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3초

Classification Index and Grade Levels for Energy Efficiency Classification of Agricultural Dryers in Korea

  • Shin, Chang Seop;Park, Jin Geun;Kim, Kyeong Uk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9권2호
    • /
    • pp.96-100
    • /
    • 2014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lassification index and the grade levels for a five-grade energy efficiency classification of agricultural dryers in Korea. Methods: The classification index and the grade levels were determined by using the performance test data published by the FACT over the last eight years to reflect a state of the art technology for agricultural dryers in Korea. The five grades were designed to have the classified dryers distributed normally over the grades with 15% for the $1^{st}$ grade, 20% for the $2^{nd}$ grade, 30% for the $3^{rd}$ grade, 20% for the $4^{th}$ grade and 15% for the $5^{th}$ grade. Results: The classification index was defined as the total amount of fuel and electrical energy consumed per 1% of the wet basis moisture content evaporated from a unit mass of grain or agricultural crops during the drying process: 1 MT of paddy rice for grain dryers and 1 kg of red pepper for agricultural crop dryers as the standard mass. Conclusions: The grade levels for the five-grade energy efficiency classification of grain dryers, kerosene dryers, and electric dryers were proposed in terms of the classification index value.

KDC 제4판 컴퓨터과학분야 전개의 개선방안 (The Improvements of the Subject Computer Science in the 4th Edition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여지숙;박미성;황면;오동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45-368
    • /
    • 2008
  • 이 연구는 KDC 제4판 컴퓨터과학분야의 주요 항목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DDC와 NDC 등 기존 주요분류표와 학술진흥재단의 연구분야분류표, 한국과학재단의 과학기술분야분류 및 국가과학기술표준 분류표 등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KDC 제4판의 컴퓨터과학분야는 총류와 기술과학분야에 분산전개된 것을 004-005에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위주제 전개의 체계화, 새로운 주제 추가 및 부적절한 주제의 삭제, 이치, 주기의 추가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UDC 한국어판의 개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vision of UDC Korean Edition)

  • 이창수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3호
    • /
    • pp.1-2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2005년 영국의 BSI(British Standards Institution)에서 인쇄 형태로 출판된 UDC(Universal Decimal Classification)의 표준판과 1973년 한국과학기술정보센터(KORSTIC, Korea Scientific & Technological Information Center)에서 출판된 UDC의 한국어판을 비교 분석하여 한국어판의 개정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앞으로 개정될 한국어판은 표준판의 규모로 한국어 간략판과 MRF(Master Reference File)를 바탕으로 표준판의 체제에 따라 본표와 색인으로 된 인쇄판이 되어야하며, 국제적 보편성을 강화하고, 보조표를 통한 조합의 방식을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 하였다.

국가 과학기술 표준분류 체계 기반 연구보고서 문서의 자동 분류 연구 (Research on Text Classification of Research Reports using Korea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Standards Classification Codes)

  • 최종윤;한혁;정유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69-177
    • /
    • 2020
  •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개발 결과는 연구보고서 형태로 국가과학기술정보서비스(NTIS)에 제출된다. 각 연구보고서는 국가과학기술 표준 분류체계 (K-NSCC)에 따른 분류코드를 가지고 있는데, 보고서 작성자가 제출 시에 수동으로 입력하게끔 되어있다. 하지만 2000여 개가 넘는 세분류를 가지고 있기에, 분류체계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없이는 부정확한 분류코드를 선택하기 십상이다. 새로이 수집되는 연구보고서의 양과 다양성을 고려해 볼 때, 이들을 기계적으로 보다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다면 보고서 제출자의 수고를 덜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부가 가치적인 분석 서비스들과의 연계가 수월할 것이다. 하지만, 국내에서 과학기술표준 분류체계에 기반을 둔 문서 자동 분류 연구 사례는 거의 없으며 공개된 학습데이터도 전무하다. 본 연구는 KISTI가 보유하고 있는 최근 5년간 (2013년~2017년) NTIS 연구보고서 메타정보를 활용한 최초의 시도로써, 방대한 과학기술표준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국내 연구보고서들을 대상으로 높은 성능을 보이는 문서 자동 분류기법을 도출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 표준분류 체계에서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보고서를 분류하기에 적합한 중분류 210여 개를 선별하였으며, 연구보고서 메타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한 전처리를 진행하였다. 특히, 가장 영향력 있는 필드인 과제명(제목)과 키워드만을 이용한 TK_CNN 기반의 딥러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텍스트 분류에서 좋은 성능을 보이고 있는 기계학습법들 (예, Linear SVC, CNN, GRU등)과 비교하였으며, Top-3 F1점수 기준으로 1~7%에 이르는 성능 우위를 확인하였다.

