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berry leaf

검색결과 318건 처리시간 0.035초

Combining Ability for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s in Mulberry (Morns spp.) under Salinity Stress

  • Vijayan, Kunjupillai;Chakraborti, Shyama Prasad;Doss, Subramaniam Gandhi;Ghosh, Partha Deb;Ercisli, Sezai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6권2호
    • /
    • pp.67-74
    • /
    • 2008
  • A line x tester analysis was carried out in mulberry (Morns spp.) under different salinity levels to determine the changes in the genetic interaction of various morpho-biochemical characters. Five mulberry genotypes, 3 females and 2 males, differing in salt tolerance were selected for the study. Clones of these parents along with clones of the F1 hybrids were planted in earthen pots and subjected to different levels of salinity (0.0%, 0.25%, 0.50%, 0.75% and 1.00% NaCl). Data on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s were subjected to line x tester analysis. The result revealed significant variation among the parents studied. The prominence of non-additive gene effect under control condition suggests the need for well chalked out breeding program to exploit the non-fixable variance of components for improvement of plant height, leaf size and leaf yield, chlorophyll and photosynthesis in mulberry. However, under salinity stress a shift from non-additive gene effect to additive gene effect for the above said character further suggests the need for a change in breeding strategy. The general combining ability (GCA) analysis has identified English black as the best combiner among the parents and the specific combining ability analysis (SCA) found crosses of English black X C776 and Rotndiloba x Mandalaya were good for Plant height and leaf size and English black X C776 and Rotundiloba x C776 were good for biochemical proline and chlorophyll. From the performance of parents and their crosses under different salinity levels and also under normal cultural conditions it is concluded that in mulberry different approaches are required to develop varieties for the irrigated and saline conditions.

Antioxidant Effect of Mulberry Leaves and Yacon Tuber Extracts in High-fat Diet-fed Rats

  • Kim, Kwangjin;Lim, Yong;Oh, Ji Hye;Park, Un Kyu;Huh, Man Kyu;Hwang, Seock-Yeo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1-209
    • /
    • 2020
  • The effect of mulberry leaves and yacon tuber extracts (MYE) on antioxidant was tested in this stud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in vivo effects of the anti-oxidative effect of MYE on catalase (CAT),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The seven-day acclimation of the mice was divided into six groups: Normal diet group (NOR), high fat diet group (HFD), high fat diet with 0.5% hydroxycitric acid group diet group for positive group (HHCA), high fat diet with 1% mulberry leaf and 1% yacon diet group (MYE-1), high fat diet with 3% mulberry leaf and 3% yacon group (MYE-3) and high fat diet with 5% mulberry leaf and 5% yacon group (MYE-5). The effect of serum antioxidant in the catalase of MYE-1, MYE-3, and HHCA comparing to HFD by 31.0%, 27.7% and 45.2%, respectively (P<0.05~0.01). The effect on hepatic antioxidant in the catalase of HF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3.7 (77.3%) times than that of NOR (P<0.01). But, the activities of catalase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MYE-1, MYE-3, MYE-5 and HHCA by 21.7%, 24.2%, 24.9%, and 28.8% compared to HFD, respectively. GSH-P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MYE-1, MYE-3, MYE-5 and HHCA by 15.5%, 37.1%, 23.4%, and 23.7% compared to HFD, respectively (P<0.05). The activities of CAT, SOD, GST, GSH-Px, and TBARS were mo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MYE-1 and MYE-3 than those of HFD and HHCA. MYE have shown significant effects on anti-oxidative function against high fat diet.

Bioconversion enhance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of the Mulberry Tree (Morus alba L.), especially the leaf (Mori Folium)

