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media data scheduling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32초

다중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위한 멀티코어 시스템 기반의 실시간 스케줄링 기법 (A Real-Time Scheduling Technique on Multi-Core Systems for Multimedia Multi-Streaming)

  • 박상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1478-1490
    • /
    • 2011
  • 멀티코어 프로세서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에 있어서 비교적 낮은 비용에 높은 성능을 보인다는 장점 때문에 스마트폰, 스마트 TV, 셋톱박스 등 관련 산업계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태스크의 시간 제약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Pfair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이론상으로 멀티코어 상에서 모든 태스크의 시간 제약성을 만족하는 동시에 100%의 이용률을 달성할 수 있지만 코어간에 태스크의 빈번한 이동이 필요하고 매 스케줄링 시점에 시스템 전역에 대한 동기화가 필요하는 등 스케줄링을 위한 오버헤드가 매우 높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코어 간의 이동이 꼭 필요할 경우에만 전체 코어의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평상시에는 각 코어별로 독립적인 스케줄링을 수행하도록 하는 HPGP 스케줄러를 제안한다. 시뮬레이터를 통한 실험 결과 기존의 Pfair 알고리즘에 비해 스케줄링 오버헤드가 현격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80% 이하의 이용률을 갖는 태스크 집합에서는 스케줄링 오버헤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LTE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위한 패킷 스케쥴링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cket Scheduling for LTE Multimedia Data)

  • 레탄투안;유대승;김형주;진광자;장병태;노승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8B호
    • /
    • pp.613-619
    • /
    • 2012
  • Long Term Evolution(LTE)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이동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제로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plus)는 다운링크의 비트 율(bit rate)을 크게 향상 시켰으나,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어떻게 만족시킬 것인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proportional fair(PF)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여 LTE를 위한 효율적인 패킷 스케쥴링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패킷 스케쥴링을 할 때 패킷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트래픽 클래스의 가중치와 순간 사용자 데이터 전송율을 최적화 하였다. 또한 다중 셀(multi-cell) 환경에서 LTE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트래픽을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보였다.

멀티미디어 시나리오를 이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기법 연구 (A Study for Efficient Transmission Policies using Multimedia Scenarios)

  • 서덕록;이원석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11호
    • /
    • pp.2797-2808
    • /
    • 1998
  • 멀티미디어 시나리오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은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 다중경로 및 데이터 공유 등의 정보를 그래프 구조로 표현하여 멀디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순서를 나타내는 시나리오로 기술하고, 정의된 시나리오를 참조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읽기 전용 주문형 멀티미디어(Multimedia-on-demand) 시스템이다. 멀티미디어 시나이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은 서비스되는 멀티미디어 객체의 메타데이타(metadata)를 저장하고 있는 시나리오 데이타베이스를 참조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을 위한 사전-스케줄링(pre-scheduling)을 수행하여 전송 지연으로 인한 반응시간을 줄이며, 시나리오를 다양한 기법으로 재순서하여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전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객체의 시간적, 공간적, 의미적 연관 관계를 기술하는 시나리오의 구성에 필요한 사항을 논하고 이의 저장,관리를 위한 시나리오 데이타베이스를 설계하며, 시나리오 재순선화를 이용한 스케줄링 방안에 대하여 논한다.

  • PDF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쥴링 알고리즘과 효율적인 프레임 구성 방법 및 성능 분석 (A Packet Scheduling Algorithm and Efficient Framing Method for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its Performance)

  • 백장현;김동회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9-40
    • /
    • 2005
  • In this research, we propose packet scheduling algorithm considering different QoS characteristics of real-time traffic and non-real-time traffic in the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erving the multimedia traffic and a new efficient framing method cooperated with this packet scheduler. When the selected traffic classes of the selected users are transmitted, our proposed framing method can increase the number of serviced traffic classes by mixing the many different traffic classes within one frame considering data rate decided by the allocated 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option. Using this proposed method, the fairness among the traffic classes can be achieved and the system performance for total throughput and delay can be enhanced. Simulations are performed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framing method. Our proposed packet scheduler and framing method will be applied to the next generation multimedi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erving many traffic classes.

데이터 방송에서 요청확률을 고려한 데이터 스케줄링 알고리즘 (A Data Scheduling Algorithm Considering the Request Probability for Data Broadcasting)

  • 민재호;황주연;백두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98-403
    • /
    • 2008
  • 비대칭 통신환경에서는 서버가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데이터 방송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전송하고 사용자는 필요한 데이터가 방송되면 그 데이터를 사용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필요한 데이터가 방송될 때까지 기다려야한다. 이러한 사용자의 대기시간은 줄여야만 한다. 대기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서버에서는 각각의 데이터의 순서를 스케줄링하여 방송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각각의 데이터를 요청할 확률, 데이터의 크기와 데이터의 최적주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 방법들의 효용성을 검증했다. 이를 위해 제안한 방법으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여 사용자의 평균대기시간을 구하는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 빈도만 고려한 방법에 비해 약 13%의 성능이 증가되었다.

