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ML

검색결과 2,023건 처리시간 0.034초

한국사람의 뇨중식염배설량과 혈압과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Sodium Chloride Metabolism and Blood Pressure of Koreans)

  • 김구자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8권2호
    • /
    • pp.19-31
    • /
    • 1974
  • In oder to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daily urinary output of sodium chloride and blood pressure, twenty four hour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224 cases (70 male and 154 female) of healthy Koreans whose age varied from 18 to 70 years old. The volume and concentration of sodium, chloride and potassium and total nitrogen were measured, along with the resting blood pressur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Daily urinary output was increased as a function of age. However, daily urinary output per unit sulface area was maintained at approximately 800 to 900 $ml/m^2$ in all age groups of male and it increased as a function of age in female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2. The daily urinary sodium concentration was decreased gradually acceding to age in both sexes. Daily excretion of sodium was constant regardless of age in both sexes but especially high in 25-39 year female age group, which was slightly greater in males than in females. 3. The daily urinary chloride concentration was at approximately 250 meq/L in all age groups of male and which decreased as a function of age in females. 4. Hence the daily urinary output of sodium chloride was constant in all age groups of males which increased as a function of age in female groups. However, daily excretion of sodium chloride per unit sulface area was maintained at approximately 11 $gm/m^2$ in males and which increased as a function of age in females. 5. The daily urinary excretion of potassium was constant regardless of age in both sexes. 6. Urinary K/Na ratio was maintained at approximately 0.27 in males and 0.33 in females. 7. The daily urinary output of total nitrogen amount was approximately $8{\sim}10$ gm in males and $7{\sim}9$ gm in females. However, daily urinary output of nitrogen per unit sulface area was constant regardless of age in both sexes. 8. The systolic blood pressure was increased gradually according to the age in both sexes and was higher for males than females under 40 years of ag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sexes in ages over 40 years. 9. Quantitative comparisons indicated that daily urinary output and sodium chloride excretion are higher while daily potassium output, nitrogen excretion and urinary K/Na ratio are significantly lower among Koreans than a among Occidenta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verage Koreans live on low-protein and high-salt diet throughout their livers. Statistical result obtained may he summarized as follows; 10. The relation between blood pressure and sodium concentration of urine. The correlation between systolic blood pressure and sodium concentr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for both sexes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significant for females $({\gamma}_1=-.19<-{\gamma}_{152},\;_{0.05}=-0.159)$ and it was not significant for males $({\gamma}_1=-.19>-{\gamma}_{68},\;_{0.05}=-0.232)$ tut may be due to the sample size for males. The correlation between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sodium concentr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for both sexes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significant for males $({\gamma}_1=-.37<-{\gamma}_{68},\;0.05=-0.232)$ and the relation was not significant for females $({\gamma}_1=-.11>-{\gamma}_{152},\;_{0.05}=-0.159)$. 11. The relation between blood pressure and daily urinary sodium chloride excretion. The association between systolic blood pressure and sodium chloride excre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for both sexes and the relation was significant for females $({\gamma}_1=.20>{\gamma}_{152},\;_{0.05}= 0.159)$ and it was insignificant for males $({\gamma}_1=.09<{\gamma}_{68},\;_{0.05}=0.232)$, The relation between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sodium chloride excre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and insignificant for both sexes males $({\gamma}_1=.17<{\gamma}_{68},\;_{0.05}=0.232)$ and females $({\gamma}_1=.09<{\gamma}_{152},\;_{0.05}=0. 159)$. 12. The relation between daily urinary nitrogen excretion and sodium chloride excretion. The association between daily nitrogen excretion and sodium chloride excretion was positively significant for both sexes, males $({\gamma}_1=.31>{\gamma}\;_{68},\;_{0.05}=0.232)$ and females $({\gamma}_1=.36>{\gamma}_{-152},\;_{0.05}=0.159)$.

