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use embryo

검색결과 472건 처리시간 0.031초

眼前房내에 이식한 생쥐배의 초기발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arly Development of the Mouse Embryo Transplanted in the Anterior Chamber of the Eye)

  • 조완규;김문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5-33
    • /
    • 1972
  • 배아의 발생에 대한 연구는 in vivo 나 in vitro의 방법을 통해 근래 비?적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들의 연구결과에 따르자면, 성분이나 함량 혹은 물리학적 성질이 혈청따위의 체액과는 다른 전방수가 들어차 있는 안전방의 환경은 배아의 발생에 극히 부적당한 곳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실험의 결과를 보면 초기배아의 발생은 극히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런 점에 비추어 우리는 두 가지 가능성을 추론할 수 있다. 첫째는, 배아의 어느 한정된 범위에서는 그의 환경에 쉽게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배아세포가 미분화의 상태에 있다는 점과 대사의 정도가 분화된 다른 세포들에 비해 비교적 낮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들 배아는 안전방내의 환경과 같은 특수한 곳에서도 능히 생존할 수가 있는 것이다. 둘째는, 배아를 받아들인 후 전방수의 특성이 달라질 것이라는 점이다. 토끼에서는 일단 안전방내의 전방수가 유출되고 나면 혈청과 비슷한 체액이 약8시간 동안 안전방내에 형성되고 그뒤 차차로 본래의 전방수로 대치된다. 쥐에서도 이러한 체액이 안전방내에 형성된다면 배아를 받아들인 안전방내의 전방수의 성질이 혈청과 비슷해지므로 배아의 발생이 가능해질 수가 있다. 단지 그러한 체액이 전방수의 유출 후 120시간까지 그대로 남아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문은 그대로 남아있지만 위의 두가지 가능성에 대하여는 배아의 생태나 행동과 관련시켜 앞으로 더 연구해야 할 것이다.

  • PDF

체외생산된 생쥐 배반포기배의 ICM과 Trophectoderm 세포수에 관한 연구 (ICM - Trophectoderm Cell Numbers of Mouse IVF/IVC Blastocysts)

  • 김은영;김선의;엄상준;윤산현;박세필;정길생;임진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3권1호
    • /
    • pp.25-32
    • /
    • 1996
  • 본 연구는 Polynucleotide-specific 형광물질을 이용한 Differential labelling 기법으로 체외수정 후 배양 4일째 생산된 B6CBA Fl 생쥐 배반포의 Total, ICM, Trophectoderm의 세포수를 조사함으로서 생쥐의 착상전 후기 배발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공시 배반포는 과배란처리에 의해 얻어진 난자를 $1{\times}10^6cells/ml$의 정자로 수정시키고, 95시간동안 M16배양액과 $37^{\circ}C$, 5% $CO_2$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여 배반포강의 확대와 투명대 두께의 감소를 기준으로 early, middle, expanded와 hatching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외수정 후 95시간째 배반포 발달율은 86.7%였으며, early, middle, expanded와 hatching으로 16.3%, 18.9%, 10.5%, 40.9% 였다. 2) Bisbenzirnide를 이용한 배반포의 총 세포수는 early, middle, expanded, hatching 각각 $35.6{\pm}10.4$, $49.4{\pm}8.6$, $60.8{\pm}10.7$$62.7{\pm}13.9$를 얻었다. 3) Polynucleotide-specific형광물질을 이용한 Differential labelling으로 배반포 ICM과 Trophectoderm의 세포수를 early, middle, expanded, hatching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ICM세포수는 각각 $9.6{\pm}3.0$, $13.6{\pm}3.9$, $16.0{\pm}3.3$, $19.5{\pm}4.6$개 이었고, Trophectoderm세포수는 $30.6{\pm}5.1$, $39.9{\pm}5.8$, $42.2{\pm}8.1$, $43.7{\pm}11.1$ 개로 나타나 ICM과 Trophectoderm 모두 동일하게 발달의 진행정도에 따라 세포수의 증가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Bisbenzimide와 Differential labelling에서 얻어진 총세포수의 비교에서도 동일하게 발달의 진행정도에 따라 세포수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그와 동시에 세포수도 거의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때, Differential labelling을 이용한 빠르고도 간편한 세포수 계산법은 착상전 후기 배발달을 고찰하는데 유용하며, 배양조건에 따른 Embryo의 Quality를 반영하는 Indicator로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난관수종액이 생쥐 배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uman Hydrosalpingeal Fluid on the Development of Mouse Embryo)

