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rrative research

검색결과 569건 처리시간 0.032초

"空間轉向"与叙事空間

  • 조빈;엄영욱
    • 중국학논총
    • /
    • 제66호
    • /
    • pp.1-13
    • /
    • 2020
  • After the "spatial turn" space narrative has become the hottest "doctrine". Howe er, the current space narrative to a bottleneck stage, a variety of reasons. "Spatial turn" of the modern trend of thought has a unshirkable responsibility. Has been, scholars turned to "empty"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space narrative and, type of narrative space narrative theory problem also not too clear by the noun, the term textual research, narrative of space studies provide some of the necessary theoretical support, to promote the healthy de elopment of the research on novel narrative space.

이야기치료 관련 국내연구의 분석 (Analysis on Research of Narrative Therapy in Korea)

  • 이미련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67-175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of the narrative therapy research on 42 studies, the master's and doctor's dissertations in Korea and to propose a direction of the narrative therapy study. Methods. The material used for this study were 42 studies collected from National Digital Library database. The analytic frame of this study is on the year of study, research design, research subjects, key concept, major of researcher and narrative therapy program. Results. Regarding research design, quasi-experimental study was the most used and survey study, program development research in this order. As a research subject, adolescents were the most used and child, aged, in this order. As the key concept, self-esteem was the most used and there were aggression, depression, self-efficacy, etc. As the major of researcher, counseling were the most used and theology, pedagogy, in this order. Conclusions. As a result on the research above, following recommendation can be made. Narrative therapy program should be develop the verify on effect of variables. Narrative therapy study needs to expanded to various subjects. In education field, we should be develop the various methods to apply narrative therapy.

디지털 시대의 고전 서사 읽기 (Reading Korean Classical Narrative in Digital Era)

  • 서유경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16호
    • /
    • pp.91-116
    • /
    • 2008
  • This Study aims to research how we read Korean classical narrative in the digital era and the culture digital made. The meaning of reading Korean classical narrative in digital culture can be divided in four category; first, reading the old narrative text that made and enjoyed a long time ago in digital era, second, reading the old narrative text that made in the old times not as th book but by the media environment that the digital technology made up, third, reading the extended and modified media text by the digital technology from the original old narrative text, fourth, reading the text by the digital technology seeking for the original narrative text as archetype. And it is inspected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digital era and how to read the four type of Korean classical narrative through the example. So we can consider about the characteristic of enjoying Korean classical narrative and method of reading the diversified Korean classical narrative by the digital. Finally, it is conclusion that we must think over the original text of Korean classical narrative and adhere classicality. And we learned we should research more abundant Korean classical narrative text.

문헌정보학 연구방법으로서의 이야기 - 내러티브 탐구를 중심으로 - (Narrative Inquiry, As a Research Methodolog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이호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49-172
    • /
    • 2015
  • 이 연구는 문헌정보학 연구방법의 하나로 이야기의 가능성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사회과학적인 인식의 방법으로서 이야기의 가능성과 힘을 논의하고, 서구 사회과학의 해석학적인, 내러티브적인 전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아울러 연구의 대상이면서 방법인 내러티브 탐구의 특징과 수행 절차를 소개하고, 문화기술적 연구와 현상학적 연구 등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미국에서의 선행연구 사례를 소개하면서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내러티브 탐구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보존기록의 서사적 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arrative Archival Description)

