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tant protein

검색결과 889건 처리시간 0.031초

벼 초거대배 돌연변이계통의 영양 및 작물학적 특성 (Nutritional and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Super-Giant Embryo Mutant in Rice)

  • 고희종;박순직;원용재;허문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37-544
    • /
    • 1993
  • 화청벼 에서 유기된 초거대배 돌연변리계통을 육성하고 그의 미립 외형특성, 단백질함량 및 아미노산 조성, 지질함량 및 지방산 조성, 비타민 함량등의 영양특성 및 작물학적 특성을 원품종과 대비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거대배 변리계통의 현미 외형크기는 원품종과 차이가 없었으나, 1000립중은 원품종의 74.5%이었고, 1립당 배의 크기는 건물중으로 322%이었다. 2. 현미의 단백질함량은 8.99%로 화청벼의 7.39%에 비해 높았고, 저장단백질의 조성은 차이가 없었다. 아미노산조성에서는 현미 전체로 볼 때 lysine 함량이 월등히 증대되었고, methionine, serine, ,tyrosine 함량이 다소 감소되었다. 3. 현미의 지질함량은 5.7%로 원품종의 3.8%에 비해 1.5배 증가하였다. 지방산 중 팔미틴 산 함량은 증가하였고, 리놀산 함량은 감소하였다. 4. 배의 비타민 $B_1,B_2$, niacin함량에서 초거대배미와 원품종과는 차이가 없었으며, ${\alpha}$-tocopherol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현미 전체로 보면$B_1,B_2$, ${\alpha}$-tocopherol 함량이 월등히 증가하였다. 5. 초거대배미는 고영양미로서의 이용가치가 클것으로 판단되었다. 6. 초거대배 변이계통(M4)들의 정조수량은 원품종인 화청벼(556kg/10a)에 비해 69.2~78.8% 정도이었다. 생육형질의 변이계수로 보아 대부분 계통들이 고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reptomyces sp. SAR01 균주에서의 항진균 관련 단백질 분석 (Analysis of Antifungal Proteins in Streptomyces sp. SAR01)

  • 이영근;김재성;조규성;장병일;추철형
    • 환경생물
    • /
    • 제20권3호
    • /
    • pp.237-244
    • /
    • 2002
  • 항진균 활성 관련 단백질을 탐색하기 위해 미역류로부터 식물병원성 곰팡이의 생장을 저해하는 SAR01 균주를 분리하였고, FAME (fatty acid methyl ester) 분석 결과, Streptomyces sp.로 동정되었다. 방사선 조사$(^{60}Co)$를 실시한 결과, Botrytis cinerea를 포함한 5종의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소실한 SAR535 균주 외 6종의 돌연변이 균주가 유도되었다. SAR01 야생형 균주와 SAR535 돌연변이 균주의 세포내 단백질의 이차원 전기영동 분석결과, 6종의 단백질이 야생형 균주인 SAR01 균주의 세포내에만 존재하였다. 이들 6종의 단백질 중, 5종은 heat shock protein 70 (HSP70), Fe-containing superoxide dismutase II (Fe - SODII), ribosome recycling factor (RRF), 10 kD chaperonin (GroES) 및 inorganic pyrophosphatase (PPAse)와 각각 75%, 93%, 100%, 96% 및 83%의 유사성을 보였다. 이들 6종의 단백질들은 Streptomyces sp. SAR01 균주의 항진균 활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인간 퓨린수용체 $P2X_4$를 발현시킬 때 나타나는 대장균 독성의 원인분석 (Analysis of Toxicity in Escherichia coli from the Expression of Human Purinergic Receptor $P2X_4$)

