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variate GARCH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7초

금융 및 특수시계열 모형의 조망 (A recent overview on financial and special time series models)

  • 황선영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1호
    • /
    • pp.1-12
    • /
    • 2016
  • 금융시계열은 일반 시계열과는 차별적으로 stylized facts로 불리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특징들은 급첨 성질, 비정규분포, 변동성 집중 및 비대칭성을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들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선형 ARMA 모형에서 벗어난 특수한 모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변동성 모형인 GARCH 형태의 모형을 중심으로 특수 금융시계열 모형들을 소개하고 연관된 통계적 이슈들에 대해 가능한 최근 연구를 중심으로 폭 넓게 조망하고 있다.

Study on Return and Volatility Spillover Effects among Stock, CDS, and Foreign Exchange Markets in Korea

  • I, Taly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19권3호
    • /
    • pp.275-322
    • /
    • 2015
  • The ke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turn and volatility spillover effects among stock market, credit default swap (CDS) market and foreign exchange market for three countries: Korea, the US and Japan. Using the trivariate VAR BEKK GARCH (1,1) model, the study finds that there are significant return and volatility spillover effects between the Korean CDS market and the Korean stock market. In addition, the return spillover effects from foreign exchange markets and the US stock market to the Korean stock market, and the volatility spillover effect from the Japanese stock market to the Korean stock market are both significant.

국내 주택시장의 동태적 상관관계 분석 (A Study on the Dynamic Correlations between Korean Housing Markets)

  • 신종협;서대교
    • 부동산연구
    • /
    • 제24권1호
    • /
    • pp.15-26
    • /
    • 2014
  • 본 연구는 다변량 GARCH 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주택시장의 상호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주택 유형별 매매가격증가율과 전세가격증가율 간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연립주택보다는 단독주택과 아파트의 상관계수가 더 크게 나타났다. 주택 유형에 따른 분석결과에 의하면 매매가격증가율과 전세가격증가율 두 분석 모두에서 단독주택과 연립주택 간 상관관계가 아파트와 단독주택 간 상관관계나 아파트와 연립주택 간 상관관계보다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주택을 크기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매매가격증가율을 이용한 분석결과와 전세가격증가율을 이용한 분석결과 간에는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아파트의 경우는 중형 아파트와 소형 아파트 간 상관관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독주택의 경우에는 대형 단독주택과 중형 단독주택 간 상관관계가 제일 큰 값을 기록하였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아파트는 중소형 이하에, 단독주택은 중대형 이상에 관심이 많다는 사실이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간접적으로 뒷받침해주고 있다. 연립주택의 경우에는 매매 가격보다 전세가격의 경우에 중 대형 연립주택과 소형 연립주택 간 상관계수가 더 커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와 주택을 임대하는 경우의 의사결정 과정이 서로 상이한데 그 이유가 있는 듯 보인다.

Quantile Dependence between Foreign Exchange Market and Stock Market: The Case of Korea

  • Han, Heejoon;Lee, Na Kyeong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20권4호
    • /
    • pp.519-544
    • /
    • 2016
  • This paper examines quantile dependence and directional predictability between the foreign exchange market and the stock market in Korea. Instead of adopting a multivariate model such as a vector autoregressive model, a multivariate GARCH model or a combination of both models, we apply the cross-quantilogram recently proposed by Han et al. (2016). Considering various quantile ranges, we investigate various spillover effects between two markets. Our findings show that there exists an asymmetric bi-directional spillover between two markets and the interdependence between two markets implies that one market has significant predictive power on the other.

Stock Prices and Exchange Rate Nexus in Pakistan: An Empirical Investigation Using MGARCH-DCC Model

  • RASHID, Tabassam;BASHIR, Malik Fahim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5호
    • /
    • pp.1-9
    • /
    • 2022
  • The study examines stock prices (LOGKSE) and exchange rate (LOGPK)-Pakistani Rupee vis-à-vis US Dollar- interactions in Pakistan. This study employs a multivariate VAR-GARCH model using monthly data from January 2012 to October 2020. The results of the Johansen cointegration test show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Exchange Market and Stock Market in the long run. In the short-run, stock exchange returns are affected slightly negatively by the changes in the foreign exchange market, but the foreign exchange market does not seem to be affected by the ups and downs of the stock exchange. The VAR model and Granger Causality show that both markets are strongly influenced by their own lagged values rather than by the lagged values of one another and show weak or no correlation between the two markets. Volatility persistence is observed in both the stock and foreign exchange markets, implying that shocks and past period volatility are major drivers of future volatility in both markets. Thus greater uncertainties today will induce panic and consequently generate higher volatility in the future period. This phenomenon has been observed many times on Pakistan Stock Exchange especially. The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local international investors in portfolio diversification decisions and risk hedging strategies.

