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disciplinary education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7초

브리그험 영 대학교의 교육방법과 애니메이션 작품에 대한 윤리적 기능에 대한 탐구 (A Study on the Ethical Function about the Animation Films and Educational Methods of the Brigham Young University)

  • 이현석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0호
    • /
    • pp.55-81
    • /
    • 2015
  • 대중영상매체인 애니메이션은 계층, 나이, 국가를 초월한 범세계적 수요에 기반하며 그 사회문화적 영향력은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현대 대중문화에 있어서 애니메이션의 부정적 영향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윤리성의 회복' 이라는 성찰적 관점에서 애니메이션의 역할에 대한 교육적 차원의 토의가 필요한 시점이라 사료된다. 이에, New York Times등 많은 언론으로부터 성공적인 교육 모델로 주목받고 있는 몰몬교 학교인 BYU(Brigham Young University)의 건전한 윤리적 가치관을 담고 있는 학생 애니메이션 작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애니메이션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1)폭력성, 2)과다한 선정성, 3)문화간 정체감의 혼란, 4)성차별, 5)왜곡된 역사관을 기준으로 문헌조사를 하였으며, 둘째, BYU의 몰몬교에 바탕한 청교도정신과 애니메이션 학과의 교육과정에 대해 분석한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학생 애니메이션 13편의 연출적 특성에 대해 사례조사를 진행한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대부분의 애니메이션 작품은 코믹장르로써 어린이 및 동물 캐릭터를 중심으로 가족적이고 서정적인 스토리를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스토리 구성에 있어서 우연적 우화적인 사건 전개방식으로 연출되었다. 둘째, 종교학교인 BYU의 종교정신과 다학제적 교육방법이 애니메이션영상 제작에서 윤리적인 표현기법과 기술적 완성도로 연계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실용학문 분야인 애니메이션 교육의 윤리성 회복의 관점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와 애니메이션 제작에서 건전한 가치관이 어떻게 내재되는지 살펴보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병원 기반 조기 집중 중재 실태 조사 (A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Based Early Intensive Intervention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in South Korea)

  • 이주영;문덕수;신석호;유희정;변희정;서동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8권4호
    • /
    • pp.213-219
    • /
    • 2017
  • Objectives: Early intensive interventions are very important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e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s of hospital-based early intensive intervention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in Seoul, in order to help develop and implement an evidence-based early intensive intervention model for use in Korea. Methods: Nine hospital-based institutes running an early intensive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in September 2014. They provided a brief introduction to their program, explained its theoretical bases, and reported the number of children, their age, intervention time, duration and so on. Results: In the majority of the institutions, the intervention was provided for over 20 hours every week, and the theoretical bases included various applied behavioral analysis (ABA) methods and other therapies (language and occupational therapy). The therapist-child ratio ranged from 1:1 to 5:3. Various types of therapists were involved, including behavioral analys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or) language pathologists. There was only one clinic where the behavioral analyst was the main therapist. Usually, the intervention was terminated just before the child entered elementary school. The main merit of the hospital-based intervention in our survey was the effectiveness of the multi-disciplinary intervention plan and its other merits were the accuracy of the diagnosis, its ability to be combined with medicine, and so on. Conclusion: The current hospital-based early intensive intervention programs provide interventions for over 20 hours per week and employ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However, there are very few institutes for children with autism and very few intervention specialists and specialist education courses in the country. We need more educational programs for intervention therapists and have to try to develop policies which encourage the implementation of an evidence-based early intensive intervention program nationwide.

Models for Spiritual Care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Kang, Kyung-Ah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2호
    • /
    • pp.41-50
    • /
    • 2018
  • 영성은 인간의 본질적인 부분으로 말기 환자와 가족의 실제적인 영적요구 충족을 위한 영적돌봄은 HPC에서 가장 중요한 영역이다. 말기환자와 가족의 실제적인 영적요구에 부응하는 돌봄모형을 확인하기 위해 최근 보건의료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국 내외 database를 검색하여 분석한 결과, 영성은 전인적 존재인 인간의 본질적인 부분으로, 삶의 위기상황에 더욱 충족되어야 할 존재론적 특성으로서, 말기 환자의 영성평가는 HPCT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임이 확인되었다. HPC에 evidence based theory로 활용 가능한 총 10개의 모델이 제시되었다. 세 개의 모델들은 영적돌봄 결과에 초점을 둔 모델로서, spiritual health, QOL, and coping을 중요한 outcome으로 보는 모델들이었다. 영적돌봄수행에 초점을 둔 모델은 7개였으며, HPCT의 다학제간 협력을 통한 돌봄과정을 나타낸 'Wholeperson Care Model', 인간의 보편적인 실존적 요구충족이 보완된 'An Existential Functioning Model', 대상자의 문화적, 그 외 다양성을 고려하는 'An Open Pluralism View', HPCT와 말기환자와의 관계중심모델인 'A spiritual-relational view' and 'The Framework of Systemic Organization', 영적돌봄과정의 전체적 역동을 설명하는 'The principal components model' and 'The Actioning Spirituality and Spiritual care in Education and Training model'이 있다. 이러한 모델을 토대로 HPC에서 가장 최선의 영적돌봄 모델 구축을 위한 지속적인 임상연구 노력이 계속될 필요가 있겠다.

