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TP

Search Result 43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트리아졸로피리미딘계 유도체에 의한 보리 Acetolactate Synthase의 저해 (Inhibition of Barley Acetolactate Synthase by Triazolopyrimidine Derivative)

  • 김성호;남궁성건;신정휴;장수익;최정도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61-468
    • /
    • 1999
  • Acetolactate synthase (ALS)는 가지를 가진 필수아미노산 Val, Leu, Ile의 생합성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효소이다. ALS는 서로 구조적 유사성이 없는triazolopyrimidine, imidazolinone,sulfonylurea, 그리고 pyrimidyl-oxy-benzoate 제초제들의 공통적인 작용 표적이다. 보리로부터 부분 정제한 ALS를 이용하여 새로이 합성한 triazolopyrimidine sulfonamide 유도체들의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활성을 가진 유도체들의 $IC_{50}$ 값은 0.5nM∼8${\mu}M$ 범위였으며, 그 중에서 탁월한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은 TP1과TP2 유도체로 $IC_{50}$ 값은 각각 0.5 nM과 1.6 nM이였다. 이 저해제들은 기존의 상품화된 제초제인 Metosulam ($IC_{50}$;3.6 nM), Flumetsulam ($IC_{50}$;126 nM), 그리고 Cadre ($IC_{50};4 {\mu}M$)에 비해 보리 ALS에 대한 저해 활성이 보다 우수하였다. 보리 ALS에 대한 TP2의 저해 활성은 반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혼합형 저해 유형을 보였다. TP2와 imidazolinone 계열의 제초제인 Cadre, 그리고 되먹임(feedback) 저해제인 Leu에 대한 이중저해 (dual inhibition) 실험 결과 TP2와 Cadre의 경우는 평행한 반응속도론적 형태가 그러나 TP2와 Leu의 경우는 한 점에서 만나는 반응속도론적 헝태가 얻어졌다. 이는 TP2와 Cadre의 결합 부위가 최소한 부분적으로 중복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Cys 잔기에 대한 화학적 변형은 TP2와 Cadre의 결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Leu의 결합에는 영향을 미쳤다.

  • PDF

마그네슘 및 칼슘 이온이 알루미늄 응집에 의한 인 제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gnesium and Calcium Ions on the Phosphorus Removal by Aluminium Coagulation)

  • 전동걸;이범;이영주;전항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31-236
    • /
    • 2011
  • 본 연구는 알루미늄 응집에 의한 인 제거 공정에 마그네슘 및 칼슘과 같은 2가의 금속이온을 첨가하였을 경우 인의 응집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인을 제거하기 위한 최적 알루미늄 응집 pH는 약 5~6 사이이며, 그 이상 pH에서는 TP 제거효율이 감소하였다. 마그네슘이나 칼슘과 같은 2가의 금속이온을 알루미늄 응집공정에 함께 사용할 경우 pH 6 이상 에서도 TP 및 $H_nPO_4^{n-3}$ 제거효율은 안정적으로 95% 이상을 유지하였다. 응집초기 $Al^{3+}/H_nPO_4^{n-3}$ (Al/P) 몰비가 3 이상에서 TP 제거효율이 80% 이상 높게 유지되었으며, 응집 후 잔류 TP 농도를 0.2 mg/L 이하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Al/P 몰비는 약 6 이상 이었다. 마그네슘이나 칼슘 이온을 알루미늄 응집공정에 함께 사용할 경우 TP 제거를 위한 최적의 알루미늄 대비 마그네슘 및 칼슘 이온의 몰비($Al^{3+}/Mg^{2+}$ or $Ca^{2+}$)는 모두 2이었다. 알루미늄 응집공정에 마그네슘이나 칼슘 이온을 함께 사용하면, 동일한 양의 TP를 제거하기 위한 알루미늄 응집제 주입량이 감소하였고, 결과적으로 최종 슬러지 발생량도 감소하였다.