  • PDF

개에서 Butorphanol-Tiletamine-Zolazepam-Medetomidine과 Tramadol-Tiletamine-Zolazepam-Medetomidine 합제의 마취효과 및 심폐에 미치는 영향 (Anesthetic and Cardiopulmonary Effects of Butorphanol-Tiletamine-Zolazepam-Medetomidine and Tramadol-Tiletamine-Zolazepam-Medetomidine in Dogs)

  • 남승완;신범준;정성목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21-427
    • /
    • 2013
  • 개의 마취를 위해 많은 주사용 마취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부작용을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약물을 병용하여 사용한다. 본 실험은 개에서 tiletamine-zolazepam-medetomidine과 함께 butorphanol 또는 tramadol을 병용투여 하여 마취효과 및 심폐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임상적으로 건강한 중성화 하지 않은 10 마리의 수컷 비글견 (체중: 평균 $9.5{\pm}1.60$ kg)을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BZM군과 TZM군으로 나누었으며, BZM군은 0.2 mg/kg의 butorphanol과 tiletamine (2.5 mg/kg)-zolazepam (2.5 mg/kg)-medetomidine (10 ${\mu}g/kg$)의 혼합용액을 0.1 ml/kg의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TZM군에서는 2 mg/kg의 tramadol과 동량의 혼합용액을 투여하였다. 모든 주사는 근육 내로 투여하였다. 마취유도 및 회복시간, 진정 및 진통점수, 심박수, 혈압, 직장온도 및 호흡수를 측정하였으며 동맥혈액가스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취유도시간과 회복시간에는 BZM과 TZM군간 유의성은 없었으며, 두 군간 마취시간은 BZM군 ($117.4{\pm}25.64$ minutes)이 TZM군 ($81.2{\pm}12.50$ minutes)보다 유의성 있게 길었다. 진정 및 진통은 BZM군과 TZM군 두 군 모두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심박수는 투여 후 20분부터 두 군 모두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군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두 군에서 혈압과 직장온도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호흡수는 TZM 군에서 투여 후 30분에 BZM군보다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동맥산소분압($PaO_2$) 및 동맥산소포화도($SaO_2$)는 군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개에서 butorphanol-tiletamine-zolazepam-medetomidine 및 tramadol-tiletaminezolazepam-medetomidine 병용마취는 만족할만한 마취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심폐기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므로, 단 시간의 마취가 필요한 진단 또는 가벼운 수술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일차 지방세포와 고지방식이로 유발한 비만모델동물에서 Cordyceps militaris로 발효시킨 누에 (Bombyx mori) 가루 에탄올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Silkworm (Bombyx mori) Pupae Powder Fermented with Cordyceps militaris in the Primary Adipocytes and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Model Mice)

  • 김지은;이미림;최준영;박진주;김혜령;송보람;최영환;김경미;황대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786-794
    • /
    • 2018
  • 누에(Bombyx mori)번데기는 창상치료용 드레싱, 간보호활성, 항유전독성, 포도당농도 조절, 항암활성 등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붉은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누에번데기분말의 에탄올 추출물(Ethanol extract of silkworm pupae fermented with Cordyceps militaris, ESfC)의 항비만효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SD랫드로부터 분리된 일차지방세포(Primary adipocytes)에서 농도별로 ESfC를 처리하여 free glycerol release, cAMP농도를 측정하였고, 고지방사료(High fat diet, HFD)가 처리된 C57BL/6N 비만마우스에 ESfC를 투여하여 지방조직과 간조직에서 지방축적(Fat accumulation)을 관찰하였다. 먼저, 지방감소효과를 나타내는 지표물질로서 cordycepin의 존재는 HPLC분석을 통하여 ESfC에서 확인하였다. 또한, free glycerol수준과 cAMP농도는 고농도 ESfC가 처리된 일차지방 세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지만 이들 수준은 저농도와 중농도의 ESfC로처리세포에서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HFD-유도 비만모델에서, 고지방사료의 투여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된 지방무게와 지방세포의 크기는 ESfC처리그룹에서 감소되었다. 간 무게와 지방방울(Lipid droplet)의 수는 고지방사료의 투여에 의해 증가하였지만 ESfC투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유사한 회복효과는 perilipin과 HSL의 인산화 수준뿐만 아니라 ATGL의 발현수준에서도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는 ESfC가 지방일차세포에서 지방분해를 촉진하고, HFS유도 비만모델에서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보여주고 있으며, 향후 비만환자에 처리하기 위한 약물로서 사용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제Ia형 당원병 1례 (Glycogen Storage Disease , Type Ia) (A Case of Glycogen Storage Disease Type Ia Confirmed by Biopsy and Enzyme Assay)