  • 박준철;김정아;김동자;배진곤;김종인;이정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2호
    • /
    • pp.125-134
    • /
    • 2010
  • 목 적: 난관수종액내의 사이토카인 농도를 측정하고, 사이토카인 농도가 다른 난관수종액을 이용하여 생쥐 배아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난관수종액은 자궁난관 조영술에서 난관수종이 진단되어 복강경을 통한 난관 절제술을 시행하는 경우 난관 절제술 전에 난관으로부터 채취한 다음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시킨 후 상층액만을 $-20^{\circ}C$에서 보관하였다. 난관수종액의 사이토카인의 조성 및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interleukin (IL)-$1{\alpha}$, IL-$1{\beta}$, IL-2, IL-4, IL-6, IL-8, IL-10,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feron (IFN)-$\gamma$,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epidermal growth factor (EGF), monocyte chemotactic protein (MCP)-1 등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기본 배양액에 난관수종액을 5%, 10%, 30%의 비율로 첨가하여 각 군별로 배반포로의 발달을 관찰하였다. 결 과: 난관수종액내에서 IL-$1{\alpha}$, IL-$1{\beta}$, IL-2, IL-4, IL-6, IL-8, IL-10, TNF-$\alpha$, IFN-$\gamma$, VEGF, EGF, MCP-1가 검출되었으며, 그 농도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였다. 정상 혈청 농도에 비하여 난관수종액-1은 IL-6, IL-10이 증가되어 있었고, 난관 수종액-2는 IFN-$\gamma$, MCP-1 및 VEGF가 증가되어 있었다. 각 난관수종액의 Th1/Th2 비는 HSF-1의 경우 IFN-$\gamma$:IL-10이 3.69로 정상인 데 비하여 HSF-2의 경우 IFN-$\gamma$:IL-10이 61.14로 크게 증가되어 있었다. 난관수종액을 포함하지 않는 배양액에서는 배반포기 발달률은 76.7%이었고, 난관수종액-1군은 74%로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난관수종액-2군의 경우 27.7%로서 대조군 및 난관수종액-1군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난관수종액-1의 경우 난관수종액 농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난관수종액-2군의 경우 농도에 증가함에 따라 배반포로의 발달이 감소하기는 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 론: 난관수종액마다 사이토카인의 조성이 다르며 이에 따라 생쥐 배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증가된 난관수종액이 배아발달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 특정 사이토카인에 의한 작용을 규명하기는 위해서는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포유동물 생식세포 및 생식기관에서 발현되는 Two-Pore Domain 칼륨 통로 (Two-Pore Domain $K^+$ Channels Expressed in Mammalian Reproductive Cells and Organs)

  • 이효진;한재희;강다원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89-197
    • /
    • 2009
  • Two-pore domain 칼륨($K_{2P}$) 통로는 흥분세포 및 비흥분세포의 안정막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관여한다. 그러나 생식세포 및 생식기관에서 발현되는 $K_{2P}$ 통로의 분포영역 및 그 기능에 대해서는 연구자들에 의해 아직 정리되지 못하였다. 본 종설에서는 $K_{2P}$ 통로의 생식세포 및 생식기관에서 발현, 분포 및 생리학적 의의를 논하였다. $K_{2P}$ 통로는 인간 영양막세포, 자궁근층, 태반혈관계, 자궁평활근조직, 태반융모조직 및 임신자궁조직에서 발현되어 임신에 있어서 관련성을 제시되었다. 또한, $K_{2P}$ 통로는 마우스 전핵배, 원숭이 정자 및 한우의 난소, 정소, 난자, 정자 및 수정란에서 발현 변화를 보였다. 특히, $K_{2P}$ 통로는 체외배양 시 변화되는 온도, 산소분압과 같은 배양조건에 의해 조절되는 특징을 보임으로써 수정 및 배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로 제시되었다. 그리고 $K_{2P}$ 통로는 과산화수소에 의해 유도된 마우스 전핵배의 세포 사멸에 있어서 칼륨 이온의 유출에 관여함이 확인되었다. $K_{2P}$ 통로의 생식세포 및 생식기관 내 발현 형태와 생리학적 특징은 생식생리학에 있어서 이온 통로 관련 기능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냉각 후 배양시간이 생쥐 난자의 방추체와 염색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cubation Time after Cooling on the Meiotic Spindle and Chromosomes of Mouse Oocytes)

