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enemies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8초

Insect natural enemies as bioindicators in rice paddies

  • Ueno, Takatoshi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4호
    • /
    • pp.545-553
    • /
    • 2012
  • In Asia, including Japan and Korea, rice paddies occupy the largest cultivated area in agricultural land. Rice paddies provide the habitats for many organisms including endemic species, sustaining high biodiversity. Insect natural enemies inhabiting rice paddies have an important function for rice production as agents of 'ecosystem services' because they play a major role in suppressing rice pests. The diversity and abundance of natural enemies can be a good index reflecting the 'healthiness' of agro-ecosystem services in rice paddi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whether insect natural enemies could be good biological indicators for general arthropod biodiversity and agricultural practice. First, the concept of ideal bio-indicators was summarized. The strategy to explore and select such bio-indicators was then proposed. Lastly, field survey was made to evaluate the abundance and biodiversity of natural enemies in Japanese rice paddies where chemical inputs, i.e., insecticide use, were different. The results showed that reduction of chemical inputs led to an increase in species richness or diversity of natural enemies including parasitoids and predators. Then, the data were analyzed to examine suitable indicator species to assess environmental soundness of agricultural practice and biodiversity in rice paddies. The density of several species of natural enemies did respond both to pesticide use and to general arthropod biodiversity. The analyses thus have indicated that natural enemies can be suitable as bio-indicators. Usefulness of indicator species in rice paddies is discussed in the context of ecologically sound agriculture.

우리나라 천적 연구의 현황 및 미래 전략: 1990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응용곤충학회지 게재 논문 분석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of Natural Enemy Research in Korea: Analysis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from 1990 to 2020)

  • 조점래;김정환;서미자;최선우;임언택;이경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287-304
    • /
    • 2021
  • 우리나라의 천적 연구는 1995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25여 년이 지난 지금 1990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응용곤충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은 약 130편으로 전체 약 1,550편의 8.4%가 천적에 관한 논문이었다. 이들 논문 중에는 1990년대에는 천적을 탐색하여 생물적 특성 연구에 관한 논문의 비율이 높았고, 2010년대에는 개발된 천적을 농가 현장에 적용하는 논문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국내 토착 천적이 24종, 도입 천적이 13종이 개발되어 총 37종의 우수 천적이 개발되었다. 또한 개발된 천적이 현장에 활용될 수 있도록 천적 활용 기술서 및 매뉴얼을 약 28종 이상 개발되었다. 이처럼 지금까지 천적 탐색, 생물적 특성 연구, 및 생산·이용 기술 측면에서 많은 성과가 있었으나 앞으로 추진하여야 할 과제도 많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 농작물 재배상황에 맞는 우수 천적을 탐색하거나 도입하는 연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연중 대량생산 기술, 천적의 생산 및 유통 과정에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 및 천적과 저독성 작물보호제를 조화롭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 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Nine Newly Recorded Species of the Family Braconidae (Hymenoptera) in Korea

  • Lee, Hye-Rin;An, Tae-Ho;Ku, Deok-Seo;Byun, Bong-Kyu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4권1호
    • /
    • pp.10-17
    • /
    • 2018
  • In the present study, nine species of the family Braconidae a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Bassus ussuriensis (Telenga), Amyosoma yanoi (Watanabe), Calcaribracon nipponensis (Watanabe), Doryctes gyljak Telenga, Rhaconotus signipennis (Walker), Allurus lituratus (Haliday), Hellenius dadianshanicus Belokobylskij, Homolobus rufiventralis Maeto, and Aulacocentrum confusum He & Achterberg. Diagnosis and photographs for the species are provided.