  • 문상애;노광식;김병길;정현주;박영년;김명준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권1호
    • /
    • pp.77-81
    • /
    • 1998
  • 목적 : 제Ia형 당원병 (Type Ia Glycogen storage disease)은 Glucose-6-phosphathase 결핍으로 간, 신장, 장 (intestine)에 글리코겐이 축적되는 대사성 질환으로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매우 드문 질환이다. 1929년 von Gierke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된 이래, 현재 외국에서는 prenatal molecular diagnosis까지 가능하고 국내에서는 1972년 서등이 최초로 보고하였으며, 그 이후 임상양상 및 조직생검소견으로 진단된 예가 십여례 있었고, 1990년 김 등이 간조직내에 결핍된 효소를 검사하여 4례를 보고하였다. 이에 연자들은 임상소견, 간 및 신장 조직생검, 그리고 간조직내에서의 Glucose-6-phosphatase 효소의 결핍을 확인하여 von Gierke disease로 확진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 환아는 18년 7개월된 남아로 출생시부터 복부 팽만을 보여 2세경 본원에 내원하여 복부초음파 및 동위원소 촬영상 간의 혈관종 진단받고, 추적 관찰없이 지내다가 13세때 신장이 135cm으로 3 percentile 미만의 저신장을 주소로 내원하여, 혈액검사상, SGOT/PT는 51/44 IU/L로 약간 증가되어 있으며, 복부 초음파상 간종대는 지속적으로 보였으나, 그외 특이소견은 없었다. 가족성 저신장으로 진단후 2년6개월간 성장호르몬 치료받으며 외래 추적관찰중 내원 5개월전 고혈압, 단백뇨, 고지혈증 및 elevated SGOT/PT를 주소로 정밀검사위해 입원하였다. 내원당시 키는 159 cm(<3 percentile),몸무게는 54 kg(10-25 percentile)이었고 혈압은 160/110 mmHg(>95 percentile)로 고혈압 소견보였다. 금번 입원시 말초혈액검사, 전해질 검사 및 혈당은 모두 정상이었고, SGOT/PT가 51/60 IU/L 약간 증가 되었고, 혈중 콜레스테롤치는 307 mg/dL, 요산이 9.2 mg/dL로 증가된 것 외에는 특이소견 업었다. 24시간 소변검사상 단백은 1.3gm, 크레아티닌 1028 mg, Ccr $114ml/min/1.73m^2$ 이였다. 복부 초음파와 CT scan상 간에 다발성 선종이 보였고, 상기 임상소견상 당원병 의심되어 신장과 간의 생검을 시행화여 간과 신장에서 모두 글리코겐의 축적을 관찰할 수 있었고, 선종부위의 생검에서도 선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악성변화는 없었다. 간조직을 이용한 효소검사상 Glucose-6-phosphatase에 대한 정량검사상 0.847 nM/min/mg protein으로 상당히 저하되어 있었다. 위, 소장 내시경 검사도 시행하여 조직검사까지 시행하였으나 글리코겐의 침착을 볼 수 없었다. 환아는 현재 고혈압 치료제 및 Allopurionol과 식이조절하며 외래에서 추적 관찰 중이다. 결 론 : 저자들은 임상증세, 간과 신장의 조직생검, 그리고 간 조직의 Glucose-6-phosphatase효소 검사를 시행하여 제Ia형 당원병으로 확진된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착상전 생쥐배아의 Glucose에 대한 노출이 체외 배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lucose Exposure on the Development of the Mouse Preimplantation Embryo In Vitro)

