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amed entity recognition

Search Result 15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Performance Comparison of Recurrent Neural Networks and Conditional Random Fields in Biomedical Named Entity Recognition (의생명 분야의 개체명 인식에서 순환형 신경망과 조건적 임의 필드의 성능 비교)

  • Jo, Byeong-Cheol;Kim, Yu-Seo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321-323
    • /
    • 2016
  • 최근 연구에서 기계학습 중 지도학습 방법으로 개체명 인식을 하고 있다. 그러나 지도 학습 방법은 데이터를 만드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석 된 말뭉치를 사용하여 지도 학습 방법을 사용 한다. 의생명 개체명 인식은 Protein, RNA, DNA, Cell type, Cell line 등을 포함한 텍스트 처리에 중요한 기초 작업입니다. 그리고 의생명 지식 검색에서 가장 기본과 핵심 작업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순환형 신경망과 워드 임베딩을 자질로 사용한 조건적 임의 필드에 대한 성능을 비교한다. 조건적 임의 필드에 N_Gram만을 자질로 사용한 것을 기준점으로 설정 하였고, 기준점의 결과는 70.09% F1 Score이다. RNN의 jordan type은 60.75% F1 Score, elman type은 58.80% F1 Score의 성능을 보여준다. 조건적 임의 필드에 CCA, GLOVE, WORD2VEC을 사용 한 결과는 각각 72.73% F1 Score, 72.74% F1 Score, 72.82% F1 Score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 PDF

Improving Quality of Training Corpus for Named Entity Recognition Using Heuristic Rules (휴리스틱을 이용한 개체명 인식 학습 말뭉치 품질 향상)

  • Lee, Seong-Hee;Song, Yeong-Kil;Kim, Hark-S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202-205
    • /
    • 2015
  • 개체명 인식은 문서에서 개체명을 추출하고 추출된 개체명의 범주를 결정하는 작업이다. 기존의 지도 학습 기법을 이용한 개체명 인식을 위해서는 개체명 범주가 수동으로 부착된 대용량의 학습 말뭉치가 필요하며, 대용량의 말뭉치 구축은 인력과 시간이 많이 들어가는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 말뭉치 구축비용을 최소화하고 초기 학습 말뭉치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말뭉치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반자동 개체명 사전 구축 방법으로 구축한 개체명 사전과 원거리 감독법을 사용하여 초기 개체명 범주 부착 말뭉치를 구축한다. 그리고 휴리스틱을 이용하여 초기 말뭉치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학습 말뭉치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개체명 인식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험 결과 휴리스틱 적용을 통해 개체명 인식의 F1-점수를 67.36%에서 73.17%로 향상시켰다.

  • PDF

An Analysis of Named Entity Recognition System using MLM-based Language Transfer Learning (MLM 기반 언어 간 전이학습을 이용한 개체명 인식 방법론 분석)

  • Junyoung Son;Gyeongmin Kim;Jinsung Kim;Yuna Hur;Heuiseok L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284-288
    • /
    • 2022
  • 최근 다양한 언어모델의 구축 및 발전으로 개체명 인식 시스템의 성능은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는 데이터가 충분한 언어에 대해서만 다루기 때문에, 양질의 지도학습 데이터의 존재를 가정한다. 대부분의 언어에서는 개체 유형에 대한 언어의 잠재적 특성을 충분히 학습할 수 있는 지도학습 데이터가 부족하기 때문에, 종종 자원 부족의 어려움에 직면한다. 본 논문에서는 Masked language modeling 기반 언어 간 전이학습을 이용한 개체명 인식 방법론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전이를 수행하는 소스 언어는 고자원 언어로 가정하며, 전이를 받는 타겟 언어는 저자원 언어로 가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언어모델의 토큰 사전에 언어 독립적인 가상의 자질인 개체 유형에 대한 프롬프트 토큰을 추가하고 이를 소스 언어로 학습한 뒤, 타겟 언어로 전이하는 상황에서 제안하는 방법론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론은 일반적인 미세조정 방법론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한국어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은 타겟 언어는 네덜란드어, 한국어로 전이할 때 가장 큰 영향을 준 소스 언어는 중국어인 결과를 보였다.

