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cilage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19초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二報)] 점액내(粘液內) 당류(糖類)의 검색(檢索)- (Studies on the Mucilage of the Root of Abelmoschus manihot, MEDIC -[Part II] Detection of Sugars in the Mucilage-)

  • 온두현;임제빈;손주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1호
    • /
    • pp.41-50
    • /
    • 1976
  • 본(本) 연구(硏究)에서 얻어진 결과(結果)를 결합(綜合)하면 다음과 같다. 1. 황촉규근(黃獨葵根) 점액내(粘液內)에 함유(含有)되어 있는 당류(糖類)는 rhamnose, xylose, arabinose, glucose, galactose 그리고 3종(種)의 uronic acid임을 확인(確認)하고, 점액내(粘液內) 당류(糖類)는 처음에는 시간(時間)의 경과(經過)에 따라 여러 종류(種類)의 당(糖)이 검출(檢出)되나 점차(漸次)로 당(糖)의 종류(種類)는 감소(減少)하고 결국(結局) 완전(完全)히 소실(消失)된다. 당류(糖類)가운데 가장 먼저 검출(檢出)되는 당(糖)은 glucose이고 한편 이것은 가장 먼저 소실(消失)된다. 다음에 검출(檢出)되는 당(糖)은 galactose와 arabinose이다. xylose, rhamnose 등(等)은 비교적(比較的) 장기간(長期間) 검출(檢出)되는 당(精)이며 가장 장시간(長時間) 검출(檢出)되는 당(糖)은 uronic acid 이다. 2. 점질물(粘質物)의 가수분해(加水分解) 생성물(生成物)에서 검출(檢出)되는 당(糖)은 rhamnose, xylose, arabinose, glucose, galactose 그리고 uronic acid 등(等)이고 이 점질물(粘質物)을 여과(濾過)한 여액(濾液)을 가수분해(加水分解)한 생성물(生成物)에서 각각 검출(檢出)되는 당류(糖類)는 rhamnose, xylose, glucose, arabinose, galactose, ribose 등(等)이며 여기에서 $R_f$ 값이 매우 큰 미지(未知)의 물질(物質)이 분리(分離)되었다. 3. 본(本) 연구(硏究)에서 점질물(粘質物)의 본태(本態)가 복합당(複合糖)일 것이라는 종래(從來)의 생각과 동일(同一)한 결과(結果)에 달(達)한 바 있으나 여기에서 점질물(粘質物)의 구성성분(構成成分)으로 glucose, ribose 등(等)이 관여(關與)할 것이라는 새로운 사실(事實)이 관찰(觀察)되었다. glucose는 점액(粘液) 그리고 모든 가수분해(加水分解) 생성물(生成物)에서 분리(分離), 동정(同定)되나 ribose는 점질물(粘質物)을 제거(除去)한 여액(濾液)의 가수분해(加水分解) 생성물(生成物)에서 분리(分離), 동정(同定)되고 약간(若干)의 시일(時日)이 경과(經過)한다 할지라도 동일(同一)한 결과(結果)를 보인다. 또 여기에서 더욱 검토(檢討)하여야 할 미지물질(未知物質)의 존재(存在)도 관찰(觀察)되었다. 4. 따라서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 및 점질물(粘質物)의 구성(構成) 성분(成分)으로 확인(確認)된 당류(糖類)는 rhamnose, xylose, arabinose, galactose, glucose, ribose와 uronic acid 등(等)이며 이밖에 미지(未知)의 물질(物質)도 확인(確認)되었다. 그러므로 점질물(粘質物)의 본태(本態)는 이들이 결합(結合)히여 이루어진 복합당(複合糖)일 것으로 추측(推測)된다.