하수의 N/P 비가 Botryococcus braunii 증식과 영양염류제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P Ratio on the Biomass Productivity and Nutrient Removal in the Wastewater using Botryococcus braunii)

  • 최희정;이승목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609-613
    • /
    • 2014
  • 본 연구는 미세조류 생장에 중요한 영향인자인 N/P ratio가 미세조류의 생장과 하수의 영양염류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1-70까지의 다양한 N/P ratio를 준비하였으며, 미세조류는 Botryococcus braunii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바이오매스 생산을 위하여 필요한 N/P ratio는 5-30이었다. TN의 제거율은 N/P ratio 1-30까지는 82%, 31-70까지는 73-78%의 제거율을 나타내어 TN 제거를 위한 N/P ratio는 1-30까지가 가장 좋았다. TP의 제거율 N/P ratio 1-20까지는 80% 이상의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었지만, 20 이상부터는 급격하게 하락하여 50 이상에서는 22% 정도의 제거율로 변화가 없이 일정하였다. 따라서 바이오매스 생산량과 하수에서의 TN, TP의 제거를 위한 N/P ratio는 1-30이 가장 좋은 비율로 나타났다. TN, TP 제거율과 바이오매스의 생산량 상관관계는 TP 제거율과 바이오매스 생산량의 상관계수가($R^2$) 0.9126으로 상관관계가 매우 높았으나, TN 제거율과 바이오매스 생산량과의 상관관계는 찾을 수가 없었다. 이는 하수에서 TP의 함량이 TN의 함량보다 바이오매스 생산량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Poly Vinyl Alcohol 몰드를 이용한 Nano Transfer Printing 기술 및 이를 이용한 Mo 나노 패턴 제작 기술 (Fabrication of Mo Nano Patterns Using Nano Transfer Printing with Poly Vinyl Alcohol Mold)

  • 양기연;윤경민;한강수;변경재;이헌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24-227
    • /
    • 2009
  • Nanofabrication is an essential process throughout industry. Technologies that produce general nanofabrication, such as e-beam lithography, dip-pen lithography, DUV lithography, immersion lithography, and laser interference lithography, have drawbacks including complicated processes, low throughput, and high costs, whereas nano-transfer printing (nTP) is inexpensive, simple, and can produce patterns on non-plane substrates and multilayer structures. In general nTP, the coherency of gold-deposited stamps is strengthened by using SAM treatment on substrates, so the gold patterns are transferred from stamps to substrates. However, it is hard to apply to transfer other metallic materials, and the existing nTP process requires a complicated surface treat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implify the nTP technology to obtain an easy and simple method for fabricating metal patterns. In this paper, asnTP process with poly vinyl alcohol (PVA) mold was proposed without any chemical treatment. At first, a PVA mold was duplicated from the master mold. Then, a Mo layer, with a thickness of 20 nm, was deposited on the PVA mold. The Mo deposited PVA mold was put on the Si wafer substrate, and nTP process progressed. After the nTP process, the PVA mold was removed using DI water, and transferred Mo nano patterns were characterized by a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SEM) and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EDS).

Research on Thymopentin Loaded Oral N-Trimethyl Chitosan Nanoparticles

  • Yuan, Xiao-Jia;Zhang, Zhi-Rong;Song, Qing-Guo;He, Qi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9호
    • /
    • pp.795-799
    • /
    • 2006
  • Peptides, although high efficacy and specificity in their physiological function, usually have low therapeutical activities due to their poor bioavailability when administrated orally. Nanoparticles have been regarded as a useful vector for targeted drug delivery system because they can protect drug from being degraded quickly and pass the gastrointestinal barriers. Here we described a novel oral N-trimethyl chitosan nanoparticles formulation containing thymopentin (Tp5-TMC-NP). N-trimethyl chitosan (TMC) was synthesized and then used to prepare Tp5-TMC-NP by ionotropic gelation. A three-factor, five-level CCD (Central Composite Design) design was used in the optimization procedure, with HPLC as the analyzing method. The resulting Tp5-TMC-NP had a regular spherical surface and a narrow particle size range with a mean diameter of 110.6 nm. The average entrapment efficiency was 78.8%. The lyophilized Tp5-TMC-NP formulation was stable in $4^{\circ}C\;or\;-20^{\circ}C$ after storage of 3 months without obvious changes in morphology, particle size, pH and entrapment ratio. The results of the flow cytometer determination showed that the ratio of $CD4^+/CD8^+$ of Wistar female rat given Tp5-TMC-NP (ig) was 2.59 time that of the group given Tp5 (ig).