  • PDF

Personal Information Detection and De-identification System using Sentence Intent Classification and Named Entity Recognition (문장 의도 분류와 개체명 인식을 활용한 개인정보 검출 및 비식별화 시스템)

  • Seo, Dong-Kuk;Kim, Gun-Woo;Kim, Jae-Young;Lee, D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1018-1021
    • /
    • 2020
  • 최근 개인정보가 포함된 비정형 텍스트 문서들이 유출되거나 무분별하게 공개됨으로써 정보의 주체는 물론 기업들까지 피해를 받고 있다. 데이터를 공개 및 활용하기 위해 개인정보 검출 및 비식별화 과정이 필수적이지만 정형 데이터와는 달리 비정형 데이터의 경우 해당 과정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를 위해 딥러닝 모델들을 사용하여 자동화하려는 연구들이 있었지만 문장 내 단어의 모호성에 대한 고려 없이 단어 개체명 정보에만 의존하여 개인정보를 검출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문장 내 단어들 중 식별 대상인 단어들도 비식별화 되어 데이터에 대한 유용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남겼다. 본 논문에서는 문장의 의도 정보를 단어의 개체명 학습 과정에 부가적인 정보로 활용하는 개인정보 검출 모델과 개인정보 데이터의 유용성을 고려한 비식별화 기법을 제안한다.

Korean Named Entity Recognition Using BIT Representation (BIT 표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개체명 인식)

  • Yoon, Ho;Kim, Chang-Hyun;Cheon, Min-Ah;Park, Ho-Min;Namgoong, Young;Choi, Min-Seok;Kim, Jae-Kyun;Kim, Jae-H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190-194
    • /
    • 2019
  • 개체명 인식이란 주어진 문서에서 개체명의 범위를 찾고 개체명을 분류하는 것이다. 최근 많은 연구는 신경망 모델을 이용하며 하나 이상의 단어로 구성된 개체명을 BIO 표기법으로 표현한다. BIO 표기법은 개체명이 시작되는 단어의 표지에 B(Beginning)-를 붙이고, 개체명에 포함된 그 외의 단어의 표지에는 I(Inside)-를 붙이며, 개체명과 개체명 사이의 모든 단어의 표지를 O로 간주하는 방법이다. BIO 표기법으로 표현된 말뭉치는 O 표지가 90% 이상을 차지하므로 O 표지에 대한 혼잡도가 높아지는 문제와 불균형 학습 문제가 발생된다. 본 논문에서는 BIO 표기법 대신에 BIT 표기법을 제안한다. BIT 표기법이란 BIO 표기법에서 O 표지를 T(Tag) 표지로 변환하는 방법이며 본 논문에서 T 표지는 품사 표지를 나타낸다. 실험을 통해서 BIT 표기법이 거의 모든 경우에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yllable-based Korean Named Entity Recognition and Slot Filling with ELECTRA (ELECTRA 모델을 이용한 음절 기반 한국어 개체명 인식과 슬롯 필링)

  • Do, Soojong;Park, Cheoneum;Lee, Cheongjae;Han, Kyuyeol;Lee, Miry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337-342
    • /
    • 2020
  • 음절 기반 모델은 음절 하나가 모델의 입력이 되며, 형태소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모델에서 발생하는 에러 전파(error propagation)와 미등록어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개체명 인식은 주어진 문장에서 고유한 의미를 갖는 단어를 찾아 개체 범주로 분류하는 자연어처리 태스크이며, 슬롯 필링(slot filling)은 문장 안에서 의미 정보를 추출하는 자연어이해 태스크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도메인 슬롯 필링 데이터셋을 구축하며, 음절 단위로 한국어 개체명 인식과 슬롯 필링을 수행하고, 성능 향상을 위하여 한국어 대용량 코퍼스를 음절 단위로 사전학습한 ELECTRA 모델 기반 학습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국립국어원 문어체 개체명 데이터셋에서 F1 88.93%, ETRI 데이터셋에서는 F1 94.85%, 자동차 도메인 슬롯 필링에서는 F1 94.74%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이 의미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A Study on Identifying Personal Information on Conversational Text Data (대화형 텍스트 데이터 내 개인정보 식별에 대한 연구)

  • Cha, Do Hyun;Kown, Bo Keun;Youn, Hee Chang;Lee, Gu Hyup;Joo, Jong Wha J.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11-13
    • /
    • 2022
  • 데이터 3 법을 필두로, 기업은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비식별 처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기존 방식은,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정규표현식을 통한 개인정보 식별은 데이터의 다양성에 의해 한계가 명확하며, 기존의 Named Entity Recognition(NER) 태스크로 해결하기에는 언어의 중의적 표현과 2 인 대화에서 나타나는 개인정보가 누구의 것인지 판단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우리는 기존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개선하기 위해 BERT 언어 모델에 화자 정보를 학습시키고, 하나의 어절에 2 개의 tag 를 labeling 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정확한 개인정보 식별을 시도하였다.