  • 김선의;엄상준;윤산현;임진호;정길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27-234
    • /
    • 1995
  • 본 연구는 1-세포기배의 glucose에 대한 노출이 상실배기 이후의 배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실시되었다. hCG 주사 후 24~25시간 째에, F1hybrid(C57BL/6, ♀ $\times$CBA/N, ♂) 계통 생쥐를 도살하여 1-세포기배를 회수한 후 0.1% hyaluronidase로 처리하여 난구세포를 제거하였다. 1-세포기배는 hCG 주사 후 72시간째 다양한 농도의 glucose(5.5, 16.5, 27.5 및 38.5mM)에 1분 노출 후 glucose가 첨가되어 있거나 혹은 첨가되지 않은 CR1aa배양액에서 계속 배양함으로써 배발생을 유도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M2 배양액에서 회수한 후 3mg/ml의 Fatty-acid free BSA가 첨가된 배양액에서 배양한 경우 27.5%의 확장배반포까지의 배발생율과 16.6%의 탈출 배반포까지의 배발생율을 나타낸 반면, TL HEPES 배양액에서 회수한 경우는 전혀 상실배기 이후의 배발생이 나타나지 않았다. 2. hCG 주사 후 72시간째에 단 1분간의 27.5mM glucose에 대한 노출만으로도 68.8% (CR1aa+BSA)와 77.1%(CR1aa+FBS)의 확장배반포까지의 발생을 유도할 수 있었다. 그러나 1분 노출과 이후 계속되는 노출간에는 배발생에 있어서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3. hCG 주사 후 72시간째에 5.5, 16.5, 27.5 및 38.5mM의 glucose 첨가에 따른 확장 배반포까지의 배발생율은 45.7~61.5%로 각 처리군의 유의차는 없었으며, 따라서 고농도의 glucose 첨가에 따른 저해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 PDF

배양된 치유두 유래세포의 조골활성 및 골기질 형성의 평가 (EVALUATION OF OSTEOGENIC ACTIVITY AND MINERALIZATION OF CULTURED HUMAN DENTAL PAPILLA-DERIVED CELLS)

  • 박봉욱;변준호;최문정;하영술;김덕룡;조영철;성일용;김종렬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4호
    • /
    • pp.279-288
    • /
    • 2007
  • In the present study, we focused on stem cells in the dental papilla of the tooth germ. The tooth germ, sometimes called the tooth bud, is the primordial structure from which a tooth is formed. The tooth germ consists of the enamel organ, the dental papilla, and the dental follicle. The dental papilla lies below a cellular aggregation of the enamel organ. Mesenchymal cells within the dental papilla are responsible for formation of dentin and pulp of a tooth. Tooth germ disappears as a tooth is formed, but that of a third molar stays in the jawbone of a human until the age of 10 to 16, because third molars grow slowly. Impacted third molar tooth germs from young adults are sometimes extracted for orthodontic treatment.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osteogenic activity and mineralization of cultured human dental papilla-derived cells. Dental papillas were harvested from mandible during surgical extraction of lower impacted third molar from 3 patients aged 13-15 years. After passage 3, the dental papilla-derived cells were trypsinized and subsequently suspended in the osteogenic induction DMEM medium supplement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50 g/ml L-ascorbic acid 2-phosphate, 10 nM dexamethasone and 10 mM -glycerophosphate at a density of $1\;{\times}10^6\;cells/dish$ in a 100-mm culture dish. The dental papilla-derived cells were then cultured for 6 weeks and the medium was changes every 3 days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Dental papilla-derived cells showed positive alkaline phosphatase (ALP) staining during 42 days of culture period. The formation of ALP stain showed its maximal manifestation at day 7 of culture period, then decreased in intensity during the culture period. ALP mRNA level was largely elevated at 1 weeks and gradually decreased with culture time. Osteocalcin mRNA expression appeared at day 14 in culture, after that its expression continuously increased in a time-dependent manner up to day 28. The expression remained constant thereafter. Runx2 expression appeared at day 7 with no detection thereafter. Von Kossa-positive mineralization nodules were first present at day 14 in culture followed by an increased number of positive nodules during the entire duration of the culture period. Osteocalcin secretion was detectable in the culture medium from 1 week. The secretion of osteocalcin from dental papilla-derived cells into the medium greatly increased after 3 weeks although it showed a shallow increase by then. In conclusion, our study showed that cultured human dental papilla-derived cells differentiated into active osteoblastic cells that were involved in synthesis of bone matrix and the subsequent mineralization of the matrix.

