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constellation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59초

Adaptive Modulus와 Adaptive Stepsize를 이용한 CR-MMA 적응 등화 알고리즘의 성능 개선 (A Performance Improvement of CR-MMA Adaptive Equalization Algorithm using Adaptive Modulus and Adaptive Stepsize)

  • 임승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07-113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CR-MMA (Constellation Reduction-Multi Modulus Algorithm) 등화 알고리즘에 adaptive modulus와 adaptive stepsize를 적용하므로서 등화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Hybrid-CRMMA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CR-MMA 알고리즘은 16-QAM과 같은 nonconstant modulus 신호를 constant modulus 신호로 reduction한 후, 송신 신호의 통계치인 고정 modulus를 이용하여 오차 신호를 발생하므로 기존 MMA의 적응 등화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등장하였다. 제안 방식인 Hybrid-CRMMA는 CR-MMA의 constellation reduction 개념에 등화기 출력 신호의 전력에 비례토록 adaptive modulus와 오차 신호의 비선형성을 이용하여 adaptive stepsize를 적용하였으며, 이의 개선된 등화 성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한다. 이를 위한 성능 지수로는 등화기 출력 신호 성상도, 수렴 특성을 나타내는 잔류 isi, 최대 찌그러짐, MSE 및 알고리즘의 외부 잡음에 대한 강인성을 나타내는 SER을 사용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 Hybrid-CRMMA가 기존 CR-MMA보다 모든 성능 지수에서 우월함을 확인하였다.

Assessment of Position Degradation Due to Intermittent Broadcast of RTK MSM Correction Under Various Conditions

  • Yoon, Hyo Jung;Lim, Cheol soon;Park, Byungwoon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9권3호
    • /
    • pp.237-248
    • /
    • 2020
  • GNSS has been evolving dramatically in recent years. There are currently 6 GNSS (4 GNSS, AND 2 RNSS) constellations, which are GPS (USA), GLONASS (Russia), BeiDou (China), Galileo (EU), QZSS (Japan), and IRNSS (India). The Number of navigation satellites is expected to be over 150 by 2020. As the number of both constellations and satellites used for the improvement of positioning performance, high accuracy, and robustness of precise positioning is more promising. However, a large amount of the correction messages is required to support the augmentation system for the available satellites of all the constellations. Since bandwidth for the correction messages is generally limited, sending or scheduling the correction messages might be a critical issue in the near future.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of the bandwidth and Real-Time Kinematics (RTK) performance. Multiple Signal Messages (MSM), the only Radio Technical Commission for Maritimes (RTCM) message that supports multi-constellation GNSS, has been used for this assessment. Instead of the conventional method that broadcasts all the messages at the same time, we assign the MSM broadcasting interval for each constellation in 5 seconds. An open sky static and dynamic test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roof of Sejong University. Our results show that the RTK fixed position accuracy is not affected by the 5-second interval corrections, but the ambiguity fixing rate is degraded for poor DOP cases when RTK correction are transmitted intermittently.

2차원 QAM 신호에서 CR-MMA와 FC-MMA 적응 등화 알고리즘의 성능 비교 (A Performance Comparison of CR-MMA and FC-MMA Adaptive Equalization Algorithm in 2 dimensional QAM Signal)

  • 임승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85-90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2차원 16-QAM 신호 전송시 채널에서 발생되는 찌그러짐을 보상하기 위한 CR-MMA(Constellation Reduction - Multiple Modulus Algorithm)와 FC-MMA (Fast Convergence - Multiple Modulus Algorithm) 등화 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CR-MMA 적응 등화기는 탭 계수 갱신을 위하여 nonconstant modulus 신호를 constant modulus 신호로 축소하여 오차 신호를 이용하지만, FC-MMA 적응 등화기는 신호점의 축소 대신 신호 심볼의 레벨수를 고려한 수정된 dispersion constant를 적용하여 오차 신호를 이용한다. 이들 알고리즘들은 MMA 계열중에서 수렴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수렴 특성을 포함한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FC-MMA는 출력 신호 성상도와 잔류 isi 및 최대 찌그러짐과 SER 성능이 CR-MMA보다 우월하지만, 수렴 속도가 늦어짐을 알 수 있었다.

16-QAM 신호에서 적응 등화를 위한 CR-MMA와 RMMA 알고리즘의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CR-MMA and RMMA Algorithm for Adaptive Equalization in 16-QAM Signals)

  • 임승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87-9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nonconstant modulus 신호를 대상으로 채널의 찌그러짐을 보상하기 위한 CR-MMA (Constellation Reduction - Multiple Modulus Algorithm)와 RMMA (Region based Multiple Modulus Algorithm) 등화 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적응 등화를 위한 오차 신호를 얻기 위하여 CR-MMA에서는 모든 신호점들을 constant modulus를 갖는 신호로 축소하지만, RMMA에서는 모든 신호점들이 존재하는 지역을 4개로 분할한 후 이를 지역 기반으로 축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축소 원리를 적용하여 적응 등화를 위한 탭 계수 갱신을 수행하게 되지만 이들은 각기 다른 등화 성능을 갖게 되므로, 논문에서는 이들의 성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RMMA는 출력 신호 성상도와 잔류 isi 및 최대 찌그러짐과 SER 성능이 CR-MMA보다 우월하지만, 수렴 속도가 늦어졌다.

