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ristic acid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25초

특이지방산의 탐색과 붓꽃류에서 중쇄지방산(myristic acid)의 확인 (The Composition of Useful Medium Chain Fatty Acids in Eight Plant Species)

  • 김종범;김경환;황선갑;김용환;조강진;황영수;박노동;김정봉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1호
    • /
    • pp.20-23
    • /
    • 2001
  • 산업적으로 활용성이 높은 특이 지방산을 탐색하기 위하여 8종의 국내 자원식물을 재료로 하여 지방산 조성을 조사한 결과 붓꽃(Iris tectorum) 등 3가지 식물에서 myristic acid(14 : 0)와 lauric acid(12 : 0)등의 중쇄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붓꽃에는 myristic acid가 전체 지방산의 75.9%를 차지하였다. 독일붓꽃(Iris germanica)에는 myristic acid와 lauric acid가 전체 지방산의 57%와 15.5% 씩 함유되어 있었다. 꽃창포(Iris ensata) 뿌리에는 lauric acid와 capric acid(10 : 0)가 각각 10.7%와 9.5% 함유되어있었으나 회향(Foeniculum vulgare)과 사상자(Torilis Japonica)의 종실에는 전체 지방산(mg/g dry wt)이 각각 193.3 mg/g과 128.2 mg/g의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붓꽃의 부위별 지방산 조성에서는 종실에 linoleic acid(18 : 2)가 64.5%, 잎에 ${\alpha}-linolenic$ acid(18 : 3)가 48.9% 그리고 곁뿌리(lateral root)에는 caprylic acid(8 : 0)와 capric acid가 각각 9.5%와 8.6%씩 함유되어 있었으며 붓꽃과 독일붓꽃의 미숙종자에는 myristic acid가 각각 10.8%와 15.6% 함유되었다.

  • PDF

Synthesis of Some Phosphated Fatty acyl Derivatives of Mannitol and Their Evaluation

  • Jain, Sanjay;Tripathi, Meena;R.K.Uppadhyay;D.V.Kohli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2권4호
    • /
    • pp.233-235
    • /
    • 1989
  • Sodium salts of phosphated capric and myristic acyl derivatives of mannitol were prepared and evaluated for surface activity, foam characteristics and emulsifying properties. Triacyl mannitols of cappric and myristic acid have better emulsifying property than the corresponding di and monocompounds.

  • PDF

오배자(Schlechtendalia chinensis)로부터 수박 과실썩음병 병원균(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에 대한 항균 활성물질 탐색 (Isol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s from Chinese Gall Nut (Schlechtendalia chinensis) against Watermelon Fruit Rot Pathogens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 김현우;최용화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23-334
    • /
    • 2015
  • 본 연구는 수박 과실썩음병의 원인균인 A. avenae subsp. citrulli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개발할 목적으로 오배자(S. chinensis)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오배자를 MeOH로 추출하여 용매분획을 하였고, 용매분획 중에서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낸 hexane fraction을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하여 활성이 강한 분획들을 GC-MS로 분석하였다. GC chromatogram 상의 주요 peak에 해당하는 mass spectrum과 Wiley library를 비교하여 profiling한 결과, 지방산인 myristic acid, palmitic acid와 3-n-pentadecylphenol이 주요 물질로 검출되었다. 이들 검출 화합물의 항균활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표준품을 사용하여 bioassay한 결과, myristic acid와 3-n-pentadecylphenol 화합물이 강한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오배자로부터 분리한 myristic acid와 3-n-pentadecylphenol 화합물이 항균 활성물질인 것을 구명하였다.