  • Chon, So-Hyun;Kim, Min-A;Lee, Han-Saem;Park, Jeong-Eun;Lim, Yu-Mi;Kim, Eun-Jeong;Son, Eun-Kyung;Kim, Sang-Jun;So, Jai-Hy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2호
    • /
    • pp.111-122
    • /
    • 2019
  • The mulberry tree (Morus alba L.) has been traditionally used in Chinese medicine to treat inflammatory disease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ioconversion on different components of the mulberry tree, and determined changes i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Ethyl acetate-soluble fractions of five different segments (fruit, Mori Fructus; leaf, Mori Folium; twig, Mori Ramulus; root, Mori Cortex; and mistletoe, Loranthi Ramulus) of the mulberry tree show enhanced anti-oxidant effects in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v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ssays, and enhance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RAW 264.7 macrophages, after being treated with a crude enzyme extract from Aspergillus kawachii, in the following order of activity: Mori Folium>Mori Cortex>Mori Ramulus>Mori Fructus>Loranthi Ramulus.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f mulberry leaves (Mori Folium) that underwent bioconversion was most effective, and was devoid of any cytotoxicity. The fraction was also effective against mRNA expression of LPS-induced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leukin-1{\beta}$, and interleukin-6. In addition, the fraction was effective in LPS-induced phosphory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and IKK, and $I{\kappa}B$ degradation, followed by translocation of the nuclear $factor-{\kappa}B$ from the cytoplasm to the nucleus. Thus, bioconversion increased the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mulberry leaf.

산지개발(山地開發)로 조성(造成)한 상전(桑田)의 지방증진(地方增進)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soil improvement of mulberry field in newly reclaimed hilly land areas)

  • 이춘수;류인수;박영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1-76
    • /
    • 1976
  • 1. 개량제(改良劑) 시용(施用)에 의(依)한 상엽수량(桑葉收量)의 증수율(增收率)은 표준구(標準區)에 비(比)하여 20~80%이었으며 개량제(改良劑) 처리간(處理間)의 효과(効果)는 고토질석회(苦土質石灰)>퇴비(堆肥)>용성인비(溶成燐肥)>녹비재배(綠肥栽培) 및 환원(還元)>맥간구(麥稈區)의 순위(順位)이었다. 2. 상엽수량(桑葉收量)과 가장 상관도(相關圖)가 높은 생태적요소(生態的要素)는 근중(根重)과 근권체적(根圈體積)이며 그다음으로 지조장(枝條長)과 지조수(枝條數)이었다. 또한 토양(土壌) 및 상엽중(桑葉中)의 Ca과 Mg함량(含量)과 상엽수량(桑葉收量)과는 높은 상관(相關)을 보였다. 3. 지조선단(枝條先端)의 고사현상(枯死現象)은 엽중(葉中) $K_2O$와 MgO함량(含量)의 불균형(不均衡)의 영향(影響)으로부터 오며 상엽중(桑葉中) $K_2O/MgO$의 비(比)가 6.0 또는 그이상(以上)되어야 고손율(枯損率)을 최소(最少)로 할 수 있었다. 4. 토지상전조성(土地桑田造成)을 위(爲)하여는 유기물외(有機物外)에 고토(苦土)를 포함(包含)한 석회질비료(石灰質肥料) 시용(施用)이 필수적(必須的)이나 이들만의 시용(施用)은 고손율(枯損率)을 증가(增加)시키므로 상대적(相對的)으로 가리(加里)의 증시(增施)가 병행(併行)되어야 함을 알았다.

  • PDF

Studies on the Comparative Performance of Victory-1, S-36 and Kanva-2 Mulberry Genotypes and their Impact on Silkworm Rearing under Telangana Conditions of Andhra Pradesh.

  • Venkataramana, P.;Suryanarayana, N.;Kumar, Vineet;Sarkar, 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5권2호
    • /
    • pp.175-182
    • /
    • 2002
  • A new high yielding mulberry genotype, Victory-1 (V-1) was recommended to the field for irrigated areas by Central Sericultural Research and Training Institute (CSRTI), Mysore during 1996-1997. As K-2 and S-36 mulberry genotypes are already in the field, a study on the comparative performance of V-1, 5-36 and K-2 varieties, in terms of leaf yield, yield attributes, leaf moisture and moisture retaining capacity and their impact on silkworm rearing was carried out under Telangana conditions of Andhra Pradesh during 1999-2001. Among the three genotypes the leaf yield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P < 0.01) higher in V-1 (64,130 kg/ha/yr) followed by S-36 (44,064 kg/ha/yr) and K-2 (23,990 kg/ha/yr). The maximum leaf moisture was also observed in V-1 (71.84%) compared to S-36 (66.86%) and K-2 (64%). The moisture retaining ability was more in V-1 (70.17%) followed by S-36 (66.20%) and K-2 (60.08%). The yield attribut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P < 0.01) enhanced in V-1 over S-36 and K-2. Silkworm rearing results (bioassay) indicated a significant (P < 0.01) reduction in larval duration and improvement in larval weight, effective rate of rearing by number and weight, single cocoon and shell weights and shell ratio in the silkworm lots fed on V-1 variety followed by S-36 and K-2. Hence, in this study, V-1 was found to be superior among the three varieties studied.