  • 유연주;정윤아;임동빈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7-13
    • /
    • 2011
  • 일반적으로 대장균을 숙주로 이용하여 고등생물 유래 막단백질을 발현시킬 경우 발현된 막단백질은 숙주 세포에 치명적인 독성을 보인다. 우리가 발현을 시도한 15개의 인간 막단백질 중에서 특히 퓨린수용체 $P2X_4$ 발현은 대장균에 강한 독성을 보였다. 이러한 독성의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hydroxylamine을 사용하여 하여 인간 $P2X_4$ 유전자를 돌연변이 시키고 독성이 약해진 돌연변이체를 선별하였다. 돌연변이체 단백질을 면역블랏으로 분석한 결과 야생형에 비해 모두 단백질의 크기가 작았다. 크기가 제법 큰 돌연변이 두 개를 골라 DNA 서열분석을 해보니 130번째, 또는 194번째 Trp 코돈이 종결코돈으로 바뀜으로써 두 번째 막통과 도메인이 사라진 truncated protein이라는 사실을 알았다. 이들 돌연변이체의 세포내 위치를 추적해보니 둘 다 세포막에 삽입되어 있지는 않았다. 이런 결과를 종합해 볼 때 $P2X_4$의 발현이 대장균에 독성을 보이기 위해서는 전체 단백질의 올바른 세포막 삽입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Directed Evolution of Soluble α-1,2-Fucosyltransferase Using Kanamycin Resistance Protein as a Phenotypic Reporter for Efficient Production of 2'-Fucosyllactose

  • Jonghyeok Shin;Seungjoo Kim;Wonbeom Park;Kyoung Chan Jin;Sun-Ki Kim;Dae-Hyuk Kwe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11호
    • /
    • pp.1471-1478
    • /
    • 2022
  • 2'-Fucosyllactose (2'-FL), the most abundant fucosylated oligosaccharide in human milk, has multiple beneficial effects on human health. However, its biosynthesis by metabolically engineered Escherichia coli is often hampered owing to the insolubility and instability of α-1,2-fucosyltransferase (the rate-limiting enzyme). In this study, we aimed to enhance 2'-FL production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soluble α-1,2-fucosyltransferase from Helicobacter pylori (FucT2). Because structural information regarding FucT2 has not been unveiled, we decided to improve the expression of soluble FucT2 in E. coli via directed evolution using a protein solubility biosensor that links protein solubility to antimicrobial resistance. For such a system to be viable, the activity of kanamycin resistance protein (KanR) should be dependent on FucT2 solubility. KanR was fused to the C-terminus of mutant libraries of FucT2, which were generated using a combination of error-prone PCR and DNA shuffling. Notably, one round of the directed evolution process, which consisted of mutant library generation and selection based on kanamycin resistance,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pression level of soluble FucT2. As a result, a batch fermentation with the ΔL M15 pBCGW strain, expressing the FucT2 mutant (F#1-5) isolated from the first round of the directed evolution process, resulted in the production of 0.31 g/l 2'-FL with a yield of 0.22 g 2'-FL/g lactose, showing 1.72- and 1.51-fold increase in the titer and yield,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strain. The simple and powerful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enhance the solubility of other unstable enzymes.

온도변화에 의한 cAMP 수용성 단백질(CRP)의 구조 (Study on the structure of cAMP receptor protein(CRP) by temperature change)

  • 주종호;구미자;강종백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79-285
    • /
    • 2000
  • cAMP 수용성 단백질인 CRP는 Escherichia coli에서 대사와 관련된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한다. 본 연구는 야생형과 돌연변이 CRP 단백질의 열적 안정성과 온도에 따른 단백질의 구조변화를 관찰하기 위 하여 proteolytic digestion, UV spectrophotometer, CD spectrapolarimeter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cAMP가 없을 때에는 야생형, S83G, S128A CRP가 열적 안정성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cAMP가 존재할 때 야생형 CRP가 다른 돌연변이 CRP보다 열적으로 더욱 안정함을 보였다. 그리고 protease digestion 실험을 통하여 높은 온도에서 cAMP의 존재와 무관하게 돌연변이 CRP에서 단백질 의 변성으로 인한 절단된 단백질띠를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55$^{\circ}C$에서 측정한 CD 스펙트럼에서 단백 질의 2차 구조인 $\alpha$-helix 구조가 부분적으로 파괴되었음이 관찰되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Cell Wall Proteins from the soo1-1/ret1-1 Mutant of Saccharomyces cerevisiae

  • Lee, Dong-Won;Kim, Ki-Hyun;Chun, Se-Chul;Park, Hee-Moo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0권3호
    • /
    • pp.219-223
    • /
    • 2002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unction of Soo1p/${\alpha}$-COP during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and intra-cellular transport of cell wall proteins in Saccharomyces cerevisiae, cell wall proteins from the soo1-1/ret1-1 mutant cells were analyzed. SDS-PAGE analysis of biotin labeled cell wall proteins suggested that the soo1-1 mutation impairs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of cell wall proteins, such as N- and/ or Ο-glycosylation. Analysis of cell wall proteins with antibodies against ${\beta}$-1,3-glucan and ${\beta}$-1,6-glucan revealed alteration of the linkage between cell wall proteins and ${\beta}$-glucans in the soo1-1 mutant cells. Compositional sugar analysis of the cell wall proteins also suggested that the soo1-1 mutation impairs glycosylation of cell wall protein in the ER, which is crucial for the maintenance of cell wall integrity.

