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R&D project

검색결과 401건 처리시간 0.031초

요크셔종에 대한 경제형질의 유전모수 추정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Economic Traits in Yorkshire)

  • 송광림;김병우;김시동;최진성;김명직;이정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499-506
    • /
    • 2002
  • 본 연구는 1994년부터 2000년까지 축산기술연구소 종축개량부에서 사육된 Yorkshire종 돼지 2,111두의 자료를 근거로 하여 주요 경제형질인 일당증체량, 90kg 도달 일령, 등지방두께에 대한 유전력, 유전상관, 표현형상관을 추정하기 위하여 MTDFREML Package에서 Animal model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분석한 돼지의 주요 경제형질의 평균치는 등지방두께가 1.476 0.241cm, 일당증체량이 0.871 0.124kg, 90kg 도달 일령이 145.397 11.718일이었다. 2. 분석한 형질들의 유전력은 등지방두께가 0.55, 일당증체량이 0.55, 90kg 도달 일령이 0.56으로 전체적으로 고도의 유전력을 보였다. 3. 분석한 형질들의 유전상관은 일당증체량과 90kg 도달 일령에서는 -0.82, 일당증체량과 등지방두께 에서는 0.10, 90kg 도달 일령과 등지방두께 사이에서는 -0.25로 나타났다. 조사된 형질들의 표현형상관은 일당증체량과 90kg 도달 일령에서는 -0.77, 일당증체량과 등지방두께 에서는 0.02, 90kg 도달 일령과 등지방두께 사이에서는 -0.05로 나타났다. 등지방두께에 대한 일당증체량과 90kg 도달 일령사이의 표현형상관은 낮게 나타났지만 유전상관은 다소 높게 나타나 개량시 이점에 대하여 고려하여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유전력에 있어서는 주요 경제형질 모두 고도의 유전력을 나타내어 적절한 선발 및 사양관리가 이루어진다면 Yorkshire종에 대한 유전적 개량량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델파이-AHP 기법을 사용한 국가한의약정책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 제4차 한의약육성발전종합계획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National Korean Medicine Policy Priorities using Delphi-AHP : Focusing on the 4th Comprehensive Plan for Korean Medicine Development)

  • 이은희;김동수;박수경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
    • /
    • 202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iorities for the 4th Comprehensive Plan for Korean Medicine Development using Delphi and AHP techniques. Methods : This study uses Delphi-AHP method to first, select the target priority policy based on the policy content of the 4th Comprehensive Plan. In addition, two surveys on the priorities were conducted to reach consensus between experts. The main results of the first survey were also provided to experts participating in the second survey to help form expert consensus. Finally, the final policy priority was chosen based on the second survey result. Results : Survey results showed that of the 39 policies in the 4th Comprehensive Plan,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Korean medicines," was the most important goal. This was followed by "support for Korean medicine R&D from clinical research to industrialization," "provide foundation for a pilot project that provides customized medical services" and "strengthen the public medicine function of Korean medicine by expanding the its infrastructure in national and public hospitals." Conclusion : The results showed that capacity building of Korean medicine in primary care, improvement of the health insurance system, and research centered on industrialization are relatively more important goals, while the need to enhance global competitiveness was much less important. These key points can serve as a reference when formulating the 5th Comprehensive Plan for Korean Medicine Development in the future.

돼지 브랜드 식별 및 원산지 추적에 활용 가능한 Microsatellite Marker Set의 확립 (Establishment of a Microsatellite Marker Set for Individual, Pork Brand and Product Origin Identification in Pigs)

