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me authority control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1초

국내 학술논문 저자명 전거데이터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for Name Authority Data of the Korean Academic Papers)

  • 이석형;곽승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05-11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지, 회의자료 등 학술논문에 나타나는 저자명을 중심으로 저자명 전거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과 이를 적용한 전거데이터 구축시스템을 제시하는데 있다. 학술논문 저자명 전거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해 저자명 식별 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저자 식별방법을 제안하였으며, 국내 학술논문의 저자명을 대상으로 실제 저자명 전거레코드를 구성하였다. 또한, 학술논문의 입수주기 및 규모를 고려하여 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구축과 동시에 전거데이터가 구축, 관리되고 학술정보 서비스와 연계될 수 있도록 학술논문 관리시스템과 서비스시스템과 본 연구의 제안 시스템이 상호 연계성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인명표목통제를 위한 전거레코드작성기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Guideline of Authority Record for Heading Control of Personal Name)

  • 정옥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57-282
    • /
    • 2001
  • 이 연구는 인명표목통제를 위한 전거레코드작성의 합리적인 기준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ICCP의 제원칙의 성명, 한국편목규칙의 표목부와 한국문헌목록정보에 있는 인명표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제점을 조사하여 인명표목에 대한 레코드작성지침을 제시하였다. 표목통제를 위한 레코드작성지침은 별도로 편찬하지 않고, 편목규칙의 표목부 규칙에 통합하여 편찬하는 것이 더욱 유용하고 합리적이다. 또한 효율적인 검색을 위하여 동명이인의 구별방안과 주제명일람표 작성방안을 제시 하였다 .

  • PDF

한국인 저자 전거에 관한 국가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uthority Records for Korean Writers Among Countries)

  • 김송이;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79-403
    • /
    • 2015
  • 저자 전거 관리는 저자 정보에 대한 관리뿐만 아니라, 저자명의 이형을 모아 접근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이용자에게 유용하다. 본 연구는 한국문학번역원의 한국문학 작가명 데이터베이스(문인DB)와 한국과 미국, 일본의 국립도서관이 구축한 한국인 저자 전거레코드의 구축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한국인 저자 전거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문인DB는 번역출간도서의 정보가 상당수 기입되지 않았고 미의회도서관과 일본 국립국회도서관의 전거레코드는 저자명 누락, 잘못된 저자명 기입, 출생년과 사망년의 미표기 등 항목 누락과 오기가 발견되었으며, 국립중앙도서관은 영문 이형 및 한자 이형이 기입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인DB 정보의 수정 및 갱신, 국립중앙도서관의 전거레코드 공개, 한국문학번역원과 국립중앙도서관 등 주요 기관을 중심으로 한 국제전거 파일(VIAF)의 참가를 개선방안으로 제안하였다.

국내 공공도서관의 인명 전거제어의 현황 및 발전 방향 (Personal Name Authority Control in Korean Public Libraries)

  • 심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21-244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목록에서 개인저자명에 대한 전거제어의 적용 여부 혹은 적용 범위가 검색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전거제어를 활용한 검색 재현을 향상 방안을 제시한 후 궁극적으로 국내 공공도서관 전거제어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립중앙도서관목록, KOLISNET, 및 열 개의 무작위로 선정한 공공도서관의 온라인 목록에서 같은 외국이름의 다른 우리말표기 형태와 성명 도치 형태 및 같은 국내인물의 다른 이름의 사레를 검색한 결과로 부분적이며 불완전한 전거제어를 수행하는 국립중앙도서관을 제외한 다른 공공도서관들의 전거제어 미적용 현황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서지레코드의 불완전성, 부정화성 및 일관성 결여, 검색방법의 문제점 등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저자명 검색 시 찾기와 모으기 기능의 향상을 위해 적절한 수준과 범위의 전거제어의 적용 필요성, 공유 전거파일의 구측 필요성. 국립중앙도서관의 전거데이터베이스 활용 가능성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검색시스템의 보완을 위해 LC 목록이나 AMICUS와 같이 검색 질의 시 서지레코드 건수를 포함한 이름표목 리스트를 거쳐 서지리스트로 갈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이에 관련된 개인명의 식별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기관 리포지터리의 검색기능 향상을 위한 인명 접근점제어 시스템 구축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 Name Access Point Control System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Information Retrieval from Institutional Repositories)

  • 김미향;김태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25-14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셀프 아카이빙(self-archiving)을 기본으로 메타데이터가 구축되는 기관 리포지터리의 인명 검색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인명 접근점제어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도서관의 전거데이터를 활용하면서도 전거형을 인정하지 않고, 정보원에 기재된 형식을 모두 접근점으로 사용하는 그룹화 방법을 사용하고, 동명이인 처리를 위해 저작자의 주제분야와 저작정보를 확장해서 사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토대로 인명 접근점제어 데이터를 구축하고 시스템에 적용하여 검색의 기능이 향상되었다. 향후 기관 리포지터리 외에 도서관이 총괄하는 모든 메타데이터의 검색 기능 향상을 위해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지명 전거 표준화를 위한 지명 전거데이터 기술 지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Place Name Authority Standardization)

  • 백지원;이성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69-192
    • /
    • 2024
  • 본 연구는 지명 전거데이터의 체계적 구축과 표준화 필요성에 따라 지명 전거데이터 기술에 필요한 한국 특성에 맞는 지침을 개발함으로써 국가 전거 고품질화의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명전거와 관련된 국내·외 동향 및 사례 조사를 실시하고, 지명 전거 구축을 위한 각국의 규칙과 지침을 분석했다. 이러한 현황 조사 및 규칙 분석을 바탕으로 지명 전거데이터 구축에 필요한 개념 범위와 용어를 정의하고 지명 전거데이터 지침 개발의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 지침이 포함해야 할 범위, 체계, 기존 규칙의 참조 내용과 방식 등을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지침의 체계는 Original RDA와 NCR을 기준으로 삼아 설정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중심으로 구축 대상 범위, 우선 지명 선정 및 기록, 이형 지명의 기록, 지명의 속성 등으로 지침을 구성하고 내용을 제시하여 한국 실정에 맞는 지명 전거데이터 기술 지침(안)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른 향후 논의사항을 밝혔다.