정상산란계(正常産卵鷄)에 있어서 탄수화물(炭水化物)과 지질대사(脂質代謝)의 생동역학(生動力學) 제1보[第一報] -포도당 대사회전(代謝回轉)의 측정(測定)- (Biokinetics of Carbohydrate and Lipid Metabolism in Normal Laying Hen [Part 1] -Determination of Turnover of Glucose-)

  • 장윤환;피엠리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2호
    • /
    • pp.205-209
    • /
    • 1977
  • 단일주사방법(單一注射方法)에 의(依)하여 정상산란계(正常産卵鷄)의 포도당대사(代謝)에 관련(關聯)되는 혈액(血液)포도당의 대사(代謝)풀(pool)크기, 대사회전속도(代謝回轉速度), 대사회전시간(代謝回轉時間), 기타(其他) 관계(關係)되는 항목(項目)들을 조사(調査)하였다. 날개의 정맥(靜脈)을 통(通)하여 정상적(正常的)으로 사양(飼養)된 산란계(産卵鷄)에 $11.6{\mu}Ci$의 순수(純粹)포도당-$C^{14}$를 주입(注入)하였으며 주사(注射) 5분후(分後)에 채취(採取)한 혈액(血液)의 원심분리(遠心分離)에 의(衣)하여 얻어진 혈장(血漿)의 포도당 농도(濃度)는 100ml당(當) 214mg이였다. 혈장(血漿)포도당의 표준비방사능(標準比放射能)의 대수(對數)를, 주사후(注射後) 혈액(血液)을 채취(採取)한 시간(時間)(5분(分)부터 120분(分)까지)에 대(對)하여 그런 곡선(曲線)과 그의 회귀방정식(回歸方程式)에 대(依)하여 여러가지 대사상태(代謝狀態)를 측정(測定)하였다. 포도당 대사(代謝)의 풀(pool)크기는 1.07g이었고 대사회전속도(代謝回轉速度)는 1분간(分間) 0.024이었으며 대사회전시간(代謝回轉時間)은 41분(分)이었다. 포도당의 이용속도(利用速度)는 1분간(分間) 26mg이였으며(0.75승(乘)한, 즉(卽) 대사체중(代謝體重) kg당(當)) 1시간당(時間當) 0.83g이었다. 포도당 공간(空間)(세포외(細胞外) 체액(體液)의 용량(容量))은 체중(體重)의 25.3이었다. 주사후(注謝後) 10분(分)부터 50분(分)까지 채취(採取)한 시료(試料)로부터 얻은 결과(結果)도 상기(上記)의 5분(分)부터 120분(分)까지의 시료(試料)에서 얻은 성적(成績)과 비등(比等)하였다. 시일경과(時日經過)함에 따라 75%까지 억제하였다. 6)산 초 산초 1%, 5% 첨가구(添加區)는 저장시일(貯臧時日)과 관계(關係)없이 50% 억제하였고 10% 첨가구(添加區)는 3일이후(日以後)부터 계속 억제하여 75%까지 억제 하였다. 7)겨 자 겨자 1%, 5% 첨가구(添加區)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alpha}-amylase$ 활성(活性)을 50% 억제 하였으나 10% 첨가구(添加區)는 시일경과(時日經過)에 따라 62.5%의 억제 현상을 보였다. 8) 고초냉이 고초냉이 1%, 5% 첨가구(添加區)는 ${\alpha}-amylase$ 활성(活性)을 50% 억제 하였으나 10% 첨가구(添加區)는 87.5%까지 억제하였다. 9) Mono sodium glutamate Mono sodium glutamate 1% 첨가구(添加區)는 5일(日)까지는 ${\alpha}-amylase$ 활성(活性)을 억제하지 않았으나 그후(後)부터 50% 억제하였고 5%, 10%, 첨가구(添加區)는 시일(時日)이 경과(經過)함에따라 50%에서 82.5%로 억제되었다. 10)설 탕 설탕 1%, 5% 첨가구(添加區)는 저장(貯臧) 3일(日)까지는 50%로, 그 이후(以後)는 75% 억제되었고 설탕 10% 첨가구(添加區)는 계속 75% 억제 하였다.ato granules and their cooked ones. 8. From the view of food sanitation, dipping treatment of the potato granules in the solution of $K_2S_20_5$ is safe because of the few residual amount of

  • PDF

선형 판별분석과 공통벡터 추출방법을 이용한 음성인식 (Speech Recognition Using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and Common Vector Extraction)