저열량균형식, 운동 및 행동수정에 의한 비만여성의 치료에 관한 연구 (Treatment of Obese Women with Low Calorie Diet, Aerobic Exercise and Behavior Modificaiton)

  • 장경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10-516
    • /
    • 1995
  • 체지방이 30% 이상으로 비만이라 판정되는 20~62세의 지원자들에게 저열량 균형식, 무리하지 않은 유산소 운동 및 개인별 비만의 원인을 교정하고 평생체중을 조절하기 위한 영양상담과 교육을 포함한 행동수정을 통해 5주 동안 비만을 치료하고 성인병과 관련된 위험 요인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활동량, 식습관,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하여 개인별 비만의 원인을 진단한 후 잘못된 식생활을 교정할 수 있도록 주 3회의 영양상담과 매주 1회의 영양교육을 실시하였다. 식이요법은 1일 1끼의식사와 3회의 조제식이를 통해 열량이 1200kcal 정도가 되고, 양질의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은 성인 권장량의 100~150% 이상이 되도록 하였다. 식전에 식이섬유와 물을 복용하고 식사 기간은 20분 이상으로 천천히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투긴음식, 가공식품, 패스트 푸두, 술, 청량음료, 달고 기름진 음식, 짜고 자극적인 음식 등은 제한하였다. 주당 3~5일간 1시간 정도의 가벼운 유산소 체조를 실험대상자 저원이 모여서 실시하였다. 먹은 식품, 활동, 운동, 감정상태, 피로여부 등을 일지로서 기록하게 하여 삼담을 통해 교정하고 관찰하여 긍정적인 내적동기를 갖도록 교육하였다. 비만치료 기간 중 탈락한 수는 총 16명 중 5명 (31.3%)이었으며, 비만도는 대상자의 대부분이 경증이고, 불규칙적인 식사, 빨리 먹는 습관, 과식, 짜게 먹는 습관, 야식, 음주 등의 비만의 원인이 되는 습관들을 가지고 있어 식습관 점수는 개선이 요구된다고 진단되었다. 5주동안의 비만치료로 체중은 평균 4.8kg(주당 0.96kg)이 감량 되었으며, 체지방, body mass index, 허리, 팔, 둔부의 둘레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압, 공복시의 혈당, 혈액증의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은 변화가 없었으나, LDL-콜레스테롤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 PDF

전문가 합의로 도출된 한국 전문간호사의 공통 업무범위 (Common Scope of Practice for Advanced Practice Nurses in Korea Derived from Expert Agreement)

  • 임초선;최수정;임경춘;이영희;정재심;신용애;강영아;박하영;김은미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5-49
    • /
    • 2019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common scope of practice (SOP) for 13 specialties of Advanced Practice Nurses (APNs) in Korea. Methods : The first draft of a common SOP was extracted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laws with a literature review by 17 experts from the Korean Association of Advanced Practice Nurses (KAAPN). Then, the common SOP was finalized after comparing the activities of APNs in clinical settings. Results : A total of 70 duties were identified and six categories were suggested for the common SOP. The SOP proposed by the KAAPN featured the following: 1) identification of and discrimination between health problems; 2) prescription and implementation of diagnostic tests; 3) treatment of injuries and diseases while implementing measures to prevent exacerbation; 4) prescription of medicinal products in line with 1) to 3); 5) referral and consultation; and 6) education and counseling. It was then confirmed that the proposed six categories in the common SOP reflected all the duties performed by APNs in clinical practice, including all 40 activitie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evidence for the legalization of a common SOP for APNs. Given the increasing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 adopted in Korean hospitals, it may be desirable to establish a broader SOP to reflect the diverse duties of APNs.