  • 임현태;서보영;정은지;유채경;종타오;조인철;윤두학;이정규;전진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3호
    • /
    • pp.201-206
    • /
    • 2009
  • 돼지 원산지 추적 및 브랜드육 식별을 위한 MS marker set를 확립하기 위해 EU의 EID+DNA DNA Tracing 연구 project, 국제동물유전학회 및 Roslin 연구소 등에서 제안한 돼지의 다형성 분석에 사용되는 MS marker 중 17종을 선발하여 다형성지수, F-통계량, 동일개체 출현확률 및 친자감별확률 등을 MSA, CERVUS, FSTAT, GENEPOP 및 API-CALC 프로그램 등을 연계적으로 활용하여 추정하였다. 다형성지수 추정치를 1차 선발요인으로 하고, 각 MS marker의 PCR 결과물의 크기 및 분석 비용의 경제성을 추가로 감안하여 최종 13종의 MS marker (SW936, SW951, SW787, S00090, S0026, SW122, SW857, S0005, SW72, S0155, S0225, SW24 and SW632)와 성감별을 위한 2개의 성감별 primer로 조합된 하나의 Multiplexing PCR 시스템을 확립하였다. 이를 이용해 돼지 사육환경을 무작위 교배집단(PI), 반형매 교배집단 그리고 전형매 교배집단으로 가정하여 동일개체 출현확률을 분석한 결과 $2.47\times10^{-18}$, $6.39\times10^{-13}$ 그리고 $1.08\times10^{-8}$로 나타나 브랜드 식별 및 원산지 추적에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열차제어시스템의 상호운영성 확인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험분석 (Analysis of Communication Interface Test for Interoperability Verification of Train Control System)

  • 백종현;이강미;김용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496-450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세계적인 열차제어시스템의 발전 추세에 따라, 향후 국내 열차제어시스템의 개량 및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도권 광역전철 중 하나인 분당선에 시범 설치된 무선통신기반 열차제어용 지상장치와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개발한 무선통신기반 열차제어용 차상장치의 상호운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통신인터페이스 시험의 결과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개발된 무선통신기반 열차제어용 차상장치는 분당선 차량기지에서 설치 및 설치시험을 완료하였으며, 상호운용성 시험을 위해서는 분당선에 시범 설치된 지상장치와 인터페이스 시험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안전이 최우선되는 철도시스템의 특성상 무선통신기반 열차제어용 차상장치를 실제 열차에 설치하고 지상장치가 설치된 구간에서 시험 운행하는 것은 안전에 대한 위험이 뒤따르기 때문에, 무선통신기반 열차제어시스템 모의시험환경을 구성하여, 상호운용을 위한 장치의 송수신 데이터 체계를 확인하고, 이를 개발된 열차제어용 차상장치에 적용하여, 상호운영성을 시험하였다.

자몽종자추출물과 자일리톨이 배합된 껌의 치은염 예방 및 항균효과 (Antimicrobial and anti-gingivitis effect of chewing gum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and xylitol)

  • 진미성;유윤정;최봉규;이희영;김미정;노회진;박종섭;조규성;김종관;최성호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3권3호
    • /
    • pp.485-497
    • /
    • 2003
  • Grapefruit seed extract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microbial e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and anti-gingivitis effect of chewing gum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and xylitol. 40 healthy subjects with gingivitis or early periodontiti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chewed gum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and xylitol whil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chewed gum containing only xylitol. All subjects received scaling and tooth brushing instruction. 1 week after scaling was set as baseline. Gingival index and plaque index were scored at baseline, 1 week, 2 week, 3 week and 4 week. Bleeding index, probing pocket depth and clinical attachment level were scored at baseline, 2 week and 4 week. The number of total bacteria and Streptococcus mutans in unstimulated saliva of experimental group were counted at 1 week, 2 week, 3 week and 4 week. Gingival indice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baseline, 1 week, 2 week, 3 week and 4 week were 0.850${\pm}$0.298, 0.575${\pm}$0.345, 0.533${\pm}$0.332, 0.459${\pm}$0.311, 0.408${\pm}$0.224 and 0.758${\pm}$0.379, 0.592${\pm}$0.276, 0.563${\pm}$0.281, 0.454${\pm}$0.194, 0.413${\pm}$0.199 (mean${\pm}$SD), respectively. Plaque indice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baseline, 1 week. 2 week, 3 week and 4 week were 0.497${\pm}$0.500, 0.375${\pm}$0.484, 0.332${\pm}$0.471, 0,286${\pm}$0.452, 0.210${\pm}$0.407 and 0.411${\pm}$0.492, 0.375${\pm}$0.484, 0.354${\pm}$0.479, 0.313${\pm}$0.463, 0.193${\pm}$0.395, respectively. Bleeding indice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baseline, 2 week and 4 week were 0.377${\pm}$0.177, 0.298${\pm}$0.152, 0.192${\pm}$0.108 and 0.383${\pm}$0.124, 0.318${\pm}$0.153, 0.225${\pm}$0.126, respectively. Probing pocket depth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baseline, 2 week and 4 week were 2.56${\pm}$1.00, 2.40${\pm}$0.65, 2.23${\pm}$0.64 and 2.45${\pm}$0.682.37${\pm}$0.57, 2.19${\pm}$0.57, respectively. Clinical attachment level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baseline, 2 week and 4 week were 2.58${\pm}$1.01, 2.43${\pm}$0.67, 2.26${\pm}$0.65 and 2.49${\pm}$0.70, 2.40${\pm}$0.59, 2.22${\pm}$0.62, respectively. The % of reduction of total bacteria in saliva of experimental group at 2 week, 3 week and 4 week were 46 ${\pm}$ 53%, 53 ${\pm}$ 5% and 69 ${\pm}$ 33%. The % of reduction of Streptococcus mutans count in saliva of experimental group at 2 week, 3 week and 4 week were 52${\pm}$69%, 88${\pm}$30% and 89${\pm}$17%. From thes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regular use of grapefruit seed extract /xylitol chewing gum may be effective to control and prevent gingivitis and may have caries-preventive effect.