시판(市販) 식용유(食用油)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 관關하여 (제 1보)(第 1報) (Composition of Fatty Acid in the Edible Oils)

  • 이순재;이만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9-53
    • /
    • 1977
  • 시판(市販) 고가(高價)의 기름에 저렴(低廉)한 기름을 혼입(混入)시키는 일이 흔히 일어나므로 이것을 쉽게 검색(檢索)하기 위한 방편(方便)으로 각 식용유(食用油)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을 gas chromatography 법(法)에 의해서 조성비(組成比)를 조사(調査)하였으며 이들 지방산(脂肪酸)의 조성(組成)을 보면 참기름은 myristic, palmitic, stearic, linoleic acid와 미량(微量)의 linolenic acid로, 미강유(米糠油)와 대두유(大豆油)는 myristic,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 및 linoleic acid, 들기름은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 linolenic acid, 해바라기 기름은 palmitic, stearic, oleic acid 및 linoleic acid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참기름에도 linolenic acid가 극미량(極微量) 밖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것이 풍부한 타(他)의 기름이 혼입(混入)되었을 경우 쉽게 검출(檢出)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유성오염의 세척성에 관한 연구(제1보) -개체유성오염의 세척성- (Studies on the Detergency of Oily Soils (Part 1) - Detergency of Soild Oily Soils -)

  • 김영희;정두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24-535
    • /
    • 1994
  • The interaction and detergency between oily soil and surfactant solution were studied Samples used were tristearin, tripalmitin and their mixture as a triglyceride, myristic acid as a fatty acid and sodium dodecyl sulfate (SDS) as surfacta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ixtures of model oily soils were formed of eutectic point and their melting point were lower than them of individual oily soils. 2. The formation of liquid crystalline (LC) phase was recognized in the triangle phase diagram for SDS~ water~model oily soil system. The areas of LC phase region were in the order of SHS~ water~myristir acid> SDS~ water~mixture of tristearin, tripalmitin and myristic acid (TS/TP/M)>SDS~water~mixture of tristearin and tripalmitin (TS/TP) 3. The LC phase region expanded to wide concentration range of SDS solution and high concentration range of model oily soil with increasing temperature. Particularity, the LC phase region expanded highly at $30~40^{\circ}C$ but when the temperature was elevated above $40^{\circ}C$, expanding tendency decreased. 4. In the system of myristic acid and TS/TP/M contacted with SDS solution, the LC phase was already formed at $28^{\circ}C$ and the region of the LC phase were expand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But in the system of TS/TP contacted with SDS solution, the LC phase was not formed in whole experiment temperature. 5. The detergency of myristic acid was very high ann it was recognized that the formation of the LC phas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tergency. The detergency of TS/TP was very for low, but when TS/TF was mixed with myristic acid, the detergency of TS/TP increased. It is supposed that the LC phase was formed butween SDS solution and myristic acid promoted to penetration of SDS solution into the inner parts of TS/TP.

  • PDF

대마(Carnnabis sativa L.)씨의 지방산 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of Hempseed)

  • 고대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01-206
    • /
    • 1990
  • This investigation on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of hempseed through gas -chromatography analysis found the follwing results. Myristic acid and other ten materials were detected. And there was mainly composed of myristic acid 29.4%, Palmitoleic acid 16.2%, linoleic acid 14.9%, oleic acid 12.4%. It also showed that heptadecanoic acid 10.8%, erucic acid 0.5%, docosahexaenoic acid 0.3% and essential fatty acid were contained 11.9% between them. As stearic acid, docosahexaenoic acid, linoleic acid and arachidonic acid made lower cholesterol level in body, they will help prevention of senile disease with the oil d hemp seed.

  • PDF

한국산녹두(韓國産綠豆)의 성숙중(成熟中) 지방산함량변화(脂肪酸含量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Seeds of Mung Bean during the Ripening Process)

  • 고무석;박복희;이행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75-79
    • /
    • 1982
  • 한국산(韓國産) 녹두(綠豆)(Phaseolus aureus)의 성숙단계별(成熟段階別) 지방산(脂肪酸)의 함량변화(含量變化)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개화후(開花後) 10일(日), 15일(日), 20日, 25일(日), 30일(日)의 5단계(段階)로 채취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지방(粗脂肪)의 함량(含量)은 숙성(成熟)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增加)하였다. (2) 녹두(綠豆)의 성숙과정중(成熟過程中) 나타나는 지방산(脂肪酸)은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 등이다. (3) myristic acid, palmitic acid는 성분(成熟) 이후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4) 총(總) 지방산중(脂肪酸中)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많고 oleic acid, linolenic acid는 거의 비슷한 함량(含量)을 보였다. (5) 성숙과정중(成熟過程中)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 대(對)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은 16-19/81-84%의 비율(比率)로 함유(含有)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Holstein 젖소 초유의 성분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Compositions of Holstein Colostrum during Lactation Period)