다변량 BEKK모형을 이용한 방한 외래 관광객의 변동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Volatilities of Inbound Tourists Arrivals using the Multivariate BEKK model)

  • 김경수;이경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3호
    • /
    • pp.1-23
    • /
    • 2013
  • 본 연구는 2005년 1월부터 2013년 1월까지 다변량 BEKK모형을 이용하여 한국을 가장 빈번하게 방문하는 미국, 일본, 중국의 외래객 입국자수간 변동성의 전이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전체기간의 VEC모형에서 미국, 일본 및 중국의 관광객 입국자가 한국의 외래 관광객에 미치는 장기탄력성이 양(+)과 음(-)의 균형으로 변동하였다. 다변량 BEKK모형의 조건부 평균식에서 여러 평균전이효과가 존재하였고, 조건부 분산식에서 ARCH(${\epsilon}^2_t$)의 계수는 유의하여 모든 자국의 입국자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양방향의 한국과 미국간, 한국과 일본간, 미국과 중국간에 강한 변동성전이효과가 존재하였다. 또한 일방향의 미국(일본)에서 일본(중국)으로 변동성전이효과를 나타내었다. GARCH(${\sigma}^2_t$)의 계수는 자국의 입국자와 다른 입국자간에서도 강한 영향을 미치는 조건부 변동성전이효과를 보여주었고 미국과 중국의 자국 입국자에서 비대칭효과가 존재하며, 다른 입국자간에도 비대칭효과가 존재하였다. 둘째, 글로벌 금융위기후의 결과, 일본과 중국의 관광객 입국자가 한국의 외래 관광객에 미치는 장기탄력성이 모두 음(-)의 균형으로 변동하였다. 다변량 BEKK모형의 조건부 평균식에서 소수만이 평균전이효과가 존재하였고, 조건부 분산식에서 ARCH(${\epsilon}^2_t$)의 계수는 유의하여 모든 자국의 입국자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일방향의 여러 변동성전이효과를 나타내었다. GARCH(${\sigma}^2_t$)의 계수는 일본과 중국의 자국의 입국자만이 변동성전이효과를 보여주었고 한국, 미국, 일본의 자국 입국자에서 비대칭효과가 존재하며, 다른 입국자 내 간에도 비대칭효과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타국의 관광객 입국자에서 한국으로의 전이효과와 한국과 타국의 관광객 입국자간 일방향 또는 양방향의 비대칭적 반응을 관찰함으로써 한국과 타국의 관광객 입국자간의 여러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 PDF

Estimation of Seasonal Cointegration under Conditional Heteroskedasticity

  • Seong, Byeongcha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2권6호
    • /
    • pp.615-624
    • /
    • 2015
  • We consider the estimation of seasonal cointegration in the presence of conditional heteroskedasticity (CH) using a feasible generalized least squares method. We capture cointegrating relationships and time-varying volatility for long-run and short-run dynamics in the same model. This procedure can be easily implemented using common methods such as ordinary least squares and generalized least squares. The maximum likelihood (ML) estimation method is computationally difficult and may not be feasible for larger models. The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method is superior to the ML method when CH exists. In order to illustrate the proposed method, an empirical example is presented to model a seasonally cointegrated times series under CH.

