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tard

검색결과 548건 처리시간 0.027초

돌산갓 김치와 돌산갓 피클의 Glucosinolates의 LC-PDA/MS/MS분석 (LC-PDA/MS/MS Analysis of Glucosinolates in Dolsan Leaf Mustard Kimchi and Dolsan Leaf Mustard Pickles)

  • 오선경;;김기웅;최명락
    • KSBB Journal
    • /
    • 제31권1호
    • /
    • pp.1-7
    • /
    • 2016
  • Changes in the concentrations of glucosinolates and related compounds in different extracts of Dolsan leaf mustard kimchi (DLMK) and Dolsan leaf mustard pickles (DLMP) were during storage investigated. Samples were kept at 0oC for 35 days and collected at 7 day intervals. The leaves and stems of DLMK and DLMP were refluxed for 24 h with 50% acetonitrile, and the extracts were analyzed by LC-PDA/MS/MS. The main glucosinolates detected in DLMK were sinigrin, gluconapoleiferin, glucobrassicanapin, and gluconapin, whereas those in DLMP were sinigrin, gluconapoleiferin, glucobrassicanapin, glucobrassicin, and glucoerucin. Sinigrin concentrations were quantified by UV absorption at 228 nm. Sinigrin concentrations in the leaves and stems of DLMK on the day of preparation were 2.14 mg/g and 2.25 mg/g, respectively, and those on day 35 after preparation were 1.25 mg/g and 1.00 mg/g, respectively. DLMP showed a similar trend: the concentrations in the leaves and stems on the day of preparation were 2.04 mg/g and 0.29 mg/g, respectively, whereas those on day 35 after preparation were 0.59 mg/g and 0.41 mg/g, respectively. Thus, sinigrin concentrations decreased during storage.

다양한 데침조건에서 돌산갓의 이화학적 특성 및 LC-PDA/MS/MS 분석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lsan Leaf Mustard according to Various Blanching Conditions and Liquid Chromatography with Photodiode Array and Tandem Mass Spectrometry Analysis)

  • 손혜련;오선경;;최명락
    • KSBB Journal
    • /
    • 제31권1호
    • /
    • pp.20-26
    • /
    • 2016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optimum blanching conditions as a pretreatment condition to improve the storage stability of Dolsan leaf mustard pickle. The effects of the blan- ching temperature and time were investigated at a temperature range of $80-100^{\circ}C$. Sampling was done for 1 month after a 5 days interval. The L value of the Dolsan leaf mustard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t $80^{\circ}C$. The cutting force increased as the blanching temperature increased. The tensile strength decreased at $95^{\circ}C$ and $100^{\circ}C$. In addition, the sensory evaluation scores were the best at $80^{\circ}C$. The storage stability was assessed at various blanching temperatures to increase the sinigrin content during storage. Liquid chromatography with photodiode array and tandem mass spectrometry (LC-PDA/MS/MS)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quantify the sinigrin content in the Dolsan leaf mustard. Sinigrin as an internal standard was co-injected into each sample solution. The sample was monitored by recording the ultraviolet absorbance at 228 nm and by electrospray ionization (ESI) positive ion mode in the m/z 50-1,500 range. Blanching the sample at $80^{\circ}C$ showed the highest sinigrin concentration during storage among various temperatures and the maximum concentration was 350 ppm at 15 days storage. Study on utilization of vegetable from food processing of leaf mustard and preservation conservation results suggest that blanching at $80^{\circ}C$ is expected to improve the palatability of the pickle.

Antibacterial Effects of Natural Essential Oils from Ginger and Mustard against Vibrio Species Inoculated on Sliced Raw Flatfish