Empirical Relations of Nutrients, N : P Ratios, and Chlorophyll in the Drinking Water Supplying Dam and Agricultural Reservoirs

  • Lee, Sang-Jae;An, Kwang-Guk
    • 생태와환경
    • /
    • 제41권4호
    • /
    • pp.512-518
    • /
    • 2008
  •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rophic conditions, N : P ratios, and empirical relations of chlorophyll (CHL) systematically using TN, TP, and CHL values in agricultural reservoirs and drinking water supplying dams. During the study, nutrients and CHL varied depending on seasonal conditions and types of the reservoirs, but most reservoirs were diagnozed as eutrophic to hypertrophic. Mass ratios of TN : TP averaged 93.1 (range: $0.68{\sim}1342$) and about 96.6 % of the total observations (n=516) was > 17 in the N : P ratios. This result suggests that P was a potential factor limiting algal growth in the entire reservoir. Thus, TN : TP ratios were a function of phosphorus rather than nitrogen. Regression analysis of log-transformed N : P ratios against TP in DWDRs and ARs showed that ratios were linearly declined with an increase of TP ($R^2$>0.66; p<0.001). Seasonal mean CHL was minimum ($4.3{\mu}g\;L^{-1}$, range: $0.1{\sim}39.7{\mu}g\;L^{-1}$) in premonsoon, and was similar between the monsoon and postmonsoon. In contrast, one of the tremendous features was that values of CHL was greater in the ARs than DWDRs. Thus, th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in CHL were similar to those of TP but not TN. Empirical models of CHL-TP showed that CHL variation could explain average 15.3% and 11.3% in DWDRs and ARs, respectively. Seasonal analysis of empirical models showed that CHL-TP relations were stronger in postmonsoon than those of premonsoon and monsoon.

금강수계 백제보 건설 전·후의 화학적 수질특성 및 경험적 모델 분석 (Characteristics of chemical water quality and the empirical model analysis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Baekje Weir)

  • 김유진;이상재;안광국
    • 환경생물
    • /
    • 제37권1호
    • /
    • pp.48-59
    • /
    • 2019
  • 본 연구는 2004~2017년 동안 금강수계에서 백제보 건설 전 후의 화학적 수질 특성 및 경험적 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4대강 사업 전후의 표층수의 수질에 대한 비교평가에 따르면, TP의 농도는 보 건설 후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고, 총질소 역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식물성 플랑크톤의 1차 생산력의 지표인 CHL-${\alpha}$ 농도와 EC는 보 건설 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 구간에서 수체류 시간의 증가로 인해 N, P의 농도는 감소하였지만, CHL/TP 비는 크게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단위 인(P) 농도 대비 1차생산력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험적 모델의 회귀분석에 따르면, 보 건설 전 기간에 CHL-${\alpha}$ 농도는 TP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r=0.068, p=0.860, n=58), 보 건설 이후에 두 변수 사이에는 유의한 관계(r=0.6102, p<0.05, n=56)를 보였다. TN 및 이온희석 현상의 지표로 이용된 EC는 계절별 분석에서 장마기에 크게 감소하는 현상을 보이며 강우와 역상관 관계(r=0.5378, p<0.01, n=163)를 보였으나, 계절별 TP과 부유물 농도(SS)는 갈수기에 비해 장마기에 증가하는 특성을 보여 강우와 정상관 관계(r>0.40, p<0.01, n=163)를 보였다. 2018년 현재 보 구간의 완전한 상시방류를 시행할 경우, 향후 수체의 하천화에 의해 TP 농도는 증가하며, 녹조 현상은 감소할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 농업용 저수지의 영양상태 및 수질특성 (Trophic State an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Agricultural Reservoirs)

  • 이재연;이재훈;신경훈;황순진;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0권2호
    • /
    • pp.223-23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2002{\sim}2005$년까지 측정된 한국농촌공사의 수질측정자료를 이용하여 계절별, 공간별 저수지의 부영양화 및 수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TN에 의거하였을 때, 대다수(전체의 88%)의 저수지는 부영양 상태로 나타났다. OECD 기준에 의거하여 산정한 TP에 의한 영양상태에서는 전체 저수지의 26%가 부영양 상태로 나타났고, 71%는 중영양, 3%는 빈영양 상태로 나타났다. 계절적 변이는 강우 집중기인 7월에서 8월 사이에 강하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전기전도도, COD, SS, TN, TP 및 CHL 값은 강우 후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P는 전기전도도와 COD 농도가 높은 저수지에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TP의 증가에 따라 CHL의 농도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D와 SS는 집중 강우해에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으며, TP와 CHL은 가뭄해에 비하여 약 2배정도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이는 인근 점 비 점오염원으로부터 장마 기간에 유기물 및 부유물, 영양염의 다량 유입이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회귀분석에서는 TN: TP 비와 TP가 매우 높은 상관관계 ($R^2$=0.84, p<0.001, n=34)를 보였으며, CHL과 TP는 1차 함수관계 $(Log_{10}TP=0.5{\times}Log_{10}CHL+0.086)$를 보였다. TN, TP, CHL에 의거한 유사도 분석에서는 약 90% 수준에서 염도가 높으면서 해양 인접 지역에 위치한 그룹, 염도가 낮으면서 내륙에 위치한 그룹, 그리고 뚜렷한 위치 특성을 보이지 않는 중간적인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방목지와 초지의 지표수 및 지하수 수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Runoff and Groundwater Quality from a Pasture and Field)