  • PDF

마(Dioscorea batatas DECENE) 점질물이 Alloxan 유발 당뇨 마우스의 혈당 및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cilage from Yam (Dioscorea batatas DECENE) on Blood Glucose and Lipid Composition in Alloxan-induced Diabetic Mice)

  • 권은경;최은미;구성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95-801
    • /
    • 2001
  • 한국산 마(Dioscorea batatas DECENE, Yam)에서 점질물(mucilage)의 fraction 1, 2를 분획하여 6주령의 ICR 마우스에게 당 부하 검사(glucose tolerance test)를 실시한 결과 마 점질물 fraction 1이 마 점질물 fraction 2에 비해서 더 나은 효과를 나타내었기 때문에 마 점질물 fraction 1을 시료로 채택하여 6주령의 ICR 마우스에게 Alloxan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후 10일간 경구 투여를 실시하고 식이 섭취량 및 체중의 변화를 관찰하고 혈액중의 포도당 농도와 혈청과 간장 중의 지질 성분과 각종 장기의 무게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식이 섭취량은 당뇨대조군과 마점질물투여군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거의 2배에 가까운 식이 섭취량을 보였다. 체중의 변화는 정상대조군과 당뇨대조군은 증가한데 반해 마점질물 투여은 유의적으로 체중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공복시 혈중 포도당 농토는 시료 투여 직전에 정상 대조군은 $68.00{\pm}6.04\;mg/dL$였으며, 당뇨 대조군과 시료 투여군은 $400.50{\sim}403.50\;mg/dL$였다. 당뇨 대조군의 경우 시료 투여 첫째날부터 종료시까지 고혈당을 유지하였으며, 마점질물 투여군에서는 실험기간 5일째까지는 당뇨 대조군에 비해 혈당이 감소하지 않았지만, 시료투여 10일째에 마점질물투여군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낮은 혈당치를 나타내었다. 혈액중 중성지방농도는 당뇨 대조군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약 1.7배 정도 유의적으로 높았다. 마점질물투여군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중성지방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비장의 무게는 y500F1군이 당뇨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에서 마점질물 fraction 1을 Alloxan 유발 당뇨 마우스에 투여하였을 때 체중의 감소 및 혈중 포도당과 중성지방농도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어 당뇨병에 대한 개선 효과를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 PDF

산약(山藥) 점액성분(粘液成分)의 정제(精製)와 함량분석(含量分析)에 관한 연구(硏究) (Purification of Mucilages from Dioscorea batatas and D.japonica and their Content Analysis)

  • 한용남;한승혜;이인란
    • 생약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4-283
    • /
    • 199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urther characterize mucilages from Dioscoreae Rhizoma, which have been known to be proteoglycans. We chose the two types of yams, Dioscorea batatas Dec. (club-like) and D. japonica Thunb. (cane-like). Repeated gel filtration of a dialyzed water extract of each fresh yam on Bio-gel P-100 and then Sephadex G-150 columns completely separated the mucilage from protein. Furthermore, gel filtration of a water extract from each yam processed by steaming and drying on the Bio-gel P-100 column gave only one polysaccharide peak without protein. These results revealed that the mucilages of yams were only composed of polysaccharide. Then we assessed some properties of the mucilages under three kinds of criteria: a complex-forming capacity between mucilage and alcian blue, mannose content in the mucilage, and viscosity. The complex-forming capacities of two types of fresh yams were closely similar with each other, but the processing of two types of the fresh yams greatly lowered the complex-forming capacity and viscosity.

  • PDF

Characterization of ${\gamma}$-Polyglutamic Acid Produced from the Solid-state Fermentation of Soybean Milk Cake Using Bacillus sp.