사과원 잡초관리 방법에 따른 사과해충 및 천적의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hagous Arthropods and Their Natural Enemies at Different Weed Management Systems in Apple Orchards)

  • 김동순;이준호;전흥용;임명순;김기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56-265
    • /
    • 1995
  • 사과원 잡초군락이 해충 및 천적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제초제를 살포하여 잡초를 제거한 구(제초구)와 수관하부까지 잡초를 키우면서 인력으로예초한 구(예초구)에서 수상의 해충 및 천적과 잡초상의 곤충류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응애류와 진딧물의 발생은 처리간에 유의성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응애류의 경우는 예초구에서 발생이 적은 경향이었다. 사과굴나방의 경우 예초구에서 1993년에는 피해엽률이 10% 정도 낮았고, 1994년은 4% 정도 낮은 발생을 보였다. 응애류와 진딧물의 천적류 발생은 쳬초구에서 높은 경향이었으나 큰 차이는 없었으며 사과굴나방의 기생청 천적류는 예초구에서 1993년에는 6~10%, 1994년에는 20~25% 높은 발생을 보였다. 사과원 잡초상에서 포충망을 이용 곤충류를 채집 조사한 결과, 사과해충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사과해충 천적류로서 좀벌류, 고치벌류, 애꽃노리재, 무당벌류, 풀잠자리류 등이 발견되었다. 사과생육기간중 잡초상 및 수상에서 군충군집변화는 상이하였다. 수상에서의 곤충군집형성에 약제살포가 큰 영향을 주었으나, 잡초상에서는 약제살포에 상대적으로 안정된 군집이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사과원 잡초는 수상의 사과해충 및 천적발생에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사과굴나방 기생벌같은 기주특이적인 천적들은 수상이동에 의하여 밀도억제작용을 하였고, 잡초상에 먹이가 풍부하거나 또는 광식성인 천적들은 잡초상 곤충군집에 연관되어 수상의 해충밀도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 PDF

Biological Control Strategy of Uzi Fly in Sericulture

  • Singh, R.N.;Saratchandra, Beer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6권2호
    • /
    • pp.125-132
    • /
    • 2003
  • Uzi fly (Exorista bombycis Louis) is one of the major larval endo-parasitoid of silkworm (Bombyx mori). It causes extensive damage to sericulture industry. The application of synthetic organic pesticides has tremendous impact on minimizing pest population but their overuse and frequent misuse and high sensitivity towards the silkworms, has forced the entomologists to search for alternatives to chemical control, which is safe to silkworm, environment and farm workers. Biological control continues to offer exciting possibilities for the control of fly pest population. It is environmentally safe alternative to chemical control and offering a long-term protection. Several potential hymenopteran parasitoids have been screened. Among successful natural enemies, Nesolynx thymus, Trichomalopsis apanteloctena, Trichopria sp., Brachymeria lasus, Pediobius sp., Spalangia sp., Spilomicrus karnatakensis and Dhirhinus sp. are important. It is essential to predict accurately the efficacy of these natural enemies in a new habitat prior to its introduction. The important desirable attributes of these potential parasitoids viz., host searching capacity, specificity, power of increase and fitness and adaptability of the parasitoid in new environment has been recorded. Results of the host parasitoid interaction indicate that the aging of the host function as a factor that influence the host finding efficiency of the parasitoid. It is highly scored with 15-20 hrs old pupa of the host. However, aging of the parasitoid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it. The sex ratio is female biased which is advantageous from biological control point of view, Biological suppression methods involving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natural enemies have been discussed in detail.

Flower Habitat Supplementation can Conserve Pollinators and Natural Enemies in Agricultural Ecosystem: Case Study in the Pepper Field

  • Lee, Changyeol;Jung, Chuleui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1-147
    • /
    • 2019
  • Pollinators play important roles for crop production as well as maintenance of wild plants' reproduction. Pollinator dependency in Korean agriculture have increased, but the degradation of habitat quality pose significant threats to pollination in agroecosystem. Provisioning flower habitat is one of the major activities to increase pollinator abundance and richness. We tested the effect of flower habitat supplementation on the pollinator, pest and natural enemy abundance in pepper field. Results showed that Hymenopteran pollinators were more abundant in the pepper plots close to the flower habitat. Among natural enemies, the similar pattern from pollinators was observed to parasitoids in the family of Eulophidae, but not to those of Ichneumonidae.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insect pests like aphids and thrips, as well as pepper production among plots in the pepper field. Even limited spatial scale, this study showed supplementing the flowering plant habitat to the agricultural landscape could conserve and boost pollinators and natural enemies, and possibly resulting better fruit production by pollination service.