  • 최중대;최예환;김기성
    • 물과 미래
    • /
    • 제28권3호
    • /
    • pp.175-186
    • /
    • 1995
  • 강원도의 대표적인 토지이용 방법인 방목지와 초지의 유출수 및 지하수의 수질 특성을 구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강원대학교 농장과 목장에 시험유역을 설치하고 Flume과 지하수 관측정을 이용하여 1993년 8월부터 1994년 8월까지 수질을 관측하였다. 수질관측 항목은 NO3-N, TP 및 TKN 이었다. 조립질 토양인 방목지의 유출은 대부분 지하수를 통하여 배출되었으며 호우시만 지표면 유출이 발생하였고 유출량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유출수의 $NO_3$-NO 농도는 0.241~3.962mg/l로 비교적 안정되어 있었다. 평시 유출수의 TP와 TKN 농도는 안정되어 있었으나 호우시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지하수의 $NO_3$-N 농도는 관측정의 깊이에 관계없이 비교적 일정하였으나 TP와 TKN 농도는 깊은 관측정에서 농도가 작았다. 평지에 조성되고 Sudan Grass로 잘 피복된 초지유출수의 수질은 유출량에 관계없이 비교적 일정하였다. 초지 지하수의 $NO_3$-N 농도는 상류에서 하류로 흐를수록 2.2mg/l 정도 증가하였다. 상류부와 하류부의 TP와 TKN 농도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Correlation of the Beta-Trace Protein and Inflammatory Cytokines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Chronic Subdural Hematomas : A Prospective Study

  • Park, Ki-Su;Park, Seong-Hyun;Hwang, Sung-Kyoo;Kim, Chaekyung;Hwang, Jeong-Hy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7권4호
    • /
    • pp.235-241
    • /
    • 2015
  • Objective :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f chronic subdural hematoma (CSDH) detects various patterns, which can be attributed to many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level of interleukin-6 (IL-6), interleukin-8 (IL-8), and highly specific protein [beta-trace protein (${\beta}TP$)] for cerebrospinal fluid (CSF) in CSDHs, and correlate the levels of these markers with the MRI findings. Methods : Thirty one patients, treated surgically for CSDH, were divided on the basis of MRI findings into hyperintense and non-hyperintense groups. The concentrations of IL-6, IL-8, and ${\beta}TP$ in the subdural fluid and serum were measured. The ${\beta}TP$ was considered to indicate an admixture of CSF to the subdural fluid if ${\beta}TP$ in the subdural fluid $({\beta}TP_{SF})/{\beta}TP$ in the serum $({\beta}TP_{SER})>2$. Results : The mean concentrations of IL-6 and IL-8 of the hyperintense group (n=17) of T1-WI MRI were $3975.1{\pm}1040.8pg/mL$ and $6873.2{\pm}6365.4pg/mL$, whereas them of the non-hyperintense group (n=14) were $2173.5{\pm}1042.1pg/mL$ and $2851.2{\pm}6267.5pg/mL$ (p<0.001 and p=0.004). The mean concentrations of ${\beta}TP_{SF}$ and the ratio of ${\beta}TP_{SF}/{\beta}TP_{SER}$ of the hyperintense group (n=13) of T2-WI MRI were $7.3{\pm}2.9mg/L$ and $12.6{\pm}5.4$, whereas them of the non-hyperintense group (n=18) were $4.3{\pm}2.3mg/L$ and $7.5{\pm}3.9$ (p=0.011 and p=0.011). Conclusion : The hyperintense group on T1-WI MRI of CSDHs exhibited higher concentrations of IL-6 and IL-8 than non-hyperintense group. And, the hyperintese group on T2-WI MRI exhibited higher concentrations of ${\beta}TP_{SF}$ and the ratio of ${\beta}TP_{SF}/{\beta}TP_{SER}$ than non-hyperintense group. These findings appear to be associated with rebleeding and CSF admixture in the CSD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