반송층군의 층서, 퇴적시기, 분지 진화에 관한 고찰 (A Review on the Stratigraphy, Depositional Period, and Basin Evolution of the Bansong Group)

  • 최영기;박승익;최태진
    • 자원환경지질
    • /
    • 제56권4호
    • /
    • pp.385-396
    • /
    • 2023
  • 단양-영월-정선지역 옥천습곡단층대에서 북동-남서 방향의 충상단층대를 따라 분포하는 중생대 반송층군은 페름기-트라이아스기 송림조산운동 혹은 쥐라기 대보조산운동의 기록을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한반도 중생대 조산윤회와 지구조진화를 설명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논평에서는 반송층군의 층서, 퇴적시기, 그리고 분지발달사에 관한 그간 연구를 종합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반도 남부의 중생대 지구조진화 과정에서 반송층군이 가지는 의미에 대한 시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전통적인 견해는 송림조산운동 후기 혹은 종료 후에 (횡)인장 분지에 반송층군이 퇴적된 후 대보조산운동에 의해 변형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해석은 단양탄전지역을 중심으로 획득한 층서 및 고생물자료와 구조지질연구 결과에 근거한다. 반면 근래 연구 결과로서 반송층군을 대보조산운동과 관련된 조산동시성 퇴적작용의 산물로 보는 해석이 존재한다. 이러한 대안적 시각은 영월지역 일대에 분포하는 화산쇄설암에 대한 U-Pb 절대연령과 해당 지역의 구조지질학적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 하지만 두 모델 모두 반송층군으로 분류된 퇴적층에서 도출된 고생물자료와 절대연령자료를 종합적으로 설명하지 못한다. 이는 퇴적학, 구조지질학, 지질연대학, 암석학, 지화학 연구를 통해 획득한 다학제적 자료를 종합한 새로운 분지 진화 모델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병원단위의 임상진료지침 개발과정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a Hospital)

  • 신영수;김창엽;오병희;한규섭;윤병우;한준구;강영호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2-103
    • /
    • 1997
  • Background : With increased concerns about variation among physician's practice pattern and their impact on the quality of car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have been developed by many different organizations, with differing aims and incentives. From the same point of view,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Korea, but with only a few examples. As a result, there is not much exploration on the incentive and barrier to develop guidelines as well as description on the development proces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scribe the process of the four different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a hospital setting, and to identify incentives and barriers in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Methods : For this research,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development committee and four clinical practice guideline development teams were organized in a university hospital which has more than 1,200 bead. Twenty eight doctors, three nurses, and one technician participated as members of development teams for eight months. Four to six meetings were held, and three to seven departments in the hospital were involved. Results : The topics which developed into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wer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blood transfusion, anticoagulation, and angiography. The main goals set by teams were education(CPR, angiography), risk management(blood transfusion), and to enhance quality of care(anticoagulation). Among four teams, only in the team for anticoagulation guideline medical record review and pilot-testing were performed. Also literature review was not carried out systematically. However, all the guidelines were developed by multidisciplinary be used as standard protocols in the practice. Conclusion : Experience and skill in developing process has to be improved to have a more valid and useful practice guideline. In particular, literature review and problem identification by examining medical record should be emphasized. Also further studies on the clinical outcomes of the guidelines application and changes in physicians' behaviors would be required.

  • PDF

Stakeholders' Opinion on the Desired Characteristics of Nursing School Graduates and Factors Concerning Nursing Curriculum Development in Thailand

  • Kittiboonthawal, Prapai;Siriwanij, Wareewan;Ubolwan, Kanyarat;Maneechot, Munthana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5권4호
    • /
    • pp.319-345
    • /
    • 2018
  • Effective higher educational management in undergraduate nursing programs is an important issue from the viewpoint of stakeholders. This qualitative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and curriculum development of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from the opinions of Boromarajonani College of Nursing Saraburi, Thailand stakeholders. The population included 4 groups: 1) the alumni who have graduated within the past 5 years and currently work in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care units, 2) the supervisors and colleagues of the alumni, 3) nursing lecturers, and 4) the current nursing students. The respondents who are the alumni, nursing lecturers, and current nursing student were selected using a purposive sampling, for the supervisors and colleagues were selected using snowball techniques.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Group discussions were conducted until saturation on 55 key informants. The qualitative data was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Results showed the viewpoints of stakeholders on the characteristics of future nurse graduates were comprised of four elements: knowledge that meets standards; essential skills for self-development and lifelong learning process; good morals and professional ethics in providing nursing care; and nurse competencies in teamwork, communication, language, research, management, IT, life skills, and global literacy. The viewpoints on the development of the nursing curriculum focus on four elements: the learner,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content, and instructor tasks. For learners, the admission criteria should include a minimum not only of knowledge, but also positive attitude, science, and art skills, since the nursing profession is both a science and the art of caring. Teaching and learning elements should be authentic, including exposure to real situations, an integrated network, and activities that improve nursing care. Course content was comprised of an updated curriculum, humanized nursing care, student center, theory and practice with moral integration, case-based study, critical thinking, multidisciplinary work, and love for the nursing profession. Instructor tasks are to elicit student ideas, provide opportunities to learn, support infrastructure, support technology use,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o develop the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Recommendations were that the curriculum administration should review the selection process of student candidates and instructional management to achieve expected outcomes of nursing characteristics in the future. The nurse lecturer should provide authentic and integrated instruction, decrease lecturing, cultivate a lifelong learning process, and sustain the nursing characteristics.

