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untain herb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5초

칠곡 동영 약초원 인근 산지의 국지 기후 환경 관측 연구 (Observational Study on Local Climatological Environment of the Mountain Adjacent the Dongyeong Herb Garden in Chilgok)

  • 김학윤;최서환;김해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897-904
    • /
    • 2016
  • We investigated the local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untain adjacent the Dongyeong herb garden in Chilgok. We established one set of automatic weather system (AWS) on a hill where development of herb garden is in progress. The observations were continued for 2 years(2013. 07-2015.06).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observed data comparing the data of Gumi meteorological observatory (GMO).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ir temperature(relative humidity) of Dongyeong herb garden were lower(higher) than those of GMO. Especially the differences are more during warm climate season. It means that the gaps of thermal environment between two points are mainly caused by the evaporation effects of forest. In addition, we analyzed the warmth indices(warmth index and coldness index) with the observed air temperature. The warmth and coldness indices indicate about 107 and -12, respectively. The values correspond to warm temperature climate.

Trp-P-1과 2-AF에 대한 산채류 생즙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s of the Edible Mountain Herb Juices Against Trp-P-1 and 2-AF)

  • 한규석;함승시;정의호;이해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61-168
    • /
    • 1992
  •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 두 균주를 이용한 Ames Assay를 실시하여 신채류 생즙의 돌연변이원성과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돌연변이 유발물질로는 Trp-P-1과 2-AF가 사용되었다. 쑥, 들미나라, 두릅, 돌나물 및 도라지의 생즙은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산채류 생즙의 항돌연변이원성 효과는 쑥, 들미나리, 두릅이 가장 강하였으며 다음은 돌나물이었고, 도라지는 거의 항돌연변이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TA98과 TA100을 이용한 실험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돌연변이 물질로 Trp-P-1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가 2-AF를 사용한 실험결과에 비하여 돌연변이 억제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

  • PDF

임암산 한약자원식물의 개발 및 이용체계 관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on Development of Medical Wild Plant Resources in Mt. EB- AM)

  • 윤의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59-278
    • /
    • 1989
  • 입암산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한약자원식물을 채집 분류하여 이용체계 확립의 수단으로 삼고자, 이 지역의 약용식물의 종류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입암산에 분포되어 있는 한약자원 식물은 100 과, 252 속, 337 종이었다. 2. 분석수종중 초본류는 59 과, 169 속, 220 종, 목본류는 50 과, 85 속, 117 종이었다. 3. 초본류는 주으로 전초를 사용하며 수본류는 기, 수피 및 과실을 주로 약용으로 이용하는 것이 많았다.

  • PDF

산채혼합음료에 대한 감마선 조사의 선도유지효과 (Effect of Irradiation on the Quality of Mixed Mountain Edible Herb Drinks)

  • 오덕환;함승시;이상영;박부길;정차권;강일준;공영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8-54
    • /
    • 1999
  • The effect of irradiation of heat treatment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 on the shelf-life of mixed mountain edible herb drinks (MMEHD) was investigated during storage. The MMEHD made from fresh Spuriopinella bracycarpar, Ligularia fischeri and Aster scaber was gamma -irradiated at doses of 0.1 kGy to 1 kGy. Microbial population, color change, vitamin C content, and sensory quality were evaluated during storage at 4, 25 and 35oC. Heated MMEHD induced the growth of total counts, mold and yeast as compared to the non-heated MMEHD. While some reduction in the microbial growth was observed in 1kGy-irradiated groups of both with or without heating. In both groups, L and b values decreased, but a value increased during storage. Also, heating drinks showed increased L and b values and reduced a value, compared to the non-heating drinks. Non-heated drinks showed 82% loss of vitamin C, whereas 25% loss of vitamin C was occurred in the irradiated drinks during storage at 4oC for 4days. In the meanwhile, non-irradiated heating drinks showed 99% loss of vitamin C, but irradiated heating drinks showed 58-65% reduction of vitamin C. Non-irradiated drinks without heating showed more bright color than irradiated ones, but irradiated drinks showed more enhanced brightness during storage. Also, irradiated drinks showed better falvor, sensory quality, and overall acceptability than non-irradiated drinks.