  • Oh, Soo-Myung;Jang, Eun-Kyung;Seo, Ji-Hyun;Ryu, Mi-Jin;Lee, Sam-Pi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509-514
    • /
    • 2007
  • In this study, we optimized the production of ${\gamma}-polyglutamic$ acid (PGA) in soybean milk cakes (SMC)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GT-D and B. subtilis KU-A, to be utilized as a functional food ingredient. PGA production was dependent upon the glutamate content, fermentation time, and type of Bacillus sp. The consistencies of the SMCs fermented by B. subtilis GT-D and B. subtilis KU-A were highest after 36 hr of fermentation,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The SMC fermented by B. subtilis KU-A had a higher consistency than the SMC fermented by B. subtilis GT-D. In the presence of 10% defatted soy flour (DFS), 5% glutamate in the SMC was efficiently converted into polyglutamic acid (PGA) for 24 hr, indicating a conversion yield above 96%, but its conversion then decreased with higher concentrations of glutamate. The soluble solid content (mucilage) of the SMC fermented with B. subtilis KU-A was 9.5%(w/w), and composed of 65.6% PGA (Mw 1,536 kDa) and some polysaccharides. However, the SMC fermented with B. subtilis GT-D had a mucilage content of 7.8%(w/w), and was composed of 66.4% PGA (Mw 1,409 kDa), 11.5% levan, and some polysaccharides. The viscoelastic values of the mucilage obtained using B. subtilis KU-A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mucilage obtained using B. subtilis GT-D. Also, the G'-value (elastic modulus) was higher than the G"-value (viscous modulus).

마 첨가에 의한 유산균 생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Yam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 이상빈;하영득;김혁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05-809
    • /
    • 1999
  • The growth of Lactobacillus casei in milk was enhanced by adding yams. Addition of 1% yam(raw or dry) promoted the cell growth and acid production in fermented milk. The milk containing 1% yams formed the complete curd by lactic acid fermentation at 37oC for 19hr while the milk without yams showed the incomplete curd formation. The crude mucilage extracted from a raw yam also enhanced the cell growth as well as the acid production. Addition of mucilage(0.08%) showed the similar effects with adding heat treated yam(1%). The milk fermented by adding various yams showed the high scores for sensory evaluation comparing with the milk fermented without yams. The fermenting ability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kefir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was evaluated by adding 1% of a dry yam in milk. A dry yam also enhanced the cell growth of L. acidophilus resulting in the high acid production. The viable cell counts of L. casei, L. acidophilus and Leuc. mesenteroides except L. kefir were increased by adding 1% of a dry yam.

  • PDF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에 관한 연구(硏究) -[제오보(第五報)] 초기점도변화(初期粘度變化)의 동역학적고찰(動力學的考察)- (Studies on the Mucilage of the Root of Abelmoschus manihot, MEDIC -[Part V] Kinetics of initial viscosity-)

  • 온두현;임제빈;손주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1호
    • /
    • pp.42-50
    • /
    • 1979
  • 본(本) 연구(硏究)에서 얻은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하면 다음과 같다. 1.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의 온도변화(溫度變化)에 따른 회전점도(回轉粘度)의 회복(回復)은 $5^{\circ}{\sim}30^{\circ}C$ 범위(範圍)에서는 조(組) 81%, $5{\sim}95^{\circ}C$ 범위(範圍)에서는 조(組) 53% 회복(回復)된다. 2.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의 점도변화(粘度變化)는 $5{\sim}50^{\circ}C$범위(範圍)에서 Andrade equation이 잘 적용(適用)되며 여러가지 방법(方法)으로 전처리(前處理)한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의 점도변화(粘度變化)에 대한 activation energy $12{\sim}14$ Kcal/mole, activation entropy는 $12{\sim}15e.u.$ 범위(範圍)이다. 3. Autoclave처리(處理) 또는 formalin 처리(處理)한 황촉규근점액(黃蜀葵根粘液)의 activation energy는 다른것보다 큰 값이 계산(計算)되었고, 또 질소기류내(窒素氣流內)에서의 activation energy 값이 큰 값으로 계산(計算)되었는 결과(結果)로 점도(粘度)의 변화(變化)에 생물학적(生物學的) 요인(要因)이 크게 관여(關與)할 것으로 추측(推測)된다. 4. 단시간내(短時間內)의 점도변화(粘度變化)에 대한 도도(渡度) 의존성(依存性)은 비교적(比較的) 작고 $5^{\circ}{\sim}50^{\circ}C$, 72시간내(時間內)에서는 점도변화(粘度變化)에 관여(關與)할 분자구조(分子構造)의 전환(轉換)에 대한 도도의존성(渡度依存性)도 작다. 따라서 이 범위내(範圍內)에서의 점도변화(粘度變化)의 주요인(主要因)은 점질물(粘質物)의 분선현상(分鮮現象)과 conformation의 전환(轉換)이라 추측(推測)된다.