내과계 중환자실 약료 서비스 도입과 약물상호작용 모니터링 (Initiation of Pharmaceutical Care Service in Medical Intensive Care Unit with Drug Interaction Monitoring Program)

  • 최재희;최경숙;이광섭;이정연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38-144
    • /
    • 2015
  • Objective: It is to evaluate the drug interaction monitoring program as a pilot project to develop a pharmaceutical care model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and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drug interactions. Method: Electronic medical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for 116 patients who had been hospitalized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from October to December in 2014. The prevalence of adverse reaction with risk rating higher than 'D' was investigated by Lexi-$Comp^{(R)}$ Online database. The factors related with potential drug interaction and with treatment outcomes were analyzed. Result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a potential interaction of drug combination was 92 (79.3%). Average ages, the length of stay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d the numbers of prescription drug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rug interaction group and non-drug interaction group. Opioids (14.4%), antibiotics (7.2%), and diuretics (7.2%) were most responsible drug classes for drug interactions and the individual medications included furosemide (6.4%), tramadol (4.9%), and remifentanil (4.5%). There were 950 cases with a risk rating of 'C' (84.6%), 142 cases with a risk rating of 'D' (12.6%), and 31 cases with a risk rating of 'X' (avoid combination) (2.8%). The factors affecting drug interactions were the number of drugs prescribed (p < 0.0001) and the length of stay at intensive care unit (p < 0.01). The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 showed a high incidence of adverse reactions related to potential drug interaction. Therefore, drug interaction monitoring program as a one of pharmaceutical care services was successfully piloted and it showed to prevent adverse reaction and to improve therapeutic outcomes. Conclusion: Active participation of a pharmacist in the drug management at the intensive care unit should be considered.

데이터 관리 계획의 국내 현황 및 과제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Data Management Plan in Korea)

  • 최명석;이상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220-229
    • /
    • 2020
  •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연구 패러다임이 데이터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연구데이터의 국가적 관리와 활용은 연구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 나아가 데이터 기반으로 급변하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필수 요소이다. 주요 선진국에서는 공적 지원에 의해 수행된 연구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의 공유·활용을 위한 정책과 인프라 구축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2019년 국가연구개발과제 제안시 데이터 관리 계획을 제출하도록 관련 규정이 개정되었다. 데이터 관리 계획 제도가 효과적으로 실행되고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연구자에게 다양한 지원 여건이 필요하다. 또한 데이터 관리 계획 가이드라인과 이행 절차는 국가 또는 기관 차원의 연구데이터 관리·활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데이터 관리 계획의 개요와 국내의 추진 현황 및 이슈를 살펴보고, 작성 가이드라인과 체크리스트, 적용프로세스, 그리고 연구기관에서의 이행방안을 제시한다.

