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Mucilage of the Root of Abelmoschus manihot, MEDIC -[Part II] Detection of Sugars in the Mucilage-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二報)] 점액내(粘液內) 당류(糖類)의 검색(檢索)-

  • 온두현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 임제빈 (전북대학교 교양과정부) ;
  • 손주환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Published : 1976.03.30

Abstract

When the root of Abelmoschus manihot, MEDIC is stored in the water, the mucilage is extracted. The mucilage has contained some of free reducing sugars. We have investigated the change of free reducing sugars by the Bertrand method and also free reducing sugars are detected by paper chromatography and thin layer chromatography. The mucilage is isolated from the root of Abelmoschus manihot, MEDIC and its chemical components are detected. The mucilage and hydrolyzed products are examined by paper chromatography,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tested carbohydrates under the usual way. The results are as follow: 1. The mucilage has contained five kinds of monosaccharides which are rhamnose, xylose, arabinose, glucose, galactose and other three kinds of uronic acids. 2. In the mucilage, glucose is the most changeable sugar and the next are arabinase and galactose. 3. Uronic acids, pylose and rhamnose are remained comparatively longer than glucose, galactose and arabinose in the mucilage. 4. The hydrolyzed products of mucilage consisted of rhamnose, xylose, arabinose, glucose, gelactose, ribose, some uronic acids and other unknown compounds. 5. The essence of mucilage isolated from the root of Abelmoschus manihot, MEDIC is complex saccharide, glucose and ribose are newly certified. 6. We can guess that the components of the mucilage are rhamnose, xylose, arabinose, glucose, ribose, uronic acids and other unknown compounds.

본(本) 연구(硏究)에서 얻어진 결과(結果)를 결합(綜合)하면 다음과 같다. 1. 황촉규근(黃獨葵根) 점액내(粘液內)에 함유(含有)되어 있는 당류(糖類)는 rhamnose, xylose, arabinose, glucose, galactose 그리고 3종(種)의 uronic acid임을 확인(確認)하고, 점액내(粘液內) 당류(糖類)는 처음에는 시간(時間)의 경과(經過)에 따라 여러 종류(種類)의 당(糖)이 검출(檢出)되나 점차(漸次)로 당(糖)의 종류(種類)는 감소(減少)하고 결국(結局) 완전(完全)히 소실(消失)된다. 당류(糖類)가운데 가장 먼저 검출(檢出)되는 당(糖)은 glucose이고 한편 이것은 가장 먼저 소실(消失)된다. 다음에 검출(檢出)되는 당(糖)은 galactose와 arabinose이다. xylose, rhamnose 등(等)은 비교적(比較的) 장기간(長期間) 검출(檢出)되는 당(精)이며 가장 장시간(長時間) 검출(檢出)되는 당(糖)은 uronic acid 이다. 2. 점질물(粘質物)의 가수분해(加水分解) 생성물(生成物)에서 검출(檢出)되는 당(糖)은 rhamnose, xylose, arabinose, glucose, galactose 그리고 uronic acid 등(等)이고 이 점질물(粘質物)을 여과(濾過)한 여액(濾液)을 가수분해(加水分解)한 생성물(生成物)에서 각각 검출(檢出)되는 당류(糖類)는 rhamnose, xylose, glucose, arabinose, galactose, ribose 등(等)이며 여기에서 $R_f$ 값이 매우 큰 미지(未知)의 물질(物質)이 분리(分離)되었다. 3. 본(本) 연구(硏究)에서 점질물(粘質物)의 본태(本態)가 복합당(複合糖)일 것이라는 종래(從來)의 생각과 동일(同一)한 결과(結果)에 달(達)한 바 있으나 여기에서 점질물(粘質物)의 구성성분(構成成分)으로 glucose, ribose 등(等)이 관여(關與)할 것이라는 새로운 사실(事實)이 관찰(觀察)되었다. glucose는 점액(粘液) 그리고 모든 가수분해(加水分解) 생성물(生成物)에서 분리(分離), 동정(同定)되나 ribose는 점질물(粘質物)을 제거(除去)한 여액(濾液)의 가수분해(加水分解) 생성물(生成物)에서 분리(分離), 동정(同定)되고 약간(若干)의 시일(時日)이 경과(經過)한다 할지라도 동일(同一)한 결과(結果)를 보인다. 또 여기에서 더욱 검토(檢討)하여야 할 미지물질(未知物質)의 존재(存在)도 관찰(觀察)되었다. 4. 따라서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 및 점질물(粘質物)의 구성(構成) 성분(成分)으로 확인(確認)된 당류(糖類)는 rhamnose, xylose, arabinose, galactose, glucose, ribose와 uronic acid 등(等)이며 이밖에 미지(未知)의 물질(物質)도 확인(確認)되었다. 그러므로 점질물(粘質物)의 본태(本態)는 이들이 결합(結合)히여 이루어진 복합당(複合糖)일 것으로 추측(推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