  • 유일정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83-289
    • /
    • 2004
  • 동결 과정 중 필수적인 단계중 하나인 냉각(cooling)과 냉각 후 배양시간이 생쥐 난자의 방추체의 형태와 염색체의 배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서 냉각 후 손상되었던 난자의 방추체와 염색체가 정상적으로 회복하는데 필요한 최적의 배양시간을 알아보기 위해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생후 4-6주령의 암컷 B6C3Fl 생쥐를 과배란 처리하여 metaphase II상태의 난자를 회수하여 다음과 같이 처리하였다. 대조군은 난자를 냉각처리하지 않았으며 실험군은 난자를 $0^{\circ}C$에서 30분간 냉각한 후 37$^{\circ}C$에서 가온하여 즉시 일부 난자는 면역형광 염색을 실시하고 나머지 난자는 5% $CO_2$ 37$^{\circ}C$가 유지된 배양기내에서 Ml6 배지에 각각 5분, 15분, 30분, 60분, 120분간 배양한 후 면역 형광염색을 실시하였다. 난자의 방추체와 염색체를 평가하기 위한 면역형광염색은 Zenes 등의 방법(2001)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냉각처리하지 않은 생쥐 난자를 면역형광 염색하여 방추체와 염색체를 관찰한 결과 생쥐 metaphase II 상태의 난자는 대칭성의 원통모양의 방추체 형태를 보였으며 염색체는 metaphase plate위에 분리된 다발모양으로 밀집되어 보였다. 냉각 직후 미세관의 소실에 의한 방추체 형태의 이상과 형광성의 소실이 나타났으며 염색체는 다발모양의 밀집된 형상에서 벗어나 비정상적인 배열상을 보였다. 냉각 처리된 난자를 37$^{\circ}C$에서 가온하고 배양하였을 때 미세관의 재중합이 일어나 미세관의 형광성을 회복하기 시작하였고 방추체는 정상적인 배열상으로 회복되었다. 생쥐 난자를 냉각처리한 후 배양시간에 따른 방추체 미세관의 형광성(FIS), 염색체의 배열, 방추체의 형태를 비교하였다. 배양 5분에서 60분까지 FIS, 정상 염색체 배열을 보인 난자의 비율, 정상 방추체의 형태를 보인 난자의 비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나 120분 배양에서는 감소하였다(P<0.05). 위의 세 가지 평가를 기준으로 하여 냉각 후 난자의 회복율을 관찰하였을 때 배양 60분에서 최상의 회복율을 나타냈다.

NO(Nitric Oxide)가 생쥐의 배 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itric Oxide on the Embryonal Development in Mouse)