  • PDF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 점액(粘液)의 점성(粘性) 및 유리당(遊離糖)- (Studies on the Mucilage of the Root of Abelmoschus manihot, MEDIC -[Part I] Viscosity and Free Sugars in the Mucilage-)

  • 온두현;임재빈;손주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1호
    • /
    • pp.36-40
    • /
    • 1976
  • 본(本) 연구(硏究)에서 얻은 결과(結果)를 다음에 요약(要約)한다. 1.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은 유리환원당(遊離還元糖)을 함유(含有)한다. 이것의 함량(含量)은 경시적(經時的)으로 변화(變化)하며 함량(含量)이 최고(最高)에 달(達)하는 시간(時間)은 온도(溫度), 침출수량등(浸出水量等)의 영향(影響)으로 일정(一定)하지 않다. 2.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의 점도(粘度)도 경시적(經時的)으로 감퇴(減退)하며 이것의 점성(粘性)은 점액내(粘液內) 유리당(遊離糖)의 함량(含量)과 약간(若干)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어 일반(一般)으로 점도(粘度)가 큰 점액(粘液)의 당함량(糖含量)은 크다. 그리고 점액(粘液)의 점도(粘度)는 경시적(經時的)으로 급격(急激)하게 감퇴(減退)되나 당함량(糖含量)은 서서히 감소(減少)한다. 3.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은 표피(表皮)에서 많이 분비(分泌)되며 이 점액(粘液)은 목질부(木質部) 분비(分泌)된 점액(粘液)보다 점도(粘度)가 크고 유리당(遊離糖)의 함량(含量)이 크다. 4. mixer처리(處理)로 점액(粘液)의 점도(粘度)는 크게 감퇴(減退)하나 당함량(糖含量)에는 큰 변화(變化)가 없다. 5. 점액(粘液)의 점도저하(粘度低下)는 ammonium sulfate의 첨가(添加)로 효과적(效果的)으로 방지(防止)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의 유리당(遊離糖) 함량(含量)은 비교적(比較的) 적고, starch-iodine반응(反應)은 30일(日)이 경과(經過)한다 할지라도 양성(陽性)이다. 뒤의 여러 결과(結果)로 미루어 점액(粘液)의 점성(粘性)의 불안정성(不安定性)은 화학적(化學的), 물리적(物理的) 요인외(要因外)에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 요인(要因)이 복합(複合)되어 관련(關聯)될 것이라 추측(推測)된다.達)한 바 있으나 여기에서 점질물(粘質物)의 구성성분(構成成分)으로 glucose, ribose 등(等)이 관여(關與)할 것이라는 새로운 사실(事實)이 관찰(觀察)되었다. glucose는 점액(粘液) 그리고 모든 가수분해(加水分解) 생성물(生成物)에서 분리(分離), 동정(同定)되나 ribose는 점질물(粘質物)을 제거(除去)한 여액(濾液)의 가수분해(加水分解) 생성물(生成物)에서 분리(分離), 동정(同定)되고 약간(若干)의 시일(時日)이 경과(經過)한다 할지라도 동일(同一)한 결과(結果)를 보인다. 또 여기에서 더욱 검토(檢討)하여야 할 미지물질(未知物質)의 존재(存在)도 관찰(觀察)되었다. 4. 따라서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 및 점질물(粘質物)의 구성(構成) 성분(成分)으로 확인(確認)된 당류(糖類)는 rhamnose, xylose, arabinose, galactose, glucose, ribose와 uronic acid 등(等)이며 이밖에 미지(未知)의 물질(物質)도 확인(確認)되었다. 그러므로 점질물(粘質物)의 본태(本態)는 이들이 결합(結合)히여 이루어진 복합당(複合糖)일 것으로 추측(推測)된다.有率)이 그 지방(地方)의 비추락지(非秋落地)에서보다 낮았고 소사(素砂)에서는 철(鐵), 평택(平澤)에서는 유기물(有機物)의 함유율(含有率)이 추락도(秋落稻)에서 높았다. (5) 상층토전체(上層土全體)에 함유(含有)되어 있는 각주요무기성분(各主要無機成分)의 전량(全量)에 대(對)하여 각(各) 지구(地區)를 통관(通觀)한 추락(秋落)과의 관계(關係)에 어떤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을 인정(認定)할 수 없었으나 지구별단위(地區別單位)에 있어서는 질소(窒素) 그밖에 모든 성분(成分)에 있어서 차이(差異)가 있음을 인정(認定)할 수 있었다. 3. 수확물(收穫物)의 화학적(化學的)