  • 남명우;노승용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5-41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선형 판별분석 (LDA: Linear Discriminant Analysis)과 공통벡터 추출방법을 이용한 음성인식방법을 제안하였다. 음성신호는 화자의 성별, 나이, 출생지, 주위 잡음, 정신적 상태, 발성기관의 구조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같은 음성신호라 할지라도 서로 다른 화자가 발성하게 되면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이게 된다. 음성신호의 이러한 성질은 같은 음성군 (class)에 포함된 공통된 특성벡터를 추출하는 일을 상당히 어렵게 한다. 음성신호에서 공통된 특징 벡터를 추출하는 방법은 KLT (Karhunen-Loeve Transformation)와 같이 선형 대수적인 접근방법이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M. Bilginer et al.이 제안한 공통벡터 추출 방법을 사용하였다. M. Bilginer et al.이 제안한 방법은 주어진 훈련 음성신호들에 대하여 최적의 공통 벡터를 추출하여 주면서 공통벡터 추출에 사용된 훈련 데이터에 대해서는 100%의 인식결과를 보여준다. 그러나 공통벡터 추출을 위한 훈련 음성신호의 수를 무한히 늘릴 수 없다는 점과 공통벡터들간의 구별정보 (discriminant information)가 정의되지 않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어그룹간 (class) 구별정보를 추출된 공통벡터와 결합해 단어간의 오인식률 (error rate)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과 공통벡터 추출방법에 적합한 파라미터 가공 방법을 제안하였다. 공통벡터 추출방법은 음성신호의 시간 축 정규화 방법과 벡터의 차원 크기에 따라 인식시간과 인식률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부적절한 시간 축 정렬과 너무 큰 벡터의 차원 수는 인식률 저하 등과 같이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떨어뜨린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알고리즘의 효율성이 증가되었으며, 기존방법보다 약 2%정도의 향상된 인식률을 얻을 수 있었다.낮추는 효과를 나타내었다.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추출 온도와 용매 농도에 따른 수율의 차이가 있었으며 free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종자 에탄을 추출물이 과피 에탄올 추출물 보다 145배 이상의 현저히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을 나타내었다.'Lian(연)' : repeatability, continuance, plenty and intercommunicate, 2. 'Lian(연)'-'Lian(염)': integrity, 3. 'He (하)'-'He(화)' : peace, harmony and combination, 4. 'He(하)'-'He(하)' : clear river, 5.'He(하)'-'He(하)' ; all work goes well. When the Chinese use lotus patterns in lucky omen patterns, same pronunciation and pitch of Chinese language more prominent than natural properties or the image of Buddhism. I guess that it cause praying individual's peace and happiness more serious than philosophical meaning or symbol that base in Buddhism for ordinary people.ML., -9.00~12.49 and -19.81~19.81%,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two formulations are bioequivalent for both the extent and the rate of absorption after single dose administration.ation.ion.ion.ation.ion.n. fibrosis, collagen bundle) was

  • PDF

홍삼박 Silage 제조시 첨가제로서 분쇄옥수수의 효과 (Effect of Ground Corn as an Additive for Silages from Red Ginseng Residue)

