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naengmye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수도권 거주 성인의 물냉면 섭취 현황 및 실태에 관한 연구 (Study on Usage and Consumption Patterns for Mulnaengmyeon Among Adults in Seoul Metropolitan Area of Korea)

  • 이소민;김진영;김광옥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24-332
    • /
    • 2015
  • Despite expansion of the mulnaengmyeon market,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consumers' attitudes towards mulnaengmye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age and consumption patterns for mulnaengmyeon among adul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of Korea. A survey including demo- and socio-graphics, general mulnaengmyeon usage, and consumption questions was tested on 210 consumer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majority of consumers consumed mulnaengmyeon more frequently during summer. Although the instant mulnaengmyeon market has rapidly increased, it was found that mulnaengmyeon is a food that is generally consumed in restaurants. In addition, mulnaengmyeon usage and consumption patterns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consumer age, whereas there was no difference observed according to parent's or grandparent's hometown of origin. Older consumers were observed to consume and purchase mulnaengmyeon as well as instant mulnaengmyeon more often than young consumers. Also, older consumers were shown to consider "health" related factors as more important when selecting mulnaengmyeon, whereas young consumers considered "price" related factors to be more important.

분류기법(Sorting task)을 이용한 시판 물냉면 육수의 감각특성에 대한 인식 연구 (Exploration of sensory perception for instant Mulnaengmyeon broth using the sorting task)

  • 이소민;김진영;김광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479-48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시판 물냉면 육수에 대해 분류기법을 이용하여 감각적 특성을 바탕으로 제품들이 인지되는 양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들이 시판 물냉면 육수 제품 시장을 인지하는데 있어 익숙한 제품과 익숙하지 않은 제품으로 크게 분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품에 사용된 재료 및 함량이 크게 차이가 남에도 불구하고 대기업 제품들 및 우리나라에서 처음 시판된 물냉면 육수 제품은 상대적으로 유사하게 인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노출빈도가 낮아 친숙함이 떨어지는 중소기업 제품들의 경우, 대기업 제품들 및 우리나라에 최초로 시판된 제품과 구별되어 인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품의 사용방식이 농축방식인 경우 그렇지 않은 제품들과 크게 구별되는 것으로 나타나 가공방식에 의한 영향도 엿볼 수 있었다. 물냉면 육수제품들은 신맛과 관련된 묘사 용어에 의해 주로 묘사되었으나, 이에 의해 제품이 구별되지는 않았다. 분류기법을 수행하는 데 있어 훈련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패널에 포함함으로써 소비자 패널만을 이용한 분류기법에서 지적되어 온 용어의 유효성에 대한 문제점을 다소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제천지역 외식업소 방문객의 외식행동 및 외식음식 염도인지에 대한 조사 (A Study on Eating Out Behavior and Recognition of Salinity in Restaurant Food in Jecheon Area)

  • 박수진;민성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0-28
    • /
    • 2015
  • In this study, the eating out behavior and recognition of salinity in restaurant food in Jecheon area were examin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eating out behavior and perception of salinity in food purchased in restaurants were surveyed. Also salinity of the high Na-containing menus were measured using salimeter. Exactly 51.6% of the study subjects usually ate out more than one to two times per week. A large percentage (88.6%) of the subjects mentioned that they ate more than half the amount of liquid in their dishes. The study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the salt concentrations of stews, soups and noodles in their orders were high. JJamppong was recognized as the most salty among nine kinds of eating out menus, whereas mulnaengmyeon was the least. Although the recognized salt concentration of mulnaengmyeon was relatively low, this dish had the highest salinity out of nine eating out menus. Relative salinities of eating out menus were higher than absolute salinity mostly except yukgaejang. It is necessary to supply exact nutrition information and widely implement nutrition labeling. Furthermore, consumers should personally be careful to limit consuming food with high sodium levels when dining at restaurants and eat less liquid in dishes.

황색포도상구균의 TEMPO STA와 표준 평판 배지를 이용한 정량분석법 비교 (Comparison of an Automated Technique TEMPO with Direct Plate Count Method for the Enumer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 조용선;이다연;이주영;왕해진;신동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2-257
    • /
    • 2013
  • 표준 평판배지 정량검출법과 TEMPO STA를 이용한 황색포도상구균 정량 분석에 대한 상관성과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해 복합조리식품에 황색포도상구균을 인위적으로 접종하여 결과값을 통계 처리하여 유의성을 조사한 결과 두 실험방법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 < 0.05). 상관계수($r^2$)는 0.9672로 두 실험간에는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TEMPO STA를 466개의 시료에 적용한 결과 454개(97.4%)의 시료는 문제가 없었으나 이중 12개의 시료에서는 error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TEMPO법은 실험 단계 간편하고 사용이 쉬우며 신속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자동화된 장비로 실험 과정에 의한 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표준시험법인 표준 평판 배지법과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정확한 정량검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식품의 안전성확보를 위해 검사 품목이 다양해지며 수도 증가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황색포도상구균의 정량 검사가 정확하고 신속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TEMPO STA법의 필요성은 앞으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