Personal Smart Travel Planner Service

  • Ki-Beom Kang;Myeong Gyun Kang;Seong-Hyuk Jo;Jeong-Woo Jwa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v.11 no.4
    • /
    • pp.385-392
    • /
    • 2023
  • The smart tourism service provides tourists with personal travel planner services and context-awareness-based tour guide service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personal travel planner service that creates my travel itinerary using the smart tourism app and the travel planner system. The smart tourism app provides recommended travel products and POI tourist information used to create my travel itinerary. The smart tourism app also provides the smart tourism chatbot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select POI tourist information easily and conveniently. The travel planner system consists of the smart tourism information system and the smart tourism chatbot system. The smart tourism information system provides users with travel planner services, recommended travel products, and POI tourism information through the smart tourism app. The smart tourism chatbot system consists of named entity recognition (NER), dialogue state tracking (DST), and Neo4J servers, and provides chatbot services as a smart tourism app. Users can create their own travel itinerary, modify the travel itinerary while traveling, and then register it as a recommended travel product to users, including acquaintances.

Building a Business Knowledge Base by a Supervised Learning and Rule-Based Method

  • Shin, Sungho;Jung, Hanmin;Yi, Mun Yo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v.9 no.1
    • /
    • pp.407-420
    • /
    • 2015
  • Natural Language Question Answering (NLQA) and Prescriptive Analytics (PA) have been identified as innovative, emerging technologies in 2015 by the Gartner group. These technologies require knowledge bases that consist of data that has been extracted from unstructured texts. Every business requires a knowledge base for business analytics as it can enhance companies' competitiveness in their industry. Most intelligent or analytic services depend a lot upon on knowledge bases. However, building a qualified knowledge base is very time consuming and requires a considerable amount of effort, especially if it is to be manually created. Another problem that occurs when creating a knowledge base is that it will be outdated by the time it is completed and will require constant updating even when it is ready in use. For these reason, it is more advisable to create a computerized knowledge base. This research focuses on building a computerized knowledge base for business using a supervised learning and rule-based method.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is based on information extraction, but it has been specialized and modified to extract information related only to a business. The business knowledge base created by our system can also be used for advanced functions such as presenting the hierarchy of technologies and products, and the relations between technologies and products. Using our method, these relations can be expanded and customized according to business requirements.

Fine-Grained Named Entity Recognition using Conditional Random Fields for Question Answering (Conditional Random Fields를 이용한 세부 분류 개체명 인식)

  • Lee, Chang-Ki;Hwang, Yi-Gyu;Oh, Hyo-Jung;Lim, Soo-Jong;Heo, Jeong;Lee, Chung-Hee;Kim, Hyeon-Jin;Wang, Ji-Hyun;Jang, Myung-Gi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6.10e
    • /
    • pp.268-272
    • /
    • 2006
  • 질의응답 시스템은 사용자 질의에 해당하는 정답을 찾기 위해서 세부 분류된 개체명을 사용한다. 이러한 세부 분류 개체명 인식을 위해서 대부분의 시스템이 일반 대분류 개체명인식 후에 사전 등을 이용하여 세부 분류로 나누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질의응답 시스템을 위한 세부 분류 개체명 인식을 위해서 Conditional Random Fields를 이용한다. 개체명 인식의 과정을 개체명 경계 인식과 경계가 인식된 개체명의 클래스 분류의 두 단계로 나누어, 개체명 경계 인식에 Conditional Random Fields를 이용하고, 경계 인식된 개체명의 클래스 분류에는 Maximum Entropy를 이용한다. 실험결과 147개의 세부분류 개체명 인식에 대해서 정확도 85.8%, 재현률 81.1%. F1=83.4의 성능을 얻었고. baseline model 보다 학습 시간이 27%로 줄고 성능은 증가하였다. 또한 제안된 세부 분류개체명 인식기를 이용하여 질의응답 시스템에 적용한 결과 26%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