  • 백승훈;배형철;김용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32권2호
    • /
    • pp.205-214
    • /
    • 2005
  • 홍삼박의 보존성을 향상시켜 반추동물사료 또는 사료첨가제로 이용할 목적으로 옥수수silage(대조구, corn silage; CS)와 홍삼박silage(GS), 홍삼박+0.5%분쇄옥수수(GS0.5), 홍삼박+1.0%분쇄옥수수(GS1.0) 및 홍삼박+유산균(GSL) silage를 제조하였다. silage 발효 기간중 0, 3, 7 및 60일에 pH를 측정하고 60일에 시료를 건조하여 분쇄한 후 화학조성분과 in vivo 건물 소화율은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1. Silage의 화학조성분은 원료 홍삼박에 비하여 silage의 성분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전반적인 홍삼박 silage의 건물기준 조단백질(17.7~18.8%)이 옥수수 silage(8.8%)보다 높았다(P<0.05). 또한 홍삼박silage의 Ca함량은 GS, GS0.5, GS1.0 및 GSL이 0.99, 1.13, 0.99 및 1.03%로 나타나 옥수수silage(CS)의 0.31%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홍삼박 silage와 간에는 유의차가 나타내지 않았다. 2. Silage의 pH는 처음(0일)부터 홍삼박 silage가 낮았고, 발효 3, 7, 60일에서는 분쇄옥수수 0.5% 첨가구(GS0.5)가 4.2, 3.6 및 3.3으로 가장 낮았고 60일 기준으로는, 무처리구(GS)(3.6)과 유산균구(GSL)(3.7)가 높았다(p<0.05). 3. Silage의 in vivo 건물소화율에서 72시간소화율은 CS, GS, GS0.5, GS1.0 및 GSL이 각각 52.1, 76.5, 75.8, 72.9 및 77.3%로 나타나 옥수수silage보다 모든 홍삼박 silage에서 높았고(p<0.05) 홍삼박silage간에는 유이차를 보이지 않았다. 4. Silage의 발효특성중 총유기산 함량은 CS, GS, GS0.5, GS1.0 및 GSL이 각각 87.3, 44.7, 37.8, 46.3 및 47.2mM/dl로 CS가 가장 높았다. 총산 대유산 함량은 각각 53.7, 60.2, 77.2, 83.4 및 77.3%로 CS와 GS만 70% 미만이고 다른구는 7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5. Silage의 in vivo 건물 소화율은 발효 72시간에서 CS, GS, GS0.5, GS1.0 및 GSL이 각각 52.1, 76.5, 75.8, 72.7 및 77.3%로 나타나 CS보다 홍삼박 silage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홍삼박 silage의 품질은 분쇄 옥수수와 유산균첨가제구에서 양호했으나, 경제적인 면을 고려하여 분쇄옥수수 0.5%(GS0.5)가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동양배(신고(新高)) Protease의 정제(精製) 및 성질(性質)에 관(關)하여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riental Pear(Niitaka, Pyrus pyrifolia Nak.) Protease)

  • 김성열;정해정;김승겸;신철승
    • 농업과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225-238
    • /
    • 1989
  • 동양배(신고(新高))에서 protease를 추출(抽出), 정제(精製)하여 그의 특성(特性)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배의 protease는 배의 과육(果肉)-정량(定量)과 5mM의 cysteine, 40mM 2-mercaptoethanol 및 2mM의 EDTA를 함유(含有)하는 0.1M-sodium phosphate buffer(pH6.5)0.7배량(倍量)(v/w)을 homogenizer에 넣고 10,000rpm으로 5분간(分間) 추출(抽出)하는 것이 효과적(效果的)이었다. 2. 상기(上記) 방법(方法)에 의(依)해서 파쇄(破碎)한 것을 cheese cloth로 여과(濾過)하여 10,000g로 20분간(分間) 원심분리(遠心分離)하여 얻어지는 상징액(上澄液) 조효소액(粗酵素液)으로 하여 유안(硫安) 분획(分劃), Sephadex G-100 filtration 및 DEAE-Sephadex A-50 column chromatography를 거쳐 전기영동상(電氣泳動上)으로 단일(單一)한 효소단백질(酵素蛋白質)을 얻었다. 3. 정제효소(精製酵素)의 비활성(比活性)은 10.78배(倍) 증가(增加)하였고, 활성수율(活性收率)은 722%에 달(達)하였다. 4. 정제효소(精製酵素)의 분자량(分子量)은 SDS전기영동법(電氣泳動法)에 의(依)하여 측정(測定)하였을 때 51,000이었으며, Km값은 $54.5mg/m{\ell}$이었다. 5. 본(本) 효소(酵素)의 작용(作用) 최적(最適) pH는 6.0이었고, pH5.5~6.5에서 안정(安定)하였으며, 작용(作用) 최적(最適) 온도는 $50^{\circ}C$이고, $50^{\circ}C$ 이하(以下)에서 안정(安定)하였다. 6. 본(本) 효소(酵素)는 casein을 가장 잘 분해(分解)하였고 hemoglobin 분해력(分解力)은 casein분해력(分解力)의 55%에 달(達)하였으며, elastin분해력(分解力)은 극(極)히 미약(微弱)하였다. 7. 본(本) 효소(酵素)는 p-chloromercuribenzoic acid에 의(依)해서는 강(强)한 저해(沮害)를 받았고, $HgCl_2$, $MnSO_4$에 의(依)해서도 저해(沮害)를 받았으나 cysteine등(等)의 각종(各種) 환원제(還元劑), EDTA,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및 N-tosyl-L-phenylalanine chloromethyl ketone에 의(依)해서는 저해(沮害)를 받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