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초

Relationship between Plant Species Cover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in Poorly Controlled Waste Landfill Sites

  • Kim, Kee-Dae;Lee, Eun-J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0권1호
    • /
    • pp.39-47
    • /
    • 2007
  •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ver of herbaceous species and 15 soil chemical properties (organic carbon contents, total N, available P, exchangeable K, Na, Ca and Mg, HCl-extractable Cd, Cr, Cu, Fe, Mn, Ni, Pb and Zn) in nine poorly controlled waste landfill sites in Korea were examin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Species showed different patterns of correlation between their cover value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The cover of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Aster subulatus var. sandwicensis and Erechtites hieracifolia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contents of Fe, Mn and Ni within landfill soils. Total cover of all species in quadra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ontents of Cd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contents of Mn and Fe from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ith 15 soil properties.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distribution of native and exotic plants on poorly controlled landfill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contents of Na and Ca in soils, respectively.

PC게임 장르에 따른 게임 테마음악의 위치화 연구 : 음악종류, 음악의 구조적 요소, 이미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ocation of Game-themed Music by PC Game Genre : Focusing on types of music, structural elements of music, and images)

  • 박관익;황경호;이형석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75-9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PC게임을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 중 하나인 음악의 기능적 역할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PC 게임의 장르별 테마음악을 분석 유목을 통해 구분한 후 다중 대응일치분석을 사용하여 '음악종류', '음악의 구조적 요소', '이미지' 간의 거리를 시각적으로 위치화하여 변인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게임 장르별 음악의 종류와, 음악의 구조적 요소, 이미지의 특성별 공간의 위치적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골프 회원권 구입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속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mportant Attribute Which Gives an Effect to Golf Club Membership Purchase)

  • 고호석;강인원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105-120
    • /
    • 2005
  • 1990년대의 골프 붐이라고 할 만큼 골프장 방문객의 급증을 보이며 성장하였으며, 2001년부터는 골프장 방문객이 천만 명을 넘기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골프 회원권을 구입할 때에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연구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과 수도권 지역 골프이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관련학문의 국내 외에서 발행되는 문헌과 정기간행물 및 학위논문, 골프전문 신문, 기타자료의 문헌조사를 통한 기술적 연구방법을 통한 이론적 기틀을 정립하고 연구의 현실성 및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각종 통계자료의 수집과 설문조사 및 실증분석을 통해 연구의 객관화를 도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설문조사분석에서 추출된 영향요인과 회원권 구입과의 상관관계를 통계 프로그램인 SPSS/PC+ 1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 대응일치분석 등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골프회원권 구입시 중요 사항과 골프장 회원권 구입시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인구통계적 특성간의 상호 관련성을 파악한 연구이다. 또한 연구결과에 따른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관광목적지의 브랜드자산, 자아일치성, 애착 및 행동의도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Brand Equity, Corporate personality, Attachment and Consumer behavior)

  • 서경도;이정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313-320
    • /
    • 2013
  • 본 연구에서 관광목적지의 브랜드자산과 자아일치성간에 유의한 관계와 브랜드자산이 애착과 행동의도에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했다. 첫째, 관광목적지의 브랜드자산은 관광객 자아일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의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브랜드자산은 자아일치성에 이미지와 충성도만이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관광목적지의 자아일치성은 관광객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아일치성은 애착에 대하여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관광목적지의 애착은 관광객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애착은 행동의도에 대하여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A Bibliometric Approach for Department-Level Disciplinary Analysis and Science Mapping of Research Output Using Multiple Classification Schemes