수집형 기록관의 전거제어시스템 분석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리시스템의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Authority Control System in Collecting Repository -from the case of Archival Management System in Korea Democracy Foundation-)

  • 이현정
    • 기록학연구
    • /
    • 제13호
    • /
    • pp.91-134
    • /
    • 2006
  • 일반적으로 사적(私的)영역에서 수집되는 기록물, 즉 매뉴스크립트는 물리적 상태가 불량하고 기록물의 전후 맥락과 생산이력에 대한 정보가 파편적으로 수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때문에 수집형 기록관에서는 다양한 경로로 수집되는 기록물에 대한 생산기관(생산자)명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기록물 생산배경을 이해할 때 핵심요소인 출처정보를 축적할 필요가 있다. 수집형 기록관에서 이러한 전거제어와 출처정보 관리는 수집부터 체계화되어야 하며, 이는 수집시 관리과정까지 고려하여 필요한 정보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논문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이 개발한 사료관리시스템 가운데 전거제어 방식을 소개함으로써 수집형 기록관의 전거제어 및 출처정보 축적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기록물 전거시스템을 구축할 때 고려할 사항들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료관리에서 전거제어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사료전거제어 기준과 실무절차, 구축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료관 사료전거시스템의 특징은 수집, 등록, 기술 등 각 업무 흐름에 따라 전거를 제어하고 출처정보를 관리하여 이를 사료의 지적 관리와 검색도구로 이용한다는 것에 있다. 끝으로 이러한 전거관리 사례를 통해 국제표준인 ISAAR(CPF)를 준용하여 기관마다 적합한 형태로 기술요소를 재구성하고 전거파일 유형을 설정하여 표준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수집형 기록관에서 기록물 전거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미국과 일본의 일본인 저자 전거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uthority Records for Japanese Writers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 김송이;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49-170
    • /
    • 2014
  • 저자명 전거 통제는 도서관 목록 전문가뿐만 아니라 이용자에게도 통일된 접근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미국과 일본의 국가도서관은 일찌감치 저자명에 대한 전거레코드를 구축하고 통제해 오고 있으며, 이를 웹으로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소설가를 표본으로 해서 양국의 전거레코드 구축 현황과 기술수준 및 항목을 비교하여 기술 공통항목을 추출하고, 차이점을 찾아내어 국내 전거레코드 기술상 고려사항과 전거레코드 구축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더 나아가 국립중앙도서관의 전거 파일 공개, 다른 시스템과의 호환을 고려한 전거 파일의 다양한 형식 제공, 전거레코드 기술을 위한 개인명표목의 선택과 형식기준 기술방침 작성,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외국인 저자명 작성 및 다른 표기들에 대한 이명 전거, 전거레코드와 도서관목록의 링크를 통한 검색 제공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Rate of Waste in Authority Names for the Web of Science Journals among Saudi Universities

  • Otaibi, Abdullah Al;Sawy, Yaser Mohammad Al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7호
    • /
    • pp.267-272
    • /
    • 2021
  • The current study aimed at measuring the rate of loss in search results of the actual number of publications in journals indexed by Web of Science when not using the accurate official authority name as indic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Conducting a search using the authority name does not always yield complete results of all existing publications. Researchers in Saudi universities tend to use up to 10 different random names of universities when searching. This interesting fact has prompted the authors of this paper to conduct a study on the search results of 30 Saudi universities using the authority name as indic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statistical analyses revealed that there is a high tendency for the wrong use of authority names. Results show that 8 universities were not found in the search results. Furthermore, other universities are losing between 10 and 30% of search results that reflect the actual number of publications. Consequently, the rank of each university, as well as the general rank of Saudi universities in the Web of Science, will be affected.

전거제어를 위한 국제표준이름식별자(ISNI)의 활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ISNI for Authority Control)

  • 이미화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33-151
    • /
    • 2014
  • 본고는 정보산업 분야 전체를 포괄하는 연계식별자로서 ISNI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ISNI의 개념 및 전거제어에서 이의 활용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ISNI는 창작, 생산, 관리, 내용 배포의 흐름에서 정보매체 내용산업 전체와 관련된 개인(Party)의 대중개체(Public Identities) 식별을 위한 연계식별자로 전세계 망라적 이름 전거제어를 위해 필요하다. 우선 ISNI의 개념, 목적, 용어, 식별자구조, ISNI 할당원칙, 관리방식, 메타데이터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거제어에서 활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첫째, 국내 협력 전거제어를 위해 ISNI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국내에 맞는 ISNI 체제인 KISNI를 구축하여 도서관 및 정보산업 분야에서 생산되는 모든 전거데이터를 상호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둘째, 연계식별자인 ISNI를 이용하여 여러 식별자를 연계함으로 링크드데이터 구축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셋째, 서지레코드 및 전거레코드에 ISNI 식별자를 기술할 수 있도록 KORMARC을 확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