  • Yoo, Mi-Ji;Kim, Yong-Suk;Shin, Dong-Hwa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3호
    • /
    • pp.462-465
    • /
    • 2006
  • In order to extend the shelf life of sliced raw flatfish,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natural essential oil from mustard and a mixture of ginger and mustard essential oils were tested at various temperatures. In addition, volatile components of the mixed essential oils were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 and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The viable cell counts of Vibrio parahaemolyticus treated with mixed essential oils from ginger and mustard was 0.7-1.3 log CFU/g lower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s during storage at $5^{\circ}C$. During storage at $20^{\circ}C$, the viable cell counts of V. parahaemolyticus, V. vulnificus 01, and V. vulnificus 02 treated with the essential oils increased slightly from 6.53-6.64 log CFU/g at initial stages to 6.77-7.72 log CFU/g after 24-hr of storage, however they were 1.38-1.97 log CFU/g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8.74-9.10 log CFU/g). These results show that the growth of V. parahaemolyticus and V. vulnificus inoculated on sliced raw flatfish could be inhibited by treatment with natural essential oils from ginger and mustard at $5^{\circ}C$ of storage. However,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the essential oils on Vibrio species observed in this study were not sufficient to merit their use in sliced raw flatfish at temperatures exceeding $20^{\circ}C$.

Optimization of extrusion cooking conditions for seasoning base production from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 Lee, Chaehyeon;Shin, Eui-Cheol;Ahn, Soo-Young;Kim, Seonghui;Kwak, Dongyun;Kwon, Sangoh;Choi, Yunjin;Choi, Gibeom;Jeong, Hyangyeon;Kim, Jin-Soo;Lee, Jung Suck;Cho, Suengmo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5권3호
    • /
    • pp.175-186
    • /
    • 2022
  •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an important edible seaweed belonging to the brown algal family of Alariaceae, contains copious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It has long been popular in Korea as a food and is frequently consumed in the form of soup. It is also commercially available as a home meal replacement.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easoning key base with a high degree of sensory preference from sea mustard using the extrusion cooking process. Extrusion cooking conditions were optimized through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Barrel temperature (X1, 140℃-160℃) and screw speed (X2, 158-315 rpm)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overall preference was determined as the dependent variable (Y, points). An optimal condition was obtained at X1 = 148.5℃ and X2 = 315 rpm, and the dependent variable (Y, overall acceptance) was 7.95 points, similar to the experimental value of 7.81. Umami taste had a relationship with the overall acceptance of sea mustard seasoning. In the electronic nose and tongue, increased sourness and umami intensities were associated with the highest sensory score. The samples were separated well by each characteristic vi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ollectively, our study provides imperative prelimin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seasonings using sea mustard.

부산 태종대 굴통머리 미역(Undaria pinnatifida)의 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f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from the Gultongmeori Area, Taejongdae, Busan)

  • 신영도;이정우;최명원 ;임선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96-203
    • /
    • 2023
  • We investigated the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f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fractions from Gultongmeori in Taejongdae, Youngdo, Busan. Based on dry weight,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lipid, crude ash, and crude fiber contents were 34.98%, 11.55%, 0.43%, 17.82%, and 3.45%, respectively. To evaluate the antioxidant effect, we used radical scavenging (DPPH and ABT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measurement, and DNA oxidation assays. Total flavonoid and phenol contents were higher in the n-hexane fraction than in other fractions. The n-hexane fraction was more effective at scavenging free radicals than other fractions as assessed using DPPH and ABTS assays (P<0.05). The ROS production assay showed that all sea mustard fractions decreased H2O2 induced cellular ROS production compared to that seen in the control (P<0.05); however, the n-hexane fraction reduced cellular ROS production to a greater extent than the other fractions. Furthermore, the n-hexane fraction from Gultongmeori significantly inhibited genomic DNA oxid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ntioxidant effect of sea mustard is associated with its high flavonoid and phenol content. This study proposes that processed food products supplemented with sea mustard can be developed as functional foods to promote health in the local population.

녹차 및 늙은호박분말 첨가에 따른 갓김치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Mustard Leaf Kimchi Added Green Tea and Pumpkin Powder)