  • Gautam, Pitambar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8권1호
    • /
    • pp.7-29
    • /
    • 2019
  • This study describes an approach for comparative bibliometric analysis of scientific publications related to (i) individual or several departments comprising a university, and (ii) broader integrated subject areas using multiple disciplinary schemes. It uses a custom dataset of scientific publications (ca. 15,000 articles and reviews, published during 2009-2013, and recorded in the Web of Science Core Collections) with author affiliations to the research departments, dedicated to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and medicine (STEMM), of a comprehensive university. The dataset was subjected, at first, to the department level and discipline level analyses using the newly available KAKEN-L3 classification (based on MEXT/JSPS Grants-in-Aid system), hierarchical clustering, correspondence analysis to decipher the major departmental and disciplinary clusters, and visualization of the department-discipline relationships using two-dimensional stacked bar diagrams. The next step involved the creation of subsets covering integrated subject areas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departmental contributions to a specific area (medical, health and life science) using several disciplinary schemes: Essential Science Indicators (ESI) 22 research fields, SCOPUS 27 subject areas, OECD Frascati 38 subordinate research fields, and KAKEN-L3 66 subject categories. To illustrate the effective use of the science mapping techniques, the same subset for medical, health and life science area was subjected to network analyses for co-occurrences of keywords, bibliographic coupling of the publication sources, and co-citation of sources in the reference lists. The science mapping approach demonstrates the ways to extract information on the prolific research themes, the most frequently used journals for publishing research findings, and the knowledge base underlying the research activities covered by the publications concerned.

친환경 섬유의류 제품의 감성 선호도와 신뢰도 조사 연구 (Sensibility Preference of Eco-Friendly Fabric Products and Trust Reliability)

  • 나영주;김효원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30-437
    • /
    • 2012
  • This study analyzed the sensibility of eco-friendly fabrics for college students and investigated their attitude on environmental problems, trust reliability onto eco-apparel products, and their purchase state. We tested 6 eco-friendly fabrics (recycled polyester, organic cotton, green tea, charcoal, bamboo, and nettle) through a survey using the Likert scale of 12 polar sensibility words. Most fabrics showed feelings that were smooth, natural, female, and country these were followed by fashion, cheap, functional, sustainable, warm, and vintage. In addition, nettle fabric showed 'rough' feeling, and recycled polyester fabric showed an 'artificial' feeling. Correspondence analysis showed the distance and direction between fabric types and sensibility words with a 2D diagram where the X axis was named with 'Soft <-> Hard' and Y axis was with 'Environmental <-> Manmade' to represent the relationship between fabric types and the sensibility word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gnition level of the consumer for environmental problems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on the loyalty purchase of eco-friendly products; however, the trust reliability level of consumer onto eco-friendly apparel products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on the conditional purchase of eco-friendly apparel products.

단일 카테고리 문서의 다중 카테고리 자동확장 방법론 (A Methodology for Automatic Multi-Categorization of Single-Categorized Documents)

  • 홍진성;김남규;이상원
    • 지능정보연구
    • /
    • 제20권3호
    • /
    • pp.77-92
    • /
    • 2014
  •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들 문서는 정해진 기준에 따라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제공되고 있다. 과거에는 카테고리 분류 작업이 수작업으로 수행되었지만, 문서 작성자에게 분류를 맡기는 경우 분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고 관리자가 모든 분류를 담당하는 경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카테고리를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는 문서 분류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문서 분류 기법은 각 문서가 하나의 카테고리에만 속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문서가 다양한 주제를 갖는 실제 상황과 부합하지 않는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 문서의 다중 카테고리 식별을 위한 연구가 일부 수행되었으나, 이들 연구는 대부분 이미 다중 카테고리가 부여되어 있는 문서에 대한 학습을 통해 분류 규칙을 생성하므로 단일 카테고리만 부여되어 있는 기존 문서의 다중 카테고리 식별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제약을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카테고리, 토픽, 문서간 관계 분석을 통해 단일 카테고리를 갖는 문서로부터 추가 주제를 발굴하여 이를 다중 카테고리로 자동 확장시킬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실험 결과 원 카테고리가 식별된 총 24,000건의 문서 중 23,089건에 대해 카테고리를 확장시킬 수 있었다. 또한 정확도 분석에서 카테고리의 특성에 따라 카테고리 분류 정확도가 상이하게 나타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 카테고리로 분류된 문서에 대해 다중 카테고리를 추가로 식별하여 부여함으로써, 규칙 학습 과정에서 다중 카테고리가 부여된 문서를 필요로 하는 기존 다중 카테고리 문서 분류 알고리즘의 활용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선거 여론조사 자료의 표준적 요약과 시각화 (Standardizing and Visualizing Descriptive Summaries of Election Survey Data)