감귤원에서 초생관리와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조합처리가 귤응애와 천적의 발생양상에 미치는 단기효과 (Effects of Ground Vegetation and Pyrethroid Spray on the Population Dynamics of Panonychus citri (Acari: Tetranychidae) and Natural Enemies in Citrus Orchard: A Short-term Effect)

  • 현승용;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255-26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감귤원에서 초생재배 유무(초생재배 W, 제초제 살포 NW)와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살포유무(살포 P, 무살포 NP)에 따른 귤응애의 개체군 동태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두 가지 기본적인 가설로 1) 초생재배는 천적의 서식처를 제공하여 천적의 정착을 높이므로 귤응애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2) 합성피레스로이드계는 천적을 제거하여 귤응애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가정하였다. 관측된 천적 개체군(주로 이리응애류와 마름응애류)의 발생은 가정에 근거한 기대치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2011년의 경우 NW+NP 처리구와 W+NP 처리구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2012년 실험에서는 기대치와 관측치가 거의 일치하였다. 전체적으로 약제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서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살포시 천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잡초효과는 엇갈리는 결과를 보였는데, 봄-유래 여름 개체군 대비 가을 개체군의 증가 등을 고려할 때 초생재배를 하는 경우 천적의 발생이 증가하였다. 다만,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살포구에서 귤응애가 감소하는 비이상적인 결과는 귤응애의 합성피레스로이드계에 대한 강한 기피성을 전제로 해석할 수 있었다.

한국산 자루배고치벌속(벌목: 고치벌과: 중국고치벌아과)의 1미기록종 및 목록 (A Newly Recorded Species of the Genus Spathius Nees (Hymenoptera: Braconidae: Doryctinae) with a Checklist in Korea)

  • 이혜린;안태호;구덕서;변봉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95-299
    • /
    • 2017
  • 본 연구를 통해 Spathius속의 Spathius depressithorax Belokobylskij, 1998 <납작가슴자루배고치벌 (신칭)>를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의 식별형질과 성충을 검경하고 도해하였으며, 한국산 Spathius속의 목록을 제시한다.

밤나무혹벌의 천적종류와 발생소장 (Natural Enemies of Dryocosmus kuriphilus Yasumatsu (Hymenoptera: Cynipidae) and Their Seasonal Prevalence of Adult Emergence in Korea)

  • 김종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85-290
    • /
    • 1993
  • 밤나무혹벌의 천적종류와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국내 천적종류는 Torymus sinensis, Torymus geranii(남색 긴꼬리좀벌), Eurytoma brunniventris(상수리좀벌), Eurytoma setigera, Megastigmus maculipennis(배잘룩꼬리좀벌), Megastigmus nipponicus(노란꼬리좀벌), Ormyrus flavitibialis(노란다리남색좀벌), Ormyrus punctiger(큰다리 남색좀벌), Eupelmus urozonus(노란꼬리벼룩좀벌), Eupelmus sp., Sycophila variegata, Diptera sp.(파리 1종)로 동정 되었다. 이들 천적 가운데 Torymus sinensis, Eurytoma setigera, Eupelmus sp.는 국내에 분포하는 것이 최초로 확인되었다. 천적의 계절별 발생소장을 경기지방에서 조사한 결과, Torymus sinensis의 성충은 전년의 형성된 벌레혹으로부터 이듬해 4월~5월에 우화하였으며 각조사지역에서 최우점종이었다. Torymus geranii, Sycophila variegata, Eupelmus urozonus(노란꼬리벼룩좀벌), Eupelmus sp.의 성충은 전년 및 당년에 형성된 벌레혹 모두에서 각각 4~5월과 6~8월에 우화하였으며, 이외의 기생벌 성충은 당년에 형성된 벌레혹으로부터 6~8월에 우화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