  • PDF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연출시 최초 재생 지연시간을 줄이기 위한 트랜스코드 스케줄링 기법 (A transcode scheduling technique to reduce early-stage delay time in playing multimedia in mobile terminals)

  • 홍마리아;윤준성;임영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6호
    • /
    • pp.695-704
    • /
    • 2003
  • 본 논문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들을 이동단말기에서 연출(play)하기 위해 스트림의 특성을 파악한 후 변환 시킬 스트림을 선정하여 트랜스코딩하는 스케줄링 기법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연출될 모든 스트림들을 트랜스코딩하는 것보다 선정정책에 의해 특정 스트림을 선택하여 트랜스코딩하는 것이 최초 재생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들의 요구 대역폭을 네트워크 대역폭 보다 낮추면서,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들이 재생되기까지의 최초 재생 지연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EPOB(End Point of Over Bandwidth) 기반의 트랜스코딩 스트림 선정 정책을 제안하였다.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서브채널 상태 추정과 스케줄링 (Subchannel State Estimation and Scheduling for Wireless Multimedia Services)

  • 장봉석;고형대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0-344
    • /
    • 2005
  • 차세대 무선 망 시스템에서는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당연히 요구되며 그리고 경제적인 패킷 데이터 전송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점에서, OFDMA (WiBro)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트래픽 클라스를 최적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적응적 자원관리 방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과거의 서브 채널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최근 서브 채널 상태를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이 방법을 이용하여 또한 다운링크의 멀티미디어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 PDF

An Analysis of Effective Throughput in Distributed Wireless Scheduling

  • Radwan, Amr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55-162
    • /
    • 2016
  • Several distributed scheduling policies have been proposed with the objective of attaining the maximum throughput region or a guaranteed fraction throughput region. These policies consider only the theoretical throughput and do not account the lost in throughput due to the time complexity of implementing an algorithm in practice. Therefore, we propose a novel concept called effective throughput to characterize the actual throughput by taking into account the time complexity. Effective throughput can be viewed as the actual transmitted data without including the control message overhead. Numerical results demonstrate that in practical scheduling, time complexity significantly affects throughput. The performance of throughput degrades when the time complexity is high.

다중프로세서 시스템 환경에서 병렬 루프 스케쥴링 알고리즘 (A Parallel Loop Scheduling Algorithm on Multiprocessor System Environments)

  • 이영규;박두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3권3호
    • /
    • pp.309-319
    • /
    • 2000
  • 병렬 스케줄링의 목적은 다중프로세서 시스템 환경에서 병렬성을 가진 응용프로그램에 대해 최소의 동기화 오버헤드와 부하균등(load balance)을 달성하도록 스케줄링을 수행하는데 있다. 프로세서들이 병렬 반복(iteration)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메모리로부터 반복들에 대한 chunk를 계산하고 할당받게 된다. 이때, 전역 메모리의 상호 배타적인 빈번한 접근으로 많은 스케쥴링 오버헤드 및 병목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프로세서에게 할당된 chunk내 병렬 반복들의 분포가 서로 상이한 경우,각 chunk의 실행시간이 서로 달라 부하불균등의 원인이 되어 결과적으로 전체 스케쥴링 성능에 나쁜 영향을 준다. 따라서, 최소의 스케줄링 오버 헤드와 부하균등을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에 서는 기존의 방법들에서 문제점들을 도출하고, 자료의 국부성과 프로세서 동족성(affinity)을 고려한 병렬 루프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과 충돌 회피를 위한 타임 트리 스케줄링 (A Time Tree Scheduling Scheme for Energy Efficiency and Collision Avoidance in Sensor Networks)

  • 이길흥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962-970
    • /
    • 2009
  • 본 논문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각각의 센서 노드에서 베이스 노드로 데이터를 모으기 위해, 데이터 수집 타임 트리를 사용한다. 데이터를 베이스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충돌 확률을 줄이고 효율적인 에너지의 사용을 위해 타임 트리가 사용된다. 타임 트리는 베이스 노드가 루트이고, 각 센서 노드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계 노드 혹은 단말 노드가 된다. 트리내의 노드는 정해진 시간에 활성화하여 데이터를 보내고, 대기상태로 돌아가 에너지를 보존한다. 각각의 타임 트리는 서로 다른 활성 비율과 활성 시간을 갖는다. 제안 기법은 SMAC과 DMAC과 같은 다른 활성 기반의 매체 접근 프로토콜과 비교해서 더 좋은 에너지 효율과 데이터 도착율을 갖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