  • 박민정;전영수;한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53-1059
    • /
    • 2001
  • 갓김치에 항산화 성분의 함량이 높은 부재료를 첨가하여 기능성이 증진된 갓김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행하였다. 부재료로 선정된 녹차 및 늙은호박을 분말로하여 이들의 첨가비를 달리 한 갓김치를 제조한 후 chlorophyll, carotenoids, 총 페놀 및 비타민 C 함량을 담금 직후와 적숙기에 측정하여 부재료 첨가에 따른 갓김치의 항산화 성분 함량을 비교 연구하였으며 , 그 결과 늙은호박분말 0.3%와 녹차분말 0.2%을 첨가한 갓김치구가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에 늙은호박분말 0.3%와 녹차분말 0.2%을 첨가한 갓김치구를 대조구과 함께 비교하면서 항산화성에 대한 실험을 행하였다 항산화성 실험은 갓김치를 담은 첫날과 적숙기에 행하였으며, 그 결과 거의 모든 실험에서 대조구보다 녹차 및 늙은호박을 첨가한 갓김치구가 항산화성을 나타내는 산화에 대한 저해율이 높게 나타났다. 담금 첫날 갓김치 구보다 적숙기의 갓김치구가 힝산화성이 높았는데, linoleic acid 자동산화에 대한 억제효과는 담금 첫날 대조구의 저해율 42.81%보다 늙은호박분말 0.3%와 녹차분말 0.2% 첨가 처리구가 46.95%로 더 높았으며, 적숙기에는 대조구는 58.63%, 처리구는 65.91% 으로 적숙기의 처리구가 다른 군에 비해 가장 높았다. Conjugated diene생성 억제효과는 적숙기의 처리구는 55.50%로 가장 높았고, LDL 산화 저해효과, TBA가 측정 결과도 적숙기의 녹차 및 늙은호박분말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DPPH 소거효과에서 담금 첫 날 대조구의 51.23%에 비해 적숙기의 처리구는 76.81%로 저해율이 아주 높게 측정되었는데 이는 부재료 첨가 갓김치구는 DPPH에 대한 강한 소거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실험 결과를 종합할 때 갓김치에 녹차 및 늙은호박분말을 첨가함으로써 첨가하지 않은 갓김치 대조구에 비해 항산화 관련 성분의 함량도 증가하였고, 또한 항산화성 실험 에서도 산화에 대한 저해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갓김치에 늙은호박분말 0.3%와 녹차분말 0.2% 첨가 갓김치구가 가장 우수하였고 특히 적숙기에 가장 높은 항산화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웅성불임 인자를 이용한 갓(Brassica juncea L. Czern)의 F1 육종 (Breeding of F1 Hybrid for Oriental Mustard(Brassica juncea L. Czern) Using the Cytoplasmic Male Sterile Line)

  • 박용주;민병환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2권6호
    • /
    • pp.27-36
    • /
    • 2018
  • 김치가 세계 5대 건강식품으로 선정되어 세계인의 주목을 받게 되면서 갓의 수요도 점점 증가하고 있어 다양한 갓품종의 육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아직 품종보급 체계가 미흡하여 자가 채종에 의한 자식약세현상, 순도저하, 상품의 불균일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갓의 F1 품종 육성체제를 갖추기 위하여 유전자원으로 수집한 갓의 순계분리와 자식계통의 육성, 웅성불임인자의 도입을 통하여 고품질의 갓을 육성하기 위하여 각 조합을 공시하여 조합능력을 검정하고(인도자사이${\times}$고흥담양)조합과 (분리 MS 유기계-MS910${\times}$일본 적자색갓 8${\times}$강화갓 9) 분리계 조합이 우수하다고 판단되어 양친으로 선발하였다. PCR(Polymerase Chain Reaction)과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CMS type을 확인해 본 결과, MS계통 MSLS와 MSLC는 갓에서 보고된 orf263, orf220 및 orf288 CMS 유전자를 미토콘드리아 DNA에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생산력검정 및 농가 실증시험을 실시하였다.