환경 R&D 예산관리를 위한 환경기술분류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Budget Management of the Environmental R&D)

  • 강성구;김영수;정성훈
    • 청정기술
    • /
    • 제11권2호
    • /
    • pp.91-104
    • /
    • 2005
  • 이번 연구는 새로운 과학기술행정체제 출범에 따라 국가 R&D가 종합관리되는 시점에서 환경 R&D 관리 효율화 방안을 모색했다. 예산 투자배분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국내외의 각 기관에서 사용하는 분류체계를 검토하였다. 다양한 기관에서 다양한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르게 사용하고 있는 환경기술 분류체계가 각각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현 환경기술 분류체계 개선 필요성을 예산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환경 R&D의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하나의 분류체계로 통합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새 분류는 현 표준분류를 제외하고 국내외 모든 분류체계가 채택하고 있는 환경관리 분야별(매체별) 분류체계를 채택했으며 원칙적이고 포괄적인 분류가 되도록 하였다. 새 분류체계가 국가표준분류로 정착되면 국가 환경 R&D가 종합관리되어 환경 R&D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럼으로써 연구자 전문가들도 편리하게 환경 R&D 사업 현황을 알 수 있게 되어 중복연구를 피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연구하게 되어 성과가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인터넷 쇼핑몰의 패션 제품 분류 방식의 효과 (The Effect of the Fashion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in Online Shopping Sites)

  • 한서영;조윤진;이유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87-304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product classification standards and structure on user perception as well as their attitude towards online shopping sites. The causal relationships of variables are also examined. The analysis was based on an online survey with 247 responses. Four types of internet shopping sites were developed and used as a stimulus. The results of the mean comparison analysis indicated that perceived variety, information overload, perceived shopping value and attitude towards the site varies significantly with product classification standards and structure. There was also of a marginally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classification standard and structure on perceived variety and information overload. The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revealed that perceived variety positively influenced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However, information overload had a negative effect on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Both the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positively influenced attitudes towards the sit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classification method influences customer perception and attitude. It offers interesting insights on a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as a strategic tool for online shopping.

Se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Bacterial Strains Using Standardization and Cluster Analysis

  • Lee, Sang Moo;Kim, Kyoung Hoon;Kim, Eun Joo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6호
    • /
    • pp.463-469
    • /
    • 2012
  • This study utilized a standardization and cluster analysis technique for the se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beneficial bacteria. A set of synthetic data consisting of 100 individual variables with three characteristics was created for analysis. The three characteristics assigned to each independent variable were designated to have different numeric scales,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The variables were bacterial isolates at random, and the three characteristics were fermentation products, including cell yield, antioxidant activity of culture, and enzyme production. A standardization method utilizing a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equation to record fermentation yields of each isolate was employed to weight their different numeric scales and deviations. Following transformation, the data set was analyzed by cluster analysis. The Manhattan method for dissimilarity matrix construction along with complete linkage technique, an agglomerative method for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as employed using statistical computing program R. A total of 100 isolates were classified into groups A, B, and C. In a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ll characteristics in groups A and C were higher than those of group B. Isolates displaying higher cell yield were classified as group A, whereas those isolates showing high antioxidant activity and enzyme production were assigned to group C. The results of the cluster analysis can be useful for the classification of numerous isolates and the preparation of an isolation pool using numerical or statistical tool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a simple technique can be applied to screen and select beneficial microbes using the freely downloadable statistical computing program R.