  • 안정희;이해영
    • 기록학연구
    • /
    • 제81호
    • /
    • pp.89-131
    • /
    • 2024
  • 이 연구는 디지털아카이브 환경에서 기록의 생산맥락과 구조를 함께 보여주는 기술이 이용자들에게 어려움을 주는 문제를 인식하고, 기록물의 이야기적 기술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맥락적 이해를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론 연구에서는 아카이브에 서사적 요소의 구체적인 형태와 위치를 파악하고, 보존기록 기술과 서사적 요소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서사적 기술을 기술에서 기록의 서사성을 확보하여 이야기하는 행위로 개념화하였다. 사례연구에서는 TNA, OAC, 늦봄 문익환 아카이브, 오픈아카이브의 기술을 조사·분석하여 서사적 기술을 '기록의 이야기', '기록의 재구성', '기록 해제 및 설명', '정리기술현장에서의 경험과 기억으로부터의 서사성 확보', '서사 플롯 설계'의 유형으로 식별하였다. 또한, 서사적 기술이 이용자들이 기록을 보다 쉽게 공감하고 이해하도록, 자신의 시각에서 다시 경험과 기억의 의미를 탐구하도록 돕는다는 것과, 기록의 해석과 해석자의 역할을 강조하여 아키비스트의 업무활동의 이해를 증진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아카이브를 하나의 콘텐츠로 인식하고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기록 접근점을 높이는 방안으로서, 출처와 맥락을 중시하면서도 주제적 접근이 가능한 기술 안으로서, 기술할 기록의 선별에 관여함으로써 방대한 기록으로 인한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안으로서 서사적 기술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러한 서사적 기술은 아키비스트가 맥락 구성자로서의 서사 정체성을 확립하고, 기록에 대해 폭넓고 깊은 연구를 수행하며, 전문가들과의 협업을 기획함으로써 실행이 촉진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융·복합 학문으로서 내러티브 과학의 시사점 및 방향 탐구 (In Search of Narrative Science as a Convergence Discipline and its Implication and Direction)

  • 강현석;이지은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45-53
    • /
    • 2017
  • 그동안의 학문분야는 한국연구재단에 따라 그 영역이 세분화되어 있었으며, 단일 학문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한 바 있다. 그러나 새로운 트렌드에 따라 융·복합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해결책을 제시해줄 수 있는 융·복합 학문으로서 내러티브 과학의 정의와 그 특성을 탐구하였으며, 이에 따른 시사점과 앞으로의 과제를 도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내러티브 과학은 내러티브 인식론에 바탕을 둔 인간과학으로서, 인간의 해석능력과 소통능력 및 간주관성에 초점을 둔다. 이러한 내러티브 과학은 그 특성에 따라 여러 구조를 갖고 있으며, 기존의 학문체계에 있어 내러티브적 상호연관성을 제공하고 인간 내부의 영역에도 주목을 하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내러티브 과학이 앞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서사학이라는 오해와 질적 연구라는 단일한 연구방법론의 편견으로부터 벗어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변화에 유의하면서 내러티브 과학 분야는 내러티브 철학과 심리학을 토대로 인간과학의 측면에서 융·복합적으로 탐구될 필요가 있다.

A Computational Model to Detect Affective Response Based on Narrative Agent's Knowledge

  • Kwon, Hochang;Kwon, Hyuk Tae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6권3호
    • /
    • pp.51-65
    • /
    • 2020
  • Narratives arouse diverse and rich affective responses to recipients, and this is one of the reasons why narratives are universal and popular. Computational studies on narratives have established a formal model or system of the affective response based on the theory in psychology or media research, and have analyzed or generated a narrative that can evoke a specific affective respons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computational model that can detect the affective response expected to appear in the narrative based on the narrative agent's knowledge. First, we designed a narrative representation model that can elaborately express the event structure and the agent's knowledge as well. Additionally, an analysis method was proposed to detect the three affective responses and the related situational information. Then, we validated the model through a case study about an actual movie narrative. Through the case study, we confirmed that the model captures the affective responses of the audience. The proposed model can be effectively used for the narrative analysis and the creation that must consider the affective responses of the recipient.

서사학적 관점으로 분석한 영화〈오발탄〉의 서사구조 연구 (Analysis of Film 〈Obaltan〉 focused on Narratology's Viewpoint)