  • PDF

The Effects of Plantago-mucilage A from the seeds of Plan-tago asiatica on the Immune Responses in ICR Mice

  • Kim, Joung-Hoon;Kang, Tae-Wook;Ahn, Young-Ke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137-142
    • /
    • 1996
  • Effects of plantago-mucilage A (P-MA) on the immune responses were studied in ICR mice. Mice were divided into 4 groups (10 mice/group), and P-MA at doses of 7, 21 and 63 mg/kg were orally administered to mice once a day for 21 consecutive days. Mice were immunized and challenged with sheep red blood cells (SRBC). P-MA at 63 mg/kg/day significantly increased the body weight gain and the relative weights of spleen and thymus, as compared with those in control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n liver weight due to P-MA treatment. Plaque forming cells (PFC) and hemagglutination (HA) titers to SRBC were significantly enhanced in mice dosed at 21 and 63 mg/kg/day P-MA, as compared with those in controls. Delayed-type hypersensitivity (DTH) reaction to SRBC, phagocyte activity and circulating leukocyte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mice dosed at 63 mg/kg/day P-MA.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P-MA markedly enhances both humoral immune and allergic reaction to SRBC at concentrations which don't act on the relative weight of liver.

  • PDF

수종(數種) 자양(滋養) 강장생약류(强壯生藥類)의 형태(形態) 및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상(性狀) 비교(比較) (Morphological and Physico-chemical Comparison of Some Nutrient and Tonic Drugs)

  • 도정애
    • 생약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43-253
    • /
    • 1989
  • Anatom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me nutrient and tonic crude drugs have been estimated and compared. Resin duct and druse crystal were observed more in Acanthopanax Cortex than in Ginseng Radix. Bast fiber bundle and solitary crystals were abandantly present in Glycyrrhizae Radix. Mucilage crude drugs contained mucilage ducts and bundles of raphides as common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of vascular bundles were different. TLC analysis showed different patterns of saponin, flavonoid, ${\gamma}-aminobutyric$ acid and sitosterols.

  • PDF

한국산(韓國産) 산약류(山藥類)의 생약학적(生藥學的) 연구(硏究) (Pharmacognostical Study on the Dioscoreae Rhizoma in Korea)

  • 도정애
    • 생약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0-38
    • /
    • 1984
  • Yam, Dioscorea batatas Decne (Dioscoreaceae) is a plant growing in Korea. Dioscoreae Rhizoma in the markets are classified into natural and cultural ones.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ies between natural and cultural Yams by characteristics of morphology, cell contents,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cal properties. More mucilage cells which contain calcium-oxalate raphides were contained in cultural Yam than natural Yam. However, the amount of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mucilage viscosity, swelling, gelatinization of polysaccharides were greater in natural Yam than the other. It is suggested that natural Yam is excellent as nutrition agent in quality and worthwhile as a resource of crude drug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