한국 항공기산업의 발전 과정과 현황 (The history and current state of Korean Aircraft Industry)

  • 최우영
    •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
    • 제9권1호
    • /
    • pp.27-36
    • /
    • 2011
  • 본 논문은 한국 항공산업의 발전 과정과 현황에 대해 정리하였다. 해방 이후 창 정비에서 시작한 국내 항공 산업이 1976년 500MD 헬기 생산에서 시작하여 군수를 중심으로 발전한 과정과 21세기의 전략산업으로 육성되고 있는 현황에 대해 각종 국책 사업, 정책, 업계 현황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KTX, KFP, KAH 등과 같은 대형 국책사업을 통해 발전한 국내 항공산업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세계 민수 시장의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 기업, 연구기관 등이 다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국내 항공산업은 비록 규모면 에서 왜소하나 질과 양 모든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해외 항공선진국과의 경쟁은 여전히 치열한 상태이다. 대한민국의 미래에 있어서 항공산업이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육성 분야라는 점에서, 한국의 항공산업의 지속적이고도 강력한 발전노력은 더 한층 필요해질 것이다.

  • PDF

수도권 열섬 중심으로부터 교외까지의 거리 및 국지적 지표특성이 야간 기온분포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the Local Surface Characteristics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Heat Island to Suburban Areas on the Night Temperature Distribution ove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이채연;김규랑;안승만;최영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5-49
    • /
    • 2014
  • 서울과 주변을 포함하는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열섬현상의 특성들을 정량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GIS 및 AWS 관측 자료들을 이용하여 여름과 겨울 야간 기온분포의 공간 경향 그래프를 작성하였다. 또한 기온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31개 AWS 지점들의 야간 평균기온과의 상관성을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야간 평균기온(2004년~2011년) 최고지점과 최저지점의 차이는 여름 $4.5^{\circ}C$, 겨울 $7.1^{\circ}C$ 임을 확인하였다. AWS 지점들 주변의 국지적 지표특성과 기온과의 상관성 분석 결과, 지점별 야간 평균 기온과 반경 1km 이내의 인공피복의 상관계수가 여름(0.84)과 겨울(0.78) 모두에서 높게 나타나 지표면 피복이 중규모적인 도시 열환경 관리에 있어 다른 요인들보다 더 큰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수도권 야간기온에 대한 회귀모형을 변수선택법을 이용하여 개발한 결과 1km 규모에서 보다 200m 규모에서 상세한 지표특성 변수가 선택됨을 알 수 있었는데, 규모에 따른 모형의 설명력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200m 정도의 상세한 지표특성 자료를 이용하는 기후분석 모델의 구현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으며, 모델의 설명력은 1km 수준으로 분석하였을 때와 비슷한 수준인 57%(겨울)~72%(여름)이었다.

셰일가스 자원을 중심으로 한 중국의 에너지·광물자원 조사·탐사·개발 기술 정책분석 (Analysis on Survey, Exploration and Development Policy and Technology of China : Focused on Shale Gas Resources)

  • 이재욱;김성용;안은영;박정규
    • 자원환경지질
    • /
    • 제47권3호
    • /
    • pp.291-302
    • /
    • 2014
  • 중국 정부와 산하기관들은 자국의 불안정한 자원수급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중국 국토자원부(MNR)는 광물에너지자원 잠재력과 가채매장량 평가를 위해 중국 국토자원규획(1999~2010), 중국 광산자원조사규획(2008~2020), 중국 셰일가스산업정책 공고(2013), 중국 셰일가스 자원평가 및 우선 개발지역 선정 프로젝트(2012), 중국 셰일가스 개발규획(2011~2015) 등과 같은 국가 차원의 시책을 시행하였다. 중국의 셰일가스 자원은 국가 매장량의 대부분으로 평가된 우수한 잠재력을 가진 쓰촨분지와 타림분지, 2개의 거대 퇴적분지는 있는데, 이미 전 국토에 걸쳐 셰일가스 가채 매장량이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국의 셰일가스 가채 매장량 규모는 31조 $m^3$(1,115조 cubic feet) 정도로 평가되고 있으며, 중국의 미국, 캐나다와 함께 세계 3대 셰일가스 상업생산이 가능한 국가 중의 하나이다. 지금 중국은 셰일가스의 상업생산을 증진하기 위한 기술개발과 가채 매장량의 확충을 위한 조사 탐사활동에 매진하고 있다. 중국의 이러한 정책과 개발 관련 기술분석을 토대로 할 때, 우리는 국제 유가시장 변동 등에 따른 중국의 셰일가스 개발과 R&D 동향을 적극적으로 모니터링 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