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risticin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9초

Angelica속 생약의 정유성분에 관한 연구 (I). -참당귀의 정유성분- (Studies on Essential Oils of Plants of Angelica Genus in Korea (I). -Essential Oils of Angelicae gigantis Radix-)

  • 지형준;김현수
    • 생약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39-247
    • /
    • 1988
  • Essential oil of the root of Angelica gigas Nakai (Umbelliferae) was investigated. Essential oil was obtained from the dried roots by steam distillation and fractionated by column chromatography. Each isolate or fraction was identified by GC, GC-MS and spectral analysis. It was found to contain eleven monoterpenes such as ${\alpha}-pinene,\;camphene,\;{\beta}-pinene,\;myrcene,\;{\alpha}-phellandrene,\;{\Delta}-3-carene,\;{\alpha}-terpinene,\;p-symene,\;limonene,\;{\gamma}-terpinene$ and terpinolene and also found to contain 4-vinylguauacol, myristicin, elemol, ${\beta}-eudesmol,\;{\alpha}-eudesmol,\;four\;sesquiterpenes\;involving\;{\Delta}-elemene$. Four sesquiterpenes and five sesquiterpene alcohol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by comparison of their mass spectra.

  • PDF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against Antibiotic-Susceptible and -Resistant Vibrio and Salmonella Species

  • Lim, Hye-Rim;Shin, Seung-W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7권4호
    • /
    • pp.296-302
    • /
    • 2011
  • We determined th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fraction obtained by steam distillation from the fresh and dried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against some pathogenic Salmonella and Vibrio spp. The activities of compounds isolated from the essential oils, apiol and myristicin, were also test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essential oil fraction. The Perilla essential oil fraction and its main components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against antibiotic-susceptive and antibiotic-resistant strains of the tested Salmonella and Vibrio strains. Synergistic or additive effects were identified by combing the oils with ampicillin by checkerboard-titer tests. We conclude that essential oils from P. frutescens can be useful in the treatment of Salmonella and Vibrio infections and as safe additives to food materials for the prevention of contamination of food by these bacteria.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because of the rapid increase in antibiotic-resistant strains, which could cause severe symptoms in humans.

자소엽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Perillae folium)

  • 장희진;박준영;김용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9-132
    • /
    • 1991
  • 자소엽의 휘발성 성분을 연속증류추출장치로 추출한 후 GC 및 GC-MS에 의해 분석 동정하였다. 확인된 성분은 17개 성분이며, alcohol류로는 3-octanol, 1-octen-3-ol, linalool, nerolidol, supathuleol, phytol 등을 확인하였으며, ketone류는 2종, aldehyde는 1종, phenol 1종이 확인되었다. Hydrocarbon류는 myristicin외 6종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에서 가장 많이 함유된 성분은 myristicin으로서 전체 휘발성 성분의 53.4%를 차지하였다.

  • PDF

SPME-GC-MS를 이용한 담배와 관련된 향료의 분석 (Analysis of Flavor-related Compounds from Tobacco using SPME-GC-MS)

  • 박교범;이석근
    • 분석과학
    • /
    • 제14권2호
    • /
    • pp.109-114
    • /
    • 2001
  • 담배에 포함된 향료 성분을 headspace solid phase microextraction(SPME)를 이용하여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의 selected ion monitoring(SIM)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담배향과 관련된 성분은 estragole, pulegone, trans-anethole, safrole, piperonal, eugenol, methyleugenol, coumarin, trans-isoeugenol, trans-methylisoeugenol 및 myristicin 등 11종이며 분석결과 모든 담배에서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담배향 성분을 $0.001-1.3{\mu}g/g$ 검출할 수 있었으며 회수율은 89.1-102.9%로 나타났고 상대표준편차는 2.6-25.2%를 얻었다.

  • PDF

숙성에 의한 육두구(Myristica fragrans Houttuyn)의 향기성분 변화 (Changes in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Nutmeg(Myristica fragrans Houttuyn) during Aging)

  • 김현위;허경택;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60-765
    • /
    • 1989
  • 향미료 또는 착향료로서 서양요리에 주로 이용하는 육두구 (Nutmeg, Kernels of the fruits of Myristica fragrans Houttuyn)를 $37^{\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상압수증기 증류장치로 향기성분을 추출한 후, capillary GC와 CC/MS를 이용하여 이들 휘발성 화합물의 조성변화를 관찰하였다. 숙성기간의 경과에 따라 저비점화합물의 백분율은 점차 감소하는 반면, 고비점화합물의 백분율은 증가하였고, 중비점화합물은 약간 증가하였다. 특히, 고비점화합물 중 myristicin과 myristic acid는 현저하게 증가하여, 6개월째 각각 24.50% 및 18.69%이었다. 전체 휘발성 화합물의 양은 4개월까지 증가하다가 이후는 점차 감소하였다.