WAAS-EGNOS 중첩 영역 내 위성기반 보강시스템 선택 기법 연구 (Selection Methods of Multi-Constellation SBAS in WAAS-EGNOS Overlap Region)

  • 김민규;김정래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237-244
    • /
    • 2019
  • SBAS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GNSS 궤도 및 시계, 전리층 보정정보와 이에 대한 무결성정보를 제공하여 SBAS 사용 시 정밀한 위치추정이 가능하다. 각 국의 SBAS 개발 및 추가 지상관측소 설치로 SBAS 서비스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2개의 SBAS 서비스 영역이 겹쳐 다중 SBAS 신호가 수신되는 영역이 존재하는데, 이에 대한 신호 선택 방법에 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WAAS와 EGNOS 정보가 동시에 전송되는 영역에서 WAAS 정보 우선 사용 방법, EGNOS 정보 우선 사용 방법, 그리고 보정정보 오차 공분산 비교 선택 방법을 사용하여 저궤도위성에 SBAS 정보를 적용한 후 위치추정 결과를 비교하였다. WAAS 정보를 우선으로 사용할 때 3D 위치오차는 2.57 m로 가장 작았으며, 오차 공분산 비교 방법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WAAS와 EGNOS의 관측소와 가장 먼 중첩 영역 중심에서 위치추정 정확도가 가장 높았다. EGNOS 정보를 우선 사용 시 중첩 영역의 EGNOS와 가까운 동쪽 지역에서 WAAS 우선 사용 방법보다 위치오차가 8% 더 작았다.

Clipping Value Estimate for Iterative Tree Search Detection

  • Zheng, Jianping;Bai, Baoming;Li, Ying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2권5호
    • /
    • pp.475-479
    • /
    • 2010
  • The clipping value, defined as the log-likelihood ratio (LLR) in the case wherein all the list of candidates have the same binary value, is investigated, and an effective method to estimate it is presented for iterative tree search detection. The basic principle behind the method is that the clipping value of a channel bit is equal to the LLR of the maximum probability of correct decision of the bit to the corresponding probability of erroneous decision. In conjunction with multilevel bit mappings, the clipping value can be calculated with the parameters of the number of transmit antennas, $N_t$; number of bits per constellation point, $M_c$; and variance of the channel noise, $\sigma^2$, per real dimension in the Rayleigh fading channel. Analyses and simulations show that the bit error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bett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fixed-value method.

차세대 UHDTV 방송시스템을 위한 회전성상이 적용된 LDC MIMO 전송 기법 성능 평가 (The Performance of LDC MIMO Transmission Method by Applying Rotated Constellation for Next Generation UHDTV System)

  • 조봉균;한동석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3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2-3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높은 전송량을 요구하는 차세대 UHDTV(ultra-high definition television) 방송시스템을 위하여 MIMO(multi-input multi-output) 전송 기법을 고려하였다. 이러한 MIMO 전송 기법 중에서 가장 좋은 수신 성능을 나타내며, 송신 안테나 개수에 비례하여 전송량이 증가하는 LDC 전송 기법과 수신 성능 향상을 위하여 회전성상 및 심벌의 지연을 이용하는 기법을 고려하였다. 연속적인 에러가 발생하는 채널환경에서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신호를 분산시켜 전송하거나 신호를 섞어서 보내는 방법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기법을 동시에 고려하여 높은 전송량을 달성하면서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성상이 적용된 LDC MIMO 전송 기법을 제안하고 수신 성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 PDF

Quasi-Orthogonal STBC with Iterative Decoding in Bit Interleaved Coded Modulation

  • 성창경;김지훈;이인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4A호
    • /
    • pp.426-433
    • /
    • 2008
  •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four transmit antenna quasi-orthogonal space-time block code (STBC) in the coded system. For the four transmit antenna case, the quasi-orthogonal STBC consists of two symbol groups which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intra group symbols are not. In uncoded system with the matched filter detection, constellation rotation can improve the performance. However, in coded systems, its gain is absorbed by the coding gain especially for lower rate code. We propose an iterative decoding metho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quasi-orthogonal codes in coded systems. With conventional quasi-orthogonal STBC detection, the joint ML detection can be improved by iterative processing between the demapper and the decoder. Simulation results shows that the performance improvement is about 2dB at 1% frame error rate.

케이블 모뎀을 위한 AGC 및 DC offset Remover 설계 (Design of AGC and DC Offset Remover for Cable Modem)

  • 김기윤;최형진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9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75-779
    • /
    • 1999
  • This paper presents design of AGC(Automatic Gain Control) and DC offset remover suitable for cable modem which makes use of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scheme. Since QAM has multi-level signal characteristic, for high-order QAM, the constellation is dense and the distance of decision boundary between adjacent symbols is short. So AGC and DC offset remover must be designed optionally for preventing performance degradation. AGC is designed into feedback type and is related to the STR(Symbol Timing Recovery)and Paff interpolation algorithm. Whereas AGC need to perform average power detection during many symbols by comparison with the reference power, DC offset remover uses only the instant polarity decision such that simple implementation can be achieved with good performance. Though the AGC and DC offset remover are simulated here only for 256 QAM scheme for convenience'sake, it can be applied to other multi-level QAM or PSK modulation scheme.

  • PDF

OFDM 시스템에서 LDC 기법을 이용한 채널추정 및 성능 분석 (Analysis of MIMO and Rotated Constellation Transmission System for Ultra High Definition Television)

  • 조봉균;한동석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2-6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MIMO(multi-input multi-output)-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에서 정확한 채널 추정을 위하여 CAZAC 시퀀스를 LDC(linear dispersion code)로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MIMO 시스템의 성능은 채널 추정 성능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또한 MIMO 시스템은 송수신 안테나 개수에 따라 채널의 개수가 증가하므로 서로 다른 송신 안테나에서 전송된 훈련열을 수신기에서 정확히 분리해야 한다. 그러므로 MIMO-OFDM 시스템에서 훈련열로 사용되어질 CAZAC 시퀀스를 LDC로 부호화하여 수신 채널간의 간섭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그 성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비교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