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no structure

검색결과 1,958건 처리시간 0.041초

RIE 공정을 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광 산란층 제작 (Fabrication of Scattering Layer for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OLEDs)

  • 배은정;장은비;최근수;서가은;장승미;박영욱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5-102
    • /
    • 2022
  • Since th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have been widely investigated as next-generation displays, it has been successfully commercialized as a flexible and rollable display. However, there is still wide room and demand to improve the device characteristics such as power efficiency and lifetime. To solve this issue, there has been a wide research effort, and among them,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light extraction techniques have been attracted in this research field by its fascinating characteristic of material independence. In this study, a micro-nano composite structured external light extraction layer was demonstrated. A reactive ion etching (RIE) process was performed on the surfaces of hexagonally packed hemisphere micro-lens array (MLA) and randomly distributed sphere diffusing films to form micro-nano composite structures. Random nanostructures of different sizes were fabricated by controlling the processing time of the O2 / CHF3 plasma. The fabricated device using a micro-nano composite external light extraction layer showed 1.38X improved external quantum efficiency compared to the reference device. The results prove that the external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improved by applying the micro-nano composite structure on conventional MLA fabricated through a simple process.

High quality tubular field emission lamp using a wire type carbon-nano-structure emitter (CNX)

  • Hiraki, Hirohisa;Harazono, Hideki;Onozawa, Takuya;Nakamoto, Masayuki;Hiraki, Akio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591-1593
    • /
    • 2008
  • The tubular field emission lamp (FEL) was developed using a wire type carbon-nano-structure emitter called CNX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tubular FEL (diode type, diameter: ${\varphi}15.5mm$, length: 200mm) has already achieved around 45lm/W and we expect to achieve over 60lm/W within the year.

  • PDF

세차전자회절을 이용한 $BaTiO_3$ 나노 결정의 구조분석 (Structure Determination of Nano-crystalline, $BaTiO_3$, using Precession Electron Diffraction)

  • 송경;김윤중;권기현;김진규;문선민;조남희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4호
    • /
    • pp.341-34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평균 입자크기가 100 nm인 $BaTiO_3$ 나노 결정체의 결정 구조를 전자회절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자회절을 이용하여 구조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PED 장치의 실험인자를 보정한 후, PED와 일반적인 SAED를 이용하여 전자회절도형을 획득하여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BaTiO_3$ 나노 결정체에 대해 PED를 이용한 구조분석을 수행한 결과, $BaTiO_3$ 나노입자는 상온에서 입방정계와 정방정계의 구조가 혼합되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론적 계산을 통해 두 상이 혼재된 $BaTiO_3$ 나노입자는 입방정계의 구조가 약 8.5nm의 표면을 형성하고 있는 coreshell 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BaTiO_3$ 나노입자에 대한 입방정계와 정방정계 구조의 각각의 격자상수는 a=3.999${\AA}$과 a=3.999${\AA}$, c=4.022${\AA}$이었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SAED에 비해 뛰어난 공간분해능과 다중산란 효과를 억제할 수 있는 PED 기법은 복합 나노 구조체의 결정구조분석에 보다 유용한 분석 기술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rench 구조를 이용한 단일모드형 고휘도 발광소자의 광출력 증가 (Optical power enhancement of superluminescent diodes utilizing trench)

  • 유영채;한일기;이정일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53-358
    • /
    • 2007
  • 기저준위의 중심 피크가 $1.3\;{\mu}m$인 다층 양자점 구조를 사용하여 트렌치 구조를 가진 J-형태의 고휘도 발광소자 (superluminescent diodes)를 제작하였다. 도파로와 트렌치 구조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광출력이 최대 20배까지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전류의 증가에 의한 EL 피크 측정결과 트렌치 구조를 가진 경우에 여기준위의 피크가 기저준위의 피크보다 수 십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로부터 트렌치 증가에 의한 광출력의 증가는 양자점의 여기준위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