  • 허명회;이용구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5호
    • /
    • pp.845-854
    • /
    • 2008
  • 선거관련 여론조사에 대한 대부분의 요약 보고서는 지역, 성, 연령대 등 인구지리적 요인과 교육수준, 직업, 소득 등의 사회적 요인 별 후보지지율 교차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인구지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들이 상호 연관되어 있어 각 요인별 지지율 분포에 그 외 요인들의 효과가 겹쳐 반영되므로 조사 자료의 해석에 있어 중복성의 문제가 야기된다. 본 사례 연구의 대강은 선거 여론조사의 결과보고에 있어 사회적 요인 수준별 지지율 분포를 인구지리적 요인으로부터 분리하여 추정할 것과 다수의 교차표를 동시에 시각화하는 배증 대응분석의 활용을 제안하는 내용이다.

차원축소를 활용한 해외제조업체 대상 사전점검 예측 모형에 관한 연구 (Preliminary Inspection Prediction Model to select the on-Site Inspected Foreign Food Facility using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 박혜진;최재석;조상구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1호
    • /
    • pp.121-142
    • /
    • 2023
  • 수입식품의 수입 건수와 수입 중량이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식품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수입식품의 안전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통관단계의 수입검사와 더불어 통관 전 단계인 해외제조업소에 대한 현지실사를 시행하고 있지만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한정된 자원 등의 제약으로 데이터 기반의 수입식품 안전관리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지실사 전 부적합이 예상되는 업체를 사전에 선별하는 기계학습 예측 모형을 마련하여 현지실사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합식품안전정보망에 수집된 총 303,272건의 해외제조가공업소 기본정보와 2019년도부터 2022년 4월까지의 현지실사 점검정보 데이터 1,689건을 수집하였다. 해외제조가공업소의 데이터 전처리 후 해외 제조업소_코드를 활용하여 현지실사 대상 데이터만 추출하였고, 총 1,689건의 데이터와 103개의 변수로 구성되었다. 103개의 변수를 테일유(Theil-U) 지표를 기준으로 '0'인 변수들을 제거하였고, 다중대응분석(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을 적용해 축소 후 최종적으로 49개의 특성변수를 도출하였다. 서로 다른 8개의 모델을 생성하고, 모델 학습 과정에서는 5겹 교차검증으로 과적합을 방지하고, 하이퍼파라미터를 조정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현지실사 대상업체 선별의 연구목적은 부적합 업체를 부적합이라고 판정하는 확률인 검측률(recall)을 최대화하는 것이다. 머신러닝의 다양한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 Recall_macro, AUROC, Average PR, F1-score, 균형정확도(Balanced Accuracy)가 가장 높은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모델이 가장 우수한 모형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모델에 의해서 평가된 개별 인스턴스의 부적합 업체 선정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SHAP(Shapley Additive exPlanations)을 적용하고 현지실사 업체 선정 시스템에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 위험관리 모델을 통해 수입식품 관리체계의 구축으로 인력·예산 등 한정된 자원의 효율적 운영방안 마련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시설원예의 입지유형 분석 (Analysis of Location Patterns for Protected Horticulture)

  • 황한철;이남호;전우정;남상운;홍성구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2-101
    • /
    • 1998
  • Location patterns of protected horticulture were analyzed using a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MCA). The analysis could be used in evaluating location suitability of protected horticulture. The location factors of the protected horticulture for MCA include land category, size of protected horticulture, land slope, topography, effictive soil depth, irrigation and drainage condition, distance from roads, and so forth.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three different location patterns of protected horticulture. The first pattern was characterized by their nearness to villages. The facilities of this pattern were mainly located near to residential area. The second pattern was of those found in plain area. The facilities of this pattern were large in scale and located in paddy field far from residential area. The facilities of the last pattern were small in scale and located on nonpaddy fields. They were mostly found in hilly or mountainous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