한국농촌의 영양섭취 및 식품소비의 실태와 그 문제점-경남지역 6개 사회계층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A Multidisciplinary Case Study of Food and Nutrition Intakes of Different Rural Socioeconomic Classes;The Current Status and Its Problem)

  • 윤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4권2호
    • /
    • pp.87-96
    • /
    • 1981
  • 이 연구에서 얻어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계층별 영양섭취실태에서는 지주층이 가장 양호하였는데 비해 농업노동자 및 소작농층은 대부분의 영양소가 권장량에 미달하였으며, 특히 칼슘은 모든계층에서 결핍되고 있었다. 이외에도 열량과 단백질, Vitamin A 등이 지주 및 부농을 제외한 계층들에게 각각 부족을 나타냈으며, 이는 특히 열량 및 단백질의 질적구성에서도 더욱 현저하였다. 2) 식품소비를 가장 많이하는 계층도 지주층이었고, 그 다음이 부농, 중농층이었는데 비해 가장 적은 소비를 보인 계층은 농업노동자층이었다. 식품군별로 보면 지주층은 채소류, 어패류등에서 그리고 부농층은 유제품, 유지류등에서, 또한 과일류, 육류, 계란류등에서는 이들 두 계층의 소비가 가장 컸는데 비해, 중소농층은 채소료, 해조류등에서 평균 이상의 소비를 하였다. 지난 10년간 소비가 급증된 식품은 부농층은 청량 음료등을 지주층은 어패류등을 들었는데 비해, 나머지 계층들은 쌀밥등을 가장 많이 들었다. 이러한 식품소비의 변화에 대한 이류로는 지주층은 도시적 생활양식의 침투를 부농 중농 소작농층은 소비성향의 변화를 그리고 무의식적 추종을 든 계층은 주로 농업노동자층과 소농층이었다. 3) 사회경제적 지표와 영양섭취층과의 관계에서는 열량과는 학력이, 또한 단백질은 토지소유면적과 농가소득이, 그리고 칼슘은 부채 및 농업소득와의 상관이 깊었다. 특히 농가소득과 단백질섭취량간의 계층별 상관 및 희귀관계를 보면 지주, 소작, 중농의 순으로 상관이 컸으며, 희귀분석에서는 전체적으로 1인당 연간 소득이 10만원 증가됨에 따라 단백질 섭취량이 약 4g증가 됨을 보여주었다(y=56.96+0.04x). 4) 사회경제적 지표와 식품군별 소비지출과의 상관 관계를 보면 학력과 가장 상관이 깊은 식품은 육류, 유지류등의 그너대적 식품이었고, 토지소유 면적과는 곡류 및 어패류등에서 그러하였다. Engel 계수와 곡류는 정의 상관이, 그리고 어패류, 육류는 높은 부의 상관을 보였고, 또한 어패류와 육류는 소득과도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5) 마지막으로 계층간 식품소비 및 영양섭취의 불균등 정도는 동물성 단백질을 제외하고는 소득이나 토지 소유면적등 사회경제적 지표간의 격차보다 훨씬 낮은 수준에 있었다.

  • PDF

청력저하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영향요인: 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Factors affecting HRQOL in Elders with Hearing Impairment : Based on the 2018 KNHNES)

  • 하정민;박다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97-104
    • /
    • 2020
  • 본 연구는 청각저하 노인의 건강관 관련된 삶의 질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KNHANES 2018) 활용하여 청각저하 노인으로 분류하여 최종적으로 52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5.0을 사용하여 χ2-test, t-test,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성별, 나이, 교육, 결혼상태, 소득, 직업, 가족구성원의 수, 이명, 동반질환의 수, 흡연, 음주, 주관적 건강상태, 규직적인 운동, 활동 제한여부, 우울, 스트레스 경험에 따라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삶의 질은 나이, 체질량지수, 동반질환의 수에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청력저하 노인의 삶의 질에 결혼상태, 동반질환의 수, 체질량지수, 주관적 건강상태, 규칙적인 운동, 활동 제한 여부, 스트레스 경험이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고, 삶의 질을 37.3% 설명하였다. 청력저하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학제간 노력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적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