신선 물오징어의 도·소매시장 간 가격 변동성의 전이 및 비대칭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symmetry Effect and Price Volatility Spillover between Wholesale and Retail Markets of Fresh squid)

  • 김철현;남종오
    • 수산경영론집
    • /
    • 제49권2호
    • /
    • pp.21-35
    • /
    • 2018
  • Squid is a popular seafood in Korea. However, since the 2000s, the squid production has been declining. The unstable supply of the squid products may cause price fluctuations of fresh and chilled squid. These price fluctuations may be relatively more severe than them of other commodities, because the fresh and chilled squid can not be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us,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price volatility and price asymmetry of fresh squid based on off-diagonal GARCH model. Data used to analysis of this study are daily wholesale and retail prices of fresh squid from January 1, 2006 to December 31, 2016 provided in the KAMIS. As theoretical approaches of this study, first of all, the stability of the time series is confirmed by the unit root test. Secondly, the causality between distribution channels is checked by the Granger causality test. Thirdly, the VAR model and the off-diagonal GARCH model are adopted to estimate asymmetry effect and price volatility spillover between distribution channels. Finally, the stability of the model is confirmed by multivariate Q-statistic and ARCH-LM test. In conclusion, fresh squid is found to have shock and volatility spillover between wholesale and retail prices as well as its own price. Also, volatility asymmetry effect is shown in own wholesale or retail price of fresh squid. Finally, this study shows that the decrease in the fresh squid retail price of t-1 period than the increase in the t-1 period has a greater impact on the volatility of the fresh squid wholesale price in t period.

환위험과 경기 불확실성이 우리나라의 수입물동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change Rate Risk and Industrial Activity Uncertainty on Import Container Volume in Korea)

  • 김창범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8-100
    • /
    • 2010
  • 본고는 환율변동성과 경기변동성이 우리나라 수입물동량에 미치는 영향의 방향, 크기, 지속기간을 분석하였다. 본고에서 도입하는 모형이 안정적임으로써 허구적 회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장기균형식과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하여 수입물동량이 변수들에 의해 어떠한 영향을 받는가에 대해 추정하였다. 예상한 대로 장기방정식의 추정결과에서 경기의 호조는 수입물동량의 증가를, 변동성의 증가는 수입물동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물동량에 미치는 영향은 환율변동성이 경기변동성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차수정항의 계수가 음의 부호로 매우 큰 값을 나타내 빠른 속도로 장기균형으로 수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충격반응 분석결과에 따르면 반응과 지속기간의 크기에서 경기 변수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금융위기 동안 전이효과에 대한 추정 (Estimation of the Spillovers during the Global Financial Crisis)

  • 이경희;김경수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9권2호
    • /
    • pp.17-3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2007년~2010년 유로 도입 이후 금융위기 및 그에 따른 EU 부채위기까지의 기간 내에 미국, 유럽 및 BRIC 금융시장 간의 선형과 비선형 인과관계의 존재를 통해 글로벌 전이효과를 조사하는데 있다. 금융위기로 인한 글로벌 전이효과가 잘 설명되어 있지만, 미국, 유럽 및 BRIC 주식시장 간의 변동성 전이효과의 특성 뿐만 아니라 전달 메커니즘은 체계적으로 조사되지 않았다. 동적 선형 및 비선형 인과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단계적인 필터링 방법론이 도입되었는데, 이는 벡터자기회귀모형과 다변량 GARCH 모형을 포함한다. 본 논문의 표본은 유로 이후 기간을 포함하고 또한 2007년 금융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10년 유로존 부채위기도 포함한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는 BRIC 주식시장의 효율성에 많은 함의를 가질 수 있는데 시장의 예측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시장의 금융통합의 과정을 수량화하기 위해서 미래의 연구에 유용할 수 있다. 미국, 유럽 및 BRIC 간의 상호 의존성이 감지되면 금융시장 규제, 헤징 및 거래 전략에 대한 중요한 함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결과는 BRIC이 미국발 서브프라임 금융위기 이후 국제적으로 통합되고 있고 전이효과가 더욱 구체화 되어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더욱이, 탈동조화 견해를 지지하는 일관된 증거가 전혀 없다. 일부 비선형 인과관계는 조사기간 동안 필터링 후에도 지속된다. 비록 꼬리분포 의존성과 고적률이 나머지 상호 의존성의 유의한 요소일 수 있을지라도, 이것은 비선형 인과관계가 단순한 변동성 효과에 의해 대체로 설명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