  • 김종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11-119
    • /
    • 2011
  • 1980년대 이후 구조주의에 있어 영화연구는 감독이나 텍스트 연구를 벗어나 관객이나 관람행위를 분석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영화의 관람이란 하나의 텍스트와 관객 그리고 이들의 상호 작용에 의존하는 것으로 감독의 서사전략이나 관객의 해석적 자질에 의하여 자의적일 수 있으며, 보편성을 획득하는 유일한 방법은 원칙에 충실한 해석적 담론을 선택하는 길이다. 우리가 흔히 영화 서사체에서 서사를 통해 사건을 재현하기 위해서는 사건이 영화언어로 구성되는 기호체계에 의해서 구조화되어야 하고 이 기호체계 즉, 감독의 서사전략은 관객과의 사이에 일정한 미적거리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를 분석하려는 일련의 연구들은 감독과 관객과의 간극을 좁히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받아들여지며 그런 만큼 보편타당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인은 영화서사체를 '서사'와 '서사행위'의 단위로 분석하여 그 형식과 기능을 연구하려는 서사시학 소위, 서사학의 접근 방법을 따를 것이다. 이러한 서사시학의 논저에는 이야기가 사건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한 사건에서 인접한 다른 사건과의 배열을 통해 시퀀스라는 단위로 구조화되는 것에 주목한다. 또한, 이 사건의 연쇄를 논리적으로 재현하기 위해 감독은 관객과의 교감을 필요로 하며, 이 재현 양식이 감독마다의 서사전략으로 특징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인은 사건의 구조화에 관련한 '서사'와 관객에게 이 이야기를 재현하는 방식에 관심을 둔 '서사행위'로 영화 <오발탄>의 서사구조 분석을 시도할 것이다.

Spoken and Written Narrative in Persian-Speaking Students Who Received Cochlear Implant and/or Hearing Aid

  • Zamani, Peyman;Soleymani, Zahra;Rashedi, Vahid;Farahani, Farhad;Lotfi, Gohar;Rezaei, Mohammad
    • Clinical and Experimental Otorhinolaryngology
    • /
    • 제11권4호
    • /
    • pp.250-258
    • /
    • 2018
  • Objectives. To compare narrative skills between fourth and fifth grades of Persian-speaking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typical hearing students of the same grade and also to evaluate the effects of group, sex, hearing age, and educational grade of the students on their spoken/written narrative performance. Methods. The subjects were 174 students aged 10-13 years, 54 of whom wore cochlear implants, 60 suffered from moderate to severe hearing losses and wore hearing aids, with the remaining 60 students being typical hearing in terms of the sense of hearing. The micro- and macrostructure components of spoken and written narrative were elicited from a pictorial story (The Playful Little Elephant) and then scored by raters. Results. Compared to the typical hearing,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in all of the microstructure components of narratives. However, the finding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ifferent groups in macrostructure components of narratives.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students had equal performance in spoken and written narrative. Finally, factor analysis manifested that group, sex, hearing age, and educational level of children might alter the outcome measures in various interactions. Conclusion. Although cochlear implant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hearing aid on spoken and written narrative skills, the Persian-speaking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were seen to need additional trainings on microstructure components of spoken/written narrative.

그래픽 노블 『하비비』의 표현양식과 여성 성장 서사 연구 (A Study on Woman Growth-Narrative and Modes of Expression Graphic Novel 『Habibi』)

  • 이영수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3호
    • /
    • pp.231-254
    • /
    • 2016
  • 그래픽 노블은 시각적 표현 부분 및 서사적 가치의 측면에서 대개 일반 만화와 다르다고 인지된다. 그러나 이 모호한 기준 때문에 각 작품을 통해 그래픽 노블의 잠재성을 제고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최근에 그래픽 노블로 널리 인정받은 작품인 크레이그 톰슨의 "하비비"를 대상으로 표현양식과 서사 양쪽 면에서 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미국 작가가 아랍권의 여성을 그려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선택한 표현양식이 어떻게 서사와 연계되는지 분석함으로써, 그래픽 노블이 가질 수 있는 서사적 전략을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하비비"에 나타난 아랍 문자의 이미지화를 중심으로 새로운 표현양식을 연구하고, 게일 루빈의 여성 거래 이론으로 "하비비"에 투영된 여성 성장서사를 살펴, 이것이 어떻게 그래픽 노블의 표현양식과 결합하였는지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독자적 서사 형식을 지닌 만화 매체로서 그래픽 노블이 가진 표현양식의 스펙트럼을 넓히고, 서사의 잠재성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