, temperature, concentration of ethanol and stability of storage. Potent antioxidative of red pigment was separated by thin layer chromatograpy, silica gel chromatography and rever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sing ODS hypersil column.

  • PDF

치자의 Geniposide 함량 기준 설정 (Standardization of Geniposide Content of Gardeniae Fructus)

  • 정명선;채흥복;최일섭;김영호;강종성;배기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62-265
    • /
    • 2004
  • Gardeniae Fructus (Gardenia jasmmoides Ellis) is widely used as a natural food colorant and as a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hepatic and inflammatory diseases. The quality evaluation of Gardeniae Fructus was carried out by HPLC using geniposide as a marker. The geniposide was isolated from commercial Gardeniae Fructus on ODS column using a mixed solvent of acetonitrile-water (v/v 9:91) as mobile phase and a detection wavelength 240 mm. The content of geniposides in twenty different samples was in a range of 1.20% to 7.17% of total tissues and the average was 4.97%.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anthocyanin pigments in colored rice

  • Kim, Min-Kyoung;Kim, Han-Ah;Koh, Kwang-Oh;Kim, Hee-Seon;Lee, Young-Sang;Kim, Yong-Ho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2권1호
    • /
    • pp.46-49
    • /
    • 2008
  • Anthocyanin pigments from varieties of black, red and wild rice were identified and quantified to evaluate their potential as nutritional function, natural colorants or functional food ingredients. Anthocyanin extraction was conducted with acidified methanol with 0.1M HCl (85:15, v/v) and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 aglycone and sugar moieties was conducted by comparison with purified standards by HPLC, Ultraviolet-Visible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nd paper chromatography. Black and wild rice showed three different types of pigments by HPLC whereas red rice variety did not show any anthocyanins. Out of three pigments detected, one (peak 2) was characterized as cyanidin-3-glucoside (C3G) by comparison of spectroscopic and chromatographic properties with an authentic standard, and another (peak 3) was tentatively identified as cyanidin-fructoside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properties with ${\lambda}_{max}$ of aglycone in 1% HCl methanol at 537 nm,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a with major ions at 449 and 287 m/z and chromatographic properties. But another pigment (peak 1) has not been characterized. The most abundant anthocyanin in black and wild rice was C3G.

레드 비트의 첨가가 냉장저장 중 저지방 소시지의 품질과 발색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Beet on Quality and Color Stability of Low-fat Sausag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정호진;이홍철;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14-1023
    • /
    • 2010
  • 본 연구는 아질산염을 저감화 한 저지방 소시지를 개발하기 위해, 아질산염과 균질한 레드 비트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저지방 소시지(자비, 훈연)를 제조하였고, 품질특성과 냉장 저장 중 pH와 색도를 평가하였다. 레드 비트 첨가는 저지방 소시지의 품질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은 반면 레드 비트 1% 첨가가 저지방 자비 소시지의 적색도를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이며, 특히 아질산염 저감화 조건에서 레드 비트의 첨가는 적색도 증진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질산염 75 ppm 첨가구는 레드 비트의 첨가에 상관없이 대조구이상의 적색도를 보였으나, 레드 비트 함량이 1% 이상일 경우 황색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한편, 훈연소시지에서 레드 비트의 첨가는 아질산염 150 ppm 첨가 대조구에 비하여 명도를 감소시켰으나, 적색도는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반면에, 저장기간 동안 색도의 변화에서는 레드 비트(1%)만 단독 첨가한 저지방 훈연 소시지의 적색도가 유의적으로 감소된 반면에, 아질산염(75 ppm)과 레드 비트(0.5%)를 조합한 처리구는 저장기간 동안 적색도를 유지하였으며, 아질산염 150 ppm 첨가 대조구의 적색도와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아질산염의 첨가는 저지방 소시지의 보수성과 색도에 영향을 주었고, 레드 비트의 첨가는 적색도와 발색안정성에 효과적이었다. 특히, 레드 비트 0.5%와 아질산염 75 ppm의 조합은 저장기간 중 저지방 소시지의 적색도를 유지함에 따라 아질산염을 저감화 한 저지방 소시지(훈연, 자비)의 제조를 위해서는 레드 비트 0.5%와 아질산염 75 ppm의 첨가 조합이 적당하다고 판단된다.

가열처리에 의한 심황색소의 화학적 특성, 산화방지 활성 및 세포독성 변화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antioxidant activities, and cytotoxicity of turmeric pigments by thermal process)

  • 송이슬;강스미;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1-2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식품의 가공이나 조리 시 빈번히 적용되는 가열처리에 의한 심황색소의 화학안정성, 산화방지활성 및 세포독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95^{\circ}C$에서 각 시간별로 가열처리한 심황색소는 가열시간이 증가할수록 발색도가 감소하였으며, 형광도는 초기 가열 시에 증가하다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HPLC 분석 결과 3종의 쿠쿠미노이드 중 쿠쿠민이 가열처리에 가장 민감하였으며 BMC가 가장 안정하였다. 가열 처리 후의 심황색소에 의해 ABTS 라디칼, AAPH peroxyl 라디칼 및 아질산염 소거활성이 증가하였으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는 변화가 없었다. 가열처리 시간의 증가에 따라 심황색소로 부터의 $H_2O_2$ 생성능이 증가한 반면, 정상장관계 세포 INT 407 및 대장암 세포 HCT 116를 대상으로 한 세포독성평가에서는 가열처리 후 심황색소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약화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양한 가공식품에 첨가되는 심황색소의 화학안정성 및 생리활성이 가열처리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생리활성 증진을 목적으로 첨가되는 심황색소에 이러한 가열처리 효과가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황색고구마의 Carotenoid 색소 함량 (Carotenoid Contents of Yellow Sweet Potatoes)

  • 김선재;임종환;정순택;안영섭;오용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18-222
    • /
    • 1997
  • 천연 식용색소원으로서 carotenoid색소 함량이 높은 황색고추마를 선발하기 위하여 10종의 황색고구마를 수집하여 carotenoid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품종별 총 carotenoid함량은 Benihayato가 20.2 mg/100 g fr wt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른 황색고구마의 carotenoid함량은 $4.6{\sim}16.7\;mg/100\;g$ fr wt 수준이었다. 비교실험을 위해 사용된 당근은 26 mg/100 g fr wt의 carotenoid를 함유하였다. 적색도를 나타내는 Hunter +a-value는 황색고구마의 carotenoid함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R^{2}=0.826)$ carotenoid함량의 간접적인 측정법으로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Carotenoid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Benihayato의 carotenoid와 ${\beta}-carotene$표품의 absorption spectrum은 서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는데 이는 황색고구마에 함유된 carotenoid가 대부분 ${\beta}-carotene$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한국산 맨드래미 꽃의 적색 색소 : 적색 색소의 식품학적 안정성 (Red Pigment of the Korean Cockcomb Flower: Color Stability of the Red Pigment)

  • 이상열;조숙자;이경애;변평화;변시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46-452
    • /
    • 1989
  • 한국산 맨드래미 꽃의 적색 색소인 베타시아닌 색소의 식품학적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온도, pH, water activity, 빛 및 공기조절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 적색 색소는 pH4.0에서 가장 안정하였으며, 열에 대한 분해 활성화에너지 (Ea)는 17.55kcal/mol이었다. 일반적으로 당화합물의 첨가는 0.1M농도에서 색소 분해 방지효과가 있었고, 식품속에 존재하는 농도의 유기산, 금속이온 및 항산화제들은 적색 색소의 분해를 심하게 일으키지 않음으로써, 이 적색 색소는 천연식품 색소로서 이용될 가능성이 증명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