기능성 쌀다식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Rice Dasik)

  • 여정숙;김애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07-215
    • /
    • 2002
  •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전통 한과류 중에서 분말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하기에 활용도가 높은 다식을 선택하여 뇌졸증과 당뇨예방에 효과가 있는 뽕잎분말과 아미노산 조성이 우수한 실크펩타이드 분말을 이용하여 이용 가능성과 기능 부여에 대한 이용가치를 높임과 동시에 활성화시키기 위한 기능성 쌀다식의 일반성분, 무기질 함량 및 관능검사 등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일반성분 분석결과에서 뽕잎 분말과 실크펩타이드 분말을 첨가한 비율이 증가할수록 기능성 쌀다식의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p<0.05) 증가되었다. 2. 무기질 함량은 뽕잎 분말과 실크펩타이드 분말을 첨가한 비율이 증가할수록 기능성 쌀다식의 칼슘, 마그네슘 및 칼륨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3. 뽕잎 분말과 실크펩타이드 분말의 첨가비율에 따른 기능성 쌀다식의 관능검사 결과에서 2% 첨가군이 각각의 대조군이나 1%, 3%, 4% 첨가군에 비해 좋은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뽕잎 분말과 실크펩타이드 분말이 첨가된 기능성 쌀 다식을 기초로 양잠산물을 이용한 보다 많은 식품의 개발로 성인병 예방 및 치료 차원에서 그리고 필수아미노산의 공급원으로써 활용됨과 아울러 우리나라 전통음식과의 다양한 접목을 기대한다.

  • PDF

농약오염 뽕이 누에와 고치질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f the Influence of Agricultural Chemical Contaminated Mulberry Leaf on Silkworm Rearing and Cocoon Quality.)

  • 유재복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3-100
    • /
    • 1974
  • 농약으로 오염된 뽕을 누에에게 급여했을 때 누에의 사육성적과 견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살충제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몇가지 결과를 얻었다. 1. 1,000배액의 살충제를 뽕잎에 살포한 후 25일 자연 방치하였다가 급여하여도 감잠비율이 증가하였다. 2. 농약오염뽕의 누에첨식사육결과 사육성적에 미치는 영향은 살충제별로 차이가 있다. 3. Lebaycid의 첨식구에서는 탈항잠이 출현하였다. 4. 농약오염뽕의 누에첨식사육은 불정형견과 이상견사의 원인이 된다.

  • PDF

뽕잎 및 뽕잎차의 항산화능 (Anti-oxidative Capacity of Mulberry Leaf and its Tea)

  • 김현복;강충길;성규병;강석우;이정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8-23
    • /
    • 2007
  • 고부가가치 천연물 산업 및 기능성 양잠산업의 소재로서 경쟁력이 있는 뽕나무의 자원화 및 이용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국내 외에서 수집하여 보존 중인 뽕나무로부터 뽕잎을 채취하여 항산화능을 비교, 검색하는 동시에 실생활에 이용되고 있는 다류와 음용수준에서의 항산화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외에서 수집되어 유리온실에서 보존 중인 뽕나무 유전자원 중 공시된 34계통의 평균 항산화능 값은 892.30nmol(ascorbic acid equivalents)로서 국내 장려뽕 및 야생뽕에 비해 상당히 낮았다. 그러나 우즈베키스탄에서 수집한 'BA 2', 일본 도입종 '흑상' 및 강원도 양양에서 채취한 '수산항 2'는 각각 2,149.78nmol, 1,390.35nmol, 1,307.67nmol로써 항산화능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2. 뽕잎을 음건하여 제조한 뽕잎차의 항산화능은 1,053.72nmol이었고, 3회 덖음 처리한 뽕잎차의 항산화능은 796.92nmol이었다. 한편 실생활에서 일반인에게 널리 음용되고 있는 다류 중 커피믹스의 항산화능은 2,531.01nmol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현미녹차의 항산화능은 1,867.42nmol으로 뽕잎차보다 항산화능이 높은 반면 둥글레차와 레몬홍차의 경우 각각 29271nmol, 188.91nmol로 항산화능이 낮았다. 3. 뽕잎에 300배, 500배의 물을 넣고 끓여 음용 수준으로 희석한 뽕잎물의 항산화능을 분석한 결과 각각 919.32nmol, 891.96nmol의 항산화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꾸준히 뽕잎을 음용수로 이용한다면 항산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필리핀 벤규트의 고지대 뽕밭현황 및 개선방안 (The State of Mulberry Cultivation and It's Development in High Land of Benguet Province, Philippines)