  • PDF

미분쇄 및 배전처리가 카레분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amping and Roasting Treatments on Volatile Aromatic Components in Curry Powder)

  • 박완규;윤종훈;김현위;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6-279
    • /
    • 1991
  • 카레분의 향미향상과 숙성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숙성전의 카레분에 대하여 미분쇄와 배전처리를 행한 후 GC를 사용하여 각각의 향미성분을 분리 동정하였다. 카레분의 주요 휘발성 향미성분은 eugenol, cuminaldehyde, myristicin, anethole, eugenolacetate, cinnamaldehyde, linalool, limonene, p-cymene, ${\gamma}-terinene$ 및 기타 미확인 물질 등으로 나타났으며, 미분쇄시간이 10분 이내일 때에는 저비점 화합물이 증가하였으나 10분 이후부터는 고비점 화합물이 증가했다. 또한, 배전 처리시 처리온도의 상승에 따라 저비점 화합물은 감소하였고, 고비점 화합물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파슬리의 잎과 씨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Parsley Leaf and Seed (Petroselinum crispum))

  • 김영희;김근수;홍종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1호
    • /
    • pp.62-67
    • /
    • 1990
  • 파슬리의 잎과 씨로부터 휘발성 향기 성분을 분리한 다음 GC-MS 및 GC에 의한 머무름 시간의 비교에 의해 성분을 확인하였다. 잎과 씨에서 휘발성 성분의 함량은 각각 0.06 %와 3.11 %이었다. 잎에서는 mass spectrum에 의해 잠정적으로 확인된 15종의 성분을 포함하여 58종 그리고 씨에서는 23종의 성분이 확인되었다. 그 중 43종의 terpene화합물이 잎에서 분리한 휘발성 성분의 약 46.4 %를 차지하였고 씨에서는 49.3 %를 차지하였다 잎에서 양적으로 많이 함유된 terpene 화합물은 myrcene(3.01 %), 4-isopropenyl-1-methyl benzene(4.52 %), ${\rho}-1$, 3, 8-menthatriene(10.49 %)인 반면 씨에서는 ${\alpha}-pinene$(22.28 %)와 ${\beta}-pinene$(16.20%)이었다. 한편 두 oil에서 가장 풍부하게 함유된 성분은 myristicin으로서 잎과 씨에서 각각 전체 향기성분의 21.80 % 및 47.54 %를 차지하였다.

  • PDF

삼백초, 구릿대, 천궁의 잎 향기성분 조성과 정유함량 (Essential Oil Content and Composition of Aromatic Constituents in Leaf of Saururus chinensis, Angelica dahurica and Cnidium officinale)

  • 김상국;김영효;강동균;정상환;이승필;이상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99-304
    • /
    • 1998
  • 본 연구는 방향성 약용작물인 삼백초, 구릿대, 천궁의 향기 성분 조성과 식물정유 함량을 조사하여 향료업과 관련된 다양한 식품첨가물 또는 향원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몇가지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삼백초의 향기성분은 22종으로 1,6-octadien-3-ol, 1, 3-benzodioxole, myristicin, ${\alpha}-cadinol$, patchouene였고 조성은 alcohol류 6종, ester류 1종, ether류 2종, hydrocarbon류 11종, ketone류 1종, fatty acid류 1종이었다. 2. 구릿대의 향기성분은 14종으로 주요 성분은 3-carene, ${\beta}-caryophyllene$, ${\beta}-cubebene$, butylated hydroxytoluene, caryophyllene oxide, piperonal이었고 조성은 alcohol류 1종, ester류 1종, ether류 1종, hydrocarbon류 10종, aldehyde류 1종이었다. 3. 천궁의 향기성분은 16종으로 주요성분은 aristolene, benzocycloheptene, ylangene, valencene, ${\beta}-cedrene$, satene, and menthofuran이었고 조성은 alcohol류 2종, ether류 1종, hydrocarbon류 12종. furan류 1종이었다. 4. 삼백초, 구릿대 및 천궁 잎의 식물정유 함량은 각각 0.987%, 0.452%, 0.439%로 삼백초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 PDF

향신료의 휘발성 향미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Spices in Curry)

  • 김현위;허경택;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7-135
    • /
    • 1989
  • 카레가루 원료로 쓰이면서 독특한 풍미를 내는 육두구(nutmeg), 쿠민(cumin), 카다몬(cardamon), 심황뿌리가루(turmeric), 고수(coriander), 정향(clove), 올스파이스(allspice), 카시아(cassia), 회향(fennel), 셀러리시드(celery seed), 검정후추(black pepper)등 향신료 11종을 상압 수증기 증류하여 얻은 유출액으로부터 Diethyl ether: n-Pentane(2 : 1, v/v)으로 향미성분을 추출한 후, capillary GC와 GC/MS를 이용하여 그 주요 성분들을 동정하였다. 육두구는 ${\alpha}-pinene(11.06%)$, ${\beta}-pinene(11.17%)$, myristicin(19.98%), 쿠민은 cuminaldehyde(37.68%), 카다몬은 ${\alpha)-terpineol(47.33%)$, 1, 8-cineol(20.56%), 고수는 linalool(61.72%), 정향은 eugenol(63.63%), eugenol acetate(20.59%), 올스파이스는 eugenol(80.12%), methyl eugenol(10.85%), 카시아는 cinnamaldehyde(82.29%), 회향은 anethole(79.92%) 등이 주성분이었다.

  • PDF

전호(Anthriscus sylvestris) 뿌리 정유의 항균 및 항산화 작용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 from the Roots of Anthriscus sylvestris)

  • 임혜림;신승원
    • 약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320-325
    • /
    • 2012
  • To develop a new effective and safe natural antibiotics and antioxidant the essential oil was extracted from the roots of Anthriscus sylvestris by steam distillation. Its composition was analyzed by GC-MS. The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 fraction and its main components were evaluated against antibiotic-susceptible and -resistant strains of some food-born bacteria. In addition the synergism was examined with this oil combined with antibiotic by checkerboard titer test.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determined by in 1,1-diphenyl-2-picryl-hydrazi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est and reducing power assay. The essential oil fraction of A. sylvestris revealed significant inhibiting activities against antibiotic-susceptible and -resistant species of Vibrio and Shigella with MICs ranged from 1.00~4.00 mg/ml. It showed synergistic or additive effects when it was combined with amphicillin or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1 : 9). Additionally, the essential oil fraction of A. sylvestris exhibited significant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reducing po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