  • 이수원;양동훈;황보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58-366
    • /
    • 2001
  • 초유의 이용성을 향상시키고, 그 품질을 보존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분만 후 12시간 간격으로 착유한 초유를 이용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초유의 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유의 단백질, 지방, SNF, 그리고 총 고형분은 분만 후 12시간부터 48시간까지 급속도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유당은 분만 12시간 후의 함량이 가장 낮았으며, 회분 함량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분만 후 12시간 및 24시간의 IgG함량은 그 이후에 착유한 것보다 높았으며(p<0.05), 12시간 후의 IgG 함량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만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초유 중의 지방산 조성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으나, lauric acid, myristic acid, 그리고 총 포화 지방산 함량은 경산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미경산우의 capric acid, lauric acid, myristic aid, 그리고 palmitoleic acid는 경우산의 초유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 PDF

Fatty Acid Compositions of Oocytes, Follicular, Oviductal and Uterine Fluids of Pig and Cow

  • Yahia Khandoker, M.A.M.;Tsujii, H.;Karasawa, 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0권5호
    • /
    • pp.523-527
    • /
    • 1997
  •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oocytes, follicular, oviductal and uterine fluids of pig and cow were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 Myristic (C 14: 0), palmitic (C 16: 0), palmitoleic (C 16: 1), stearic (C 18 : 0), oleic (C 18: 1), linoleic (C 18: 2), linolenic (C 18: 3) and arachidonic (C 20: 4) acids were identified as the common fatty acid constituents with little exception. Oleic acid composition was the highest (21.90 to 36.24%) in both pig and cow followed by palmitic (18.61 to 31.90%) and stearic (10.34 to 20.39%) acid. The thre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like linoleic, linolenic and arachidonic acids were detected in both pig and cow reproductive fluid samples. Myristic acid was not detected in pig oviductal fluid. Similarly, in cow oocytes myristic, palmitoleic and linolenic acids were not detected. Moreover, palmitic, stearic, oleic and linoleic acid comprised about 80% (73.74 to 88.00%) of the total fatty acids in the different samples analyzed in both animals.

유류된 잠재지문의 지방산조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fatty acids composition by latent fingerprint deposition)

  • 최미정;하재호;박성우
    • 분석과학
    • /
    • 제21권3호
    • /
    • pp.212-221
    • /
    • 2008
  • 사건현장에 잔류하는 잠재지문의 효과적인 탐색 및 감식을 위한 자료를 얻고자 비다공성 증거물에 잔류된 잠재지문의 지방산 조성분석을 실시하고 7개월간의 지문유류에 따른 조성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문시료는 한국인 29-50 세 남성 8인과 여성(36 세) 1명으로부터 제공받았다. 모든 지문에서는 lauric acid (C12:0), myristic acid (C14:0), palmitic acid (C16:0), stearic acid (C18:0), elaidic acid (C18:1n9t), oleic acid (C18:1n9c), linoleic acid (C18:2n6c), arachidic acid (C20:0), linolenic acid (C18:3n3), erucic acid (C22:1n9)와 docosadienoic acid (C22:2)의 11종의 지방산이 검출됨을 확인하였고, palmitic acid (35.45-48.37%), oleic acid (14.84-28.49%), stearic acid (9.71-24.96%)와 linoleic acid (7.68-18.85%)가 확인된 지방산조성의 75%이상을 차지하여 주요 구성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7개월간 온도 $20-25^{\circ}C$, 습도 40-50%의암실환경에서의장기간유류에따라총지방산의함량이 12-25% 감소하였으며, 이는 elaidic acid (C18:1n9t), arachidic acid (C20:0), linolenic acid (C18:3n3), erucic acid (C22:1n9), docosadienoic acid (C22:2)의 장쇄지방산들의 소실과 단쇄지방산인 myristic acid (C14:0), myristoleic acid (C14:1), pentadecanoic acid (C15:0)의 생성에 따른 결과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