  • 류근섭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4권
    • /
    • pp.85-100
    • /
    • 1996
  • 필리핀의 잠사업은 그 역사가 매우 짧다. 1974년 일본의 잠업기술을 도입하면서부터 양잠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그후 1990년 한국의 잠업기술자의 도움을 받아 뽕밭을 조성하고 잠실을 지어 양잠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 나라의 잠업역사가 짧은 것 만큼 뽕나무 재배기술도 몹시 낙후되어 있는 실정이다. 필리핀 고지대의 뽕밭의 현황 및 그 개선책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강우량, 기온, 일조시간 및 습도 등은 뽕나무가 자라는데 큰 무리가 없어 보인다. 다만 12월부터 3월까지의 건기에는 뽕밭에 관수를 하거나 뽕밭 주위에 무진장으로 자생하고 있는 풀을 베어서 뽕밭에 피복하여 토양수분을 보존한다. 대부분의 뽕밭이 급경사지에 조성되었는데 등고선에 따라 계단을 만들거나 승수로의 설치등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강우시에는 토양의 침식 및 유실이 심하였다. 따라서 계단사면에는 초생재배를 실시하고 계단면에는 유기물을 피복하여 토양의 유실을 방지해야 할 것이다. 토양의 pH 4.7, 유기물함량 1.6%, 유효인산함량은 6ppm이었다. 즉 유기물 함량이 낮은 강산성토양이며 유효인산함량이 극히 낮은 토양이었다. 석회와 유기물을 다량 사용하여 토양을 개량하고 인산비료를 증시해야한다. 소나무 밑에서 재배하고 있는 뽕밭에서는 햇빛이 잘 쪼일 수 있도록 소나무의 곁가지를 전정해주고 석회를 증시한다. 현재의 ha당 시비량 질소-46kg, 인산-18kg, 칼리-18kg은 너무 적은 양이므로 ha당 질소-250kg, 인산-120kg, 칼리-120kg을 시용한다. 전체 뽕밭의 70%에 해당하는 뽕나무가 뽕나무 잎말이 나방피해를 받고 있는 실정인바 DDVP 및 KAFIL 등의 약제 방제를 실시한다. 우기에 많이 발생하는 적삽병은 이병된 뽕잎과 새순은 조기 제거하고 Topsin-M을 살포한다.

  • PDF

지배실생(용천뽕/개량뽕)의 생장점에 Colchicine 처리로 창성한 내동성계 4배체뽕 (Cold-hardiness Tetraploid Induced by Colchicine Treatment in Mulberry Seedings(Morus alba L. Yongchonppong/Kaeryanppong))

  • 박광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7
    • /
    • 1994
  • 용천뽕에 개량뽕을 교배하여 채종한 종자가 발아하는 생장점에 0.2% colchicine용액을 적하처리하여 4배성인 4원뽕 11호, 12호, 13호 및 14호를 창성하였으며 그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이른봄의 발아개엽기는 개량뽕과 비슷한 중뽕이다. 2. 잎은 대형 또는 중형의 심장형이며 표면은 강강감이 있으며, 잎두께, 잎면적중, 수분율이 2배체에 비하여 증가 되었다. 3. 2배체인 교배모품종에 비하여 평균가지길이는 짧고 마디사이길이와 측지수는 두 모품종의 중간정도이었다. 4. 가지끝마름율은 1.6~2.5%로서 강한 내동성(cold hardiness)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내동성이 강한 3배체 육성소재로 유망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