  • 민부기;김기석;이희섭;홍기연;신형도;성연경;김형민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5권2호
    • /
    • pp.109-113
    • /
    • 1998
  • Objective: To ananlyze the direct effect of nitric oxide (NO), generated from sodium prusside (SNP) on the embryo developments in reproductive process. Design: Ova from mouse were treated to allow fertilization in in vitro culture. And the samples of fertilized ova were alloted into five alliqutos. Each alliquot was cultured in media treated with either concentration at 0 (n=92), $25{\mu}M$ (n=84), $50{\mu}M$ (n=80), $100{\mu}M$ (n=77), $500{\mu}M$ (n=54) of SNP. Main Outcome Measure: Rates of embryonal cell cleavages, viability and cell morphology were assessed during in vitro fertilization and culture. Results: As analyse the cell cleavage at 24 hours after in vitro culture of fertilised egg in variuos NO concentration, all of egg cells of each alliquot were developed to $2\sim4$ cell stage. But the alliquot of egg cells treated with $50{\mu}M$, which were totally degenerated. And also all embryonal cells of each alliquot were developed to 8 cell stage and morula stage on culture continuosly. And the embryonal cells of each alliquot were analysed at 24 and 48 hours following the in vitro culture. The rates of cell fragmentation and fusion were $4.2{\pm}3.4%$ in control group which is not treated with NO, while experimental groups was high, as rated $23.4{\pm}6.2%$ in $25{\mu}M$, $28.2{\pm}5.7%$ in $50{\mu}M$ and $32.1{\pm}6.4%$ in $100{\mu}M$ concentration of NO. Accordingly the rate of abnormal morphology of embryonal cell in control was lower significantly than that in each alliquot of experimental groups (p<0.05). And the degenerated rates of embryonal cells were 0% in control, $17.8{\pm}6.7%$ in $25{\mu}M$, $23.6{\pm}4.7%$ in $50{\mu}M$ and $26.8{\pm}11.2%$ in $100{\mu}M$ at 8 cells and morula on culture of 48 and 72 hours. On the examination of embryonal cells developed to blastocyst through in vitro culture, the rates of degenerated cells were $16.8{\pm}7.2%$ in control, $37.5{\pm}6.2%$ in $25{\mu}M$, $73.4{\pm}4.6%$ in $50{\mu}M$, 100% in $100{\mu}M$. Conclusion: This results suggeted that the NO in any concentrations is harmful on embryos in view of morphology as well as viability of cell, and the toxicity of NO on embryo is stronger at condition in higher concentration of NO.

  • PDF

초급속 동결보존한 체외수정란 유래의 형질전환 마우스 생산효율성 검토 (Production of Transgenic Animals derived from In Vitro Fertilized Eggs cryopreserved by Ultrarapid Freezing)

  • 김현;최창용;성환후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07-211
    • /
    • 2015
  • 미세주입법에 의한 형질전환 마우스 제작에는 대량의 전핵기란을 필요로 한다. 본 실험에서는 심플한 형질전환 마우스 제작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초급속 동결한 전핵기란을 공시했다. 초급속 동결법으로 동결한 전핵기 체외수정란 139개를 융해 후 공시하고, ${\beta}-actin/luc^+$ 융합유전자를 미세주입하였다. 주입 조작 후, 형태학적으로 정상적인 수정란 101개(72.6%)를 5마리의 수란암컷 마우스에 이식하였다. 그 결과, 이식한 모든 마우스가 임신하고, 최종적으로 15마리(14.8%)의 산자가 태어났다. 한편, 450개의 체외수정란에 대해 동일한 배아조작 후에 338개(75.1%)가 생존하고 14마리의 수란암컷 마우스에 이식 하였다. 그 중에 78%의 수정암컷 마우스가 임신하고, 54마리(19.1%)의 산자가 태어났다. 태어난 산자에 대해서는 southern blot 법에 의해 염색체 내의 도입유전자의 도입을 확인한 결과, 동결수정란 처리구와 체외수정란구에서 각각 6.6%(1/15), 5.5% (3/54)의 마우스에서 도입유전자의 도입이 확인되었다. 더욱이 두 처리구 전부의 형질전환 마우스의 미부조직에서 도입유전자인 루시페라제 유전자의 발현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해 체외수정란 초급속 동결보존법을 사용한 Tg 마우스 제작방법의 확립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실험기간의 단축과 작업의 간소화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사료된다.

EDTA가 생쥐 분리할구의 체외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DTA on the In Vitro Development of Isolated Mouse Blastomeres)