Feasibility of Non-Korean Standard Glulam Using a Lower Grade Lamina of Japanese cedar for Structural Use

  • Oh, Jung-Kwon;Lee, Jun-Jae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2호
    • /
    • pp.85-93
    • /
    • 2010
  • Japanese cedar has low density and poor mechanical performance. Manufacturing glue-laminated timber (glulam) is the best way to compensate for its poor mechanical performance. The Korean Standard (KS) confines outermost lamina of glulam to higher grade than E8, but the yield of higher than grade E8 from logs is only 6.5%.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non-Korean-Standard glulam in structural applications. Allowable stresses determined by both hand-calculation and Monte-Carlo simulation show a higher allowable stress than that of the KS-standard glulam of 6S-22B. In the Korean Standard (KS), knot characteristics are not taken into account. Japanese cedar has relatively small knots. We believe that the small knots in Japanese cedar contribute to a higher allowable stress than the KS-standard glulam would predict. The species classification of KS is required to be further subdivided into sub-species groups based on knot characteristics.

최근 3년(2008-2010)간 식품안전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운영 현황 분석 (Analysis on the National R&D Portfolio of Food Safety in Korea from 2008 to 2010)

  • 곽노성;정지원;이종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5-123
    • /
    • 2013
  • 식품안전관리는 과학적 근거에 따라 진행되어야 한다. FAO/WHO에서는 식품안전관리 4대 원칙 중 하나로 위해성 분석을 제시하고 있으며, WTO에서는 위해성 평가에 입각한 경우에 한하여 자체적인 안전기준을 인정하고 있다. 과학적 분석 없이는 식중독 발생의 원인을 추적 제거함으로써 재발을 막는 것 또한 불가능하다. 연구개발은 과학적 근거를 생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부의 식품안전 연구개발은 11개 정부기관에서 40개가 넘는 사업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 그렇다보니 정확한 통계 자료를 확보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사업명, 과학기술표준분류, 키워드라는 3가지 기준에 따라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진행된 식품안전 연구과제를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 식품의약품안전청과 농림수산식품부 및 농촌진흥청의 연구사업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위해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 등을 위해서는 현재보다 1년 이상 다년도 과제의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SCI 논문을 투고할 수 있는 수준으로 연구의 깊이를 높일 필요도 있다. 노로바이러스 등 생물학적 위해에 대한 연구비중을 높이는 방향으로 연구 포트폴리오의 조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식품안전 관련 사업의 통합 집중화할 필요가 있다. 별다른 차이가 없음에도 부처가 다르다보니 별도로 설정하고 있는 식품안전관리와 농축산물 위생/품질관리로 이원화된 과학기술표준분류의 통합도 필요하다.

국가R&D정보활용을 위한 전문용어사전 구축 (Construction of the Terminology Dictionary for National R&D Information Utilization)

  • 김태현;양명석;최광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217-225
    • /
    • 2019
  • 국가연구개발(R&D, Research and Development) 정보는 정부부처로부터 발주되는 사업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연구분야의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R&D정보 검색을 위해서는 이러한 국가R&D정보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국가R&D 전문용어사전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R&D정보에서 연구분야를 명시하기 위해 활용되는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를 적용하여 국가R&D용어사전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국가R&D 과제정보의 구조적 특성과 그에 따른 과제 키워드의 유용성에 대해 언급하고,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별 국가R&D정보 현황과 국가R&D 용어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R&D용어사전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을 용어사전의 유형과 구조, 사전구축 절차, 정제규칙의 관점에서 정의한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구축되는 국가R&D용어사전은 국가R&D정보 검색 시 한 영 대역어, 동의어 등을 활용한 검색어 확장과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를 활용한 검색 범위 명확화, 용어설명 정보를 활용한 이용자 편의기능 제공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