Elucidation of the Regulation of Ethanol Catabolic Genes and ptsG Using a glxR and Adenylate Cyclase Gene (cyaB) Deletion Mutants of Corynebacterium glutamicum ATCC 13032

  • Subhadra, Bindu;Lee, Jung-K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12호
    • /
    • pp.1683-1690
    • /
    • 2013
  • The cyclic AMP receptor protein (CRP) homolog, GlxR, controls the expression of several gene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diverse physiological processes in Corynebacterium glutamicum. In silico analysis has revealed the presence of glxR binding sites upstream of genes ptsG, adhA, and ald, encoding glucose-specific phosphotransferase system protein,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respectively. However, the involvement of the GlxR-cAMP complex on the expression of these genes has been explored only in vitro. In this study, the expressions of ptsG, adhA, and ald were analyzed in detail using an adenylate cyclase gene (cyaB) deletion mutant and glxR deletion mutant. The specific activities of ADH and ALDH were increased in both the mutants in glucose and glucose plus ethanol media, in contrast to the wild type. In accordance, the promoter activities of adhA and ald were derepressed in the cyaB mutant, indicating that glxR acts as a repressor of adhA. Similarly, both the mutants exhibited derepression of ptsG regardless of the carbon source. These results confirm the involvement of GlxR on the expression of important carbon metabolic genes; adhA, ald, and ptsG.

Identification of Receptor-like Protein for Fructose-1,6-bisphosphatase on Yeast Vacuolar Membrane

  • Ko, Je-Sang
    • BMB Reports
    • /
    • 제33권6호
    • /
    • pp.448-453
    • /
    • 2000
  • In yeast the key gluconeogenic enzyme, fructose-1,6-bisphosphatase (FBPase), is selectively targeted from the cytosol to the lysosome (vacuole) for degradation when glucose starved cells are replenished with glucose. The pathway for glucose induced FBPase degradation is unknown. To identify the receptor-mediated degradation pathway of FBPase, we investigated the presence of the FBPase receptor on the vacuolar membrane by cell fractionation experiments and binding assay using vid mutant (vacuolar import and degradation), which is defective in the glucose-induced degradation of FBPase. FBPase sedimented in the pellets from vid24-1 mutant after centrifugation at $15,000{\times}g$ for 15 min, suggesting that FBPase is associated with subcellular structures. Cell fractionation experiments revealed that FBPase is preferentially associated with the vacuole, but not with other organelles in vid24-1. FBPase enriched fractions that cofractionated with the vacuole were sensitive to proteinase K digestion, indicating that FBPase is peripherally associated with the vacuole. We developed an assay for the binding of FBPase to the vacuole. The assay revealed that FBPase bound to the vacuole with a Kd of $2.3{\times}10^6M$. The binding was saturable and specific.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receptor for FBPase degradation exists on the vacuolar membrane. It implies the existence of the receptor-mediated degradation pathway of FBPase by the lysosome.

  • PDF

돌연변이 불면잠$(nm^n)$ 의 불면형질의 발현 (Phenotypic Expression of the Non Molting Gene in The 'Non-molting of Nho' of Bombyx mori)

  • 유현주;노시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93-99
    • /
    • 1993
  • 새로운 돌연변이 불면잠 nmn에 대한 조직학적 관찰 및 생리 생화학적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화 3일째가 되면 정상잠은 흉부가 흰색을 복부는 갈색을 나타내는데 비해 불면잠은 전체적으로 암갈색을 띠며 부화 7,8일경이 되면 대부분 치사한다. 잠기별 발현비율은 월년란에 비해 인공부화란에서 현저하게 높았으며 부화날짜별 불면잠의 발현비율은 3일동안 거의 비슷했다. 조직학적 관찰결과 불면잠의 탈피선은 정상잠의 그것에 비해 형태나 크기에 있어서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정상잠이 면중에 새로운 피부가 형성되는데에 비해 불면잠에서는 신피형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유충혈액중의 총단백질은 정상잠이 불면잠에 비해 훨씬 많았을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수종의 단백직 성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