  • 곽대오;김선구;김영수;박충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5-82
    • /
    • 1993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DTA on the in vitro development of blastomeres isolated from 2, 4, and 8-cell embryos(termed 1 /2, 1 /4 and 1 /8 blastomeres, respectively) of ICR strain mice, those were cultured in vitro in 35 mm culture dishes containing NaHCO$_3$-BMOC-3 medium supplemented with 10, 50, 100, or 500 $\mu$M of EDTA at 37$^{\circ}C$ for 72hrs. under the atmosphere of 5% $CO_2$and 95% air. EDTA supplementation of 10, 50, or 100 $\mu$M to medium significantly(P<0.01) increased blastocyst formation rate compared with controls in 1 /2(58.3, 63.7, and 61.3% vs 21.6%), 1 /4(54.7, 57.5 and 62.2% vs. 2L3%), and 1 /8 blastomeres(46.2, 48.7, and 57.7% vs. 19.1%). Whereas, it was significantly(P<0.01) decreased to 4.5, 2.3, and 2.0% for 1 /2, 1 /4 and 1 /8 blastomeres, respectively by the EDTA supplementation of 500 M Both the nuclear number(P<0.05) and diameter of blastocysts(P<0.01) developed from balstomer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origin of blastomeres. The nuclear number of blastocysrs developed from 1/2, 1/4, and 1/8 blastomeres ranged 28.3i1.3, 24.18i1.2, and 19.84$\pm$0.9, respectively. And the diameter of those blastocysts was 87.2$\pm$1.1, 56.4$\pm$0.9, and 39.2$\geq$0.8 $\mu$M, respectively.

  • PDF

체액이 초기배의 발생생리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I. 생쥐 1- 및 2-세포배의 체외발생에서 배양액과 단백질원의 효과 (Studies on the Effects of Body Fluids on the Developmental Physiology of Early Preimplantation Embryos. I. Effect of Serum on In Vitro Development of 1- and 2-Cell Mouse Embryos)

  • 정구민;임경순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3-40
    • /
    • 1991
  • In vitro developmental ability of early preimplantation monse embryos was shown to be depend on the embryonic stages, media and snpplements and their interaction(Experiment 1). The development of I-cell embryos were more promoted in the complex medinm(Ham's Fl0) than in the simple one(m-KRB), but that of 2-cell embryos showed the reverse effect. The bovine serum albumin(BSA) as a medium snpplement more promoted the development of I- and 2-cell embryos, compared with human fetal cord serum(HCS). On the other hand, the harmful effect of HCS was especially shown on the early cleavage in the embryonic development of the two stages. The effect of serum, in the respect of interaction between media and snpplements. was also more significantly appeared in m-KRB than Ham's Fl0. In the experiment 2, when the harmful effect of HCS was compared with that of fetal bovine serum(FBS), the former more promoted the development of l - and 2-cell embryos than the latter. The effect of HCS was more significantly shown in the development of I-cell than that of 2-cell embryos. Conclusively, as I- and 2-cell embryos were different in the requirements for the in vitro development. the optimal medium and supplement have to be selected for each embryonic stage. It is also respected to the better result if it take into consideration into the kinds of sera when serum is used for culture of early preimplantation embryos.

  • PDF

Isolation of Putative in vivo Hoxc8 Downstream Target Genes Using ChIP-Cloning Method

  • ;;김명희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7-53
    • /
    • 2008
  • Hox genes are known to be transcription factors controlling vertebrate pattern formation along the anteroposterior body axis by regulating many target gene expressions during vertebrate embryogenesis. In order to isolate in vivo Hox responsive target genes, ChIP-cloning technique has been applied using Hoxc8 antibody. Here murine embryo of day 11.5 post coitum (E11.5) highly expressing Hoxc8 gene was used after removing head and tail portions where Hoxc8 is rarely expressing. After fixation with formaldehyde, the chromatin DNAs harboring bound proteins were isolated. After sonication, about 0.5- to 1 Kb chromatin DNAs were immunoprecipitated with anti Hoxc8 antibody. After removing the bound proteins with proteinase K, DNAs were isolated, cloned into the pBluescsript II SK vector, and then sequenced. Total 33 random clones sequenced were anlalyzed to be located at 12 different genomic regions. Among these, 8 turned out to be introns and 4 were intergenic regions localized in random chromosomes. The base composition of total cloned genomic sequences (6608 bp) were AT-rich, i.e., 40% GC. When the Hoxc8 core binding sites, such as TAAT, ATTA, TTAT, and ATAA were analyzed total number of 55, 45, 54, and 55 were found, respectively, which are than twice as many as expected number of 26. Although this in silico analysis does not mean that the ChIP-cloned sequence is real Hoxc8 regulatory element in vivo, these results strongly imply that the DNA fragments cloned through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ould be very much likely the putative Hoxc8 downstream target gen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