Neem과 mustard oil이 곤충병원성 선충과 누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eem and Mustard oils on Entomopathogenic Nematodes and Silkworm)

  • 하판정;김태수;이신혜;추호렬;최성환;김영섭;이동운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4-64
    • /
    • 2010
  • 13종의 식물 정유(anise oil, clove oil, marigold, mustard oil, neem oil, quassia, quilaja, rosemary oil, rotenone, tea tree extract, thyme oil, wintergreen oil, and yucca)와 caffeine이 산업곤충인 누에(Bombyx mori)와 생물적 방제 인자의 하나인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Sc)과 Heterorhabditis sp. Gyeongsan 계통(Hg)에 미치는 영향을 실내 검정하였다. 1,000 ppm 농도의 식물체 추출물들 중 neem oil이 누에에 대한 살충활성이 가장 높았다. Neem oil을 처리한 뽕잎을 공급하였을 때, 급상 5일과 10일 후 누에의 치사율은 각각 55.3%와 100%였다. 그리고 neem oil이 처리된 뽕잎을 섭식한 누에는 번데기와 고치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Rotenone을 처리한 뽕잎을 공급받은 누에의 고치와 번데기 무게는 각각 0.27 g과 1.01 g으로 가장 적었다. Mustard oil은 곤충병원성선충에 대하여 살선충 활성이 높았다. X-plate에서는 mustard oil 20 ppm 처리 시 곤충병원성선충 Sc와 Hg의 치사율이 처리 3일 후 각각 69.0%와 100%였으며 5 ppm 농도에서도 4%와 36%의 치사율을 보였다. Sand barrier에서 Sc를 100 ppm 농도의 mustard oil과 혼합 처리 시 꿀벌부채명나방(Galleria mellonella) 노숙 유충의 치사율은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Hg의 경우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30% 낮은 꿀벌부채명나방 치사율을 보였다.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의 체내에 정착한 선충 수는 Hg가 Sc에 비하여 적었다. Sand barrier내 생존 Sc 선충 수는 200 ppm 이하 농도에서는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었다.

미역을 함유한 압출성형물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ate Containing Sea Mustard by Single Extruder)

  • 도정룡;오상룡;김영명;김동수;조진호;문광덕;조길석;구재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3-26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연근해에서 생산되는 해조류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단축스쿠류 압출성형기를 이용, corn grits에 미역 분말을 첨가하여 압출성형시켰을 때 일어나는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반응표면 실험계획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미역분말을 첨가한 corn grits압출성형물의 이화학적 측정치인 각 종속변수들간의 단순상관관계를 보면 밀도는 팽화율, 명암도, 파단강도는 수분용해 지수, 명암도, 수분흡수지수는 수분용해도지수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독립변수인 수분함량($15{\sim}21\%$), 미역분말함량($10{\sim}30\%$) 및 토출구온도($95{\sim}115^{\circ}C$)의 주어진 범위에서 각 종속변수인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영향을 3차원 반응표면 회귀분석을 하였을 때, 팽화율은 수분함량이 감소하고 토출구 온도가 증가할 때 증가하였으며, 밀도는 수분함량과 미역분말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단강도는 수분함량과 미역분말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단강도는 수분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반면, 미역분말함량에 따라서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수분용해도지수는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명암도는 대체로 미역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 PDF

해조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Tyrosinase 억제 활성 (Antioxidant Effect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Seaweeds Ethanol Extracts)

  • 이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893-1898
    • /
    • 2013
  • 우리나라에서 소비량인 높은 대표적인 해조류인 김, 미역, 다시마 및 톳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여 추출물의 추출수율, 색도, 총 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분석하였고, 추출물의 지질산화 억제능 및 tyrosinase 억제활성을 분석하였다. 용매를 이용하여 김, 미역 다시마 및 톳의 추출물 수율은 3.00, 5.38, 11.73 및 0.72%를 나타내었고, 색도 분석 결과 김, 미역, 다시마 및 톳 추출물의 명도는 82.88, 78.53, 83.04 및 78.11로 다시마 추출물의 명도가 가장 밝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김 추출물의 명도와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 페놀 함량은 김, 미역, 다시마 및 톳 추출물이 각각 42.23, 11.59, 10.09 및 46.59 mg/g으로 나타냈다. DPPH 라디칼의 경우 톳 추출물이 82.43%로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김 추출물의 경우 26.76%의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DPPH 라디칼 소거능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해조류 추출물의 tyrosinase inhibition effect 결과는 김, 미역, 다시마 및 톳 추출물의 tyrosinase inhibition이 각각 25.93, 26.32, 24.76 및 20.24%의 활성을 나타냈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해조류 추출물의 총 페놀화합물,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미백활성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해조류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의 결과 값과 P<0.001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