  • PDF

산채류를 이용한 양조간장의 제조 및 특성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Soy Sauce from Mountain Herbs)

  • 강일준;함승시;정차권;이상영;오덕환;도재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203-1210
    • /
    • 1999
  • 더덕, 곰취, 컴프리를 사용하여, 총질소함량을 기준으로 소맥대신 이들 산채류를 일정비율로 대체하여 더덕 및 산채혼합 간장을 제조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제조된 간장의 총 질소함량은 일반적으로 산채 대체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숙성 4개월 후의 무기질 함량에 있어 더덕 20% 대체간장은 Ca, K 함량이 각각 1.3배, 1.5배의 증가율을 나타내었으며, 산채혼합 10% 대체간장도 Ca 함량이 1.5배 증가하였다. 대체량 별로 아미노산 함량 변화를 살펴보면 더덕간장 10% 대체군의 경우 threonine과 aspartic acid가, 산채혼합 10% 대체군은 tyrosine과 arginine이 높은 증가율를 나타내었다. Rec assay system을 이용한 항돌연변이 시험에서, 더덕간장은 10%와 20% 대체군이, 산채혼합 간장은 7%와 10% 대체군이 다른 시료에 비해 높은 항돌연변이성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 기호도에 있어 더덕간장은 7% 대체군, 산채혼합 간장은 5% 대체군이 가장 우수하였다.

  • PDF

한라산 구상나무림의 사면별 식생구조와 치수발생 특성 (Vegetation Structure at the Slop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 of Seedlings of Abies koreana in Hallasan Mountain)

  • 송국만;강영제;현화자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9-46
    • /
    • 2014
  • This study surveyed Abies koreana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its vegetation structure according to its slope direction and seedling establishment in a bid to build basic research data on the changes and conservation of the A. koreana in Hallasan Mountain. The findings of its vegetation structure revealed that in both areas, Importance value was given to the A. koreana for its tree layer, the Taxus cuspidata for its shrub layer, and the Sasa quelpaertensis for its herb layer. However, in the Youngsil area with the tree layer, high importance was given to deciduous broad-leaved trees such as Prunus maximowiczii, Quercus mongolica, and the young species of the A. koreana in the shrub layer that can maintain the A. koreana forest's greater importance in the Jindallebat than in the Youngsil. Thus, the A. koreana forest in the Jindallebat is believed to lastlonger. The findings of correlation between the quantity of seedlings and their location by area revealed that in each tiny quadrat, the A. koreana seedling averaged 5.3 in the Youngsil and 2.9 in the Jindallebat. Both areas were all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in terms of rock exposure ratio and dead tree ratio as well 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regard to the cover degree of S. quelpaertensis, the canopy gap, the total vegetation, and the herb layer. It was found that the cover degree of the herb layer in the Youngsil and the S. quelpaertensis in the Jindallebat had the largest impact on the A. koreana seedlings.

꾸지뽕-콤부차가 인체 폐세포 및 폐암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Proliferation of Human Lung Cells induced by Fermented Silkworm thorn Fruits Based Kombucha)

  • 조미애;김범정;최호칠;이창무;송경주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49-49
    • /
    • 2023
  • 본 실험은 콤부차의 발효시 에너지원으로 첨가되는 당(sucrose) 대신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Bureau; silkworm thorn) 과일 발효액을 첨가하여 꾸지뽕-콤부차의 기능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대조구인 콤부차는 끓여서 식힌 물 900mL에 홍차 2.4g을 넣어 한시간 동안 추출한 후 초기당도가 10°Bx가 되도록 sucrose를 첨가하였고, 처리구는 sucrose대신 꾸지뽕 과일 무게 대 sucrose의 비율을 1 대 0.9의 비율로 조제하여 발효시킨 꾸지뽕 발효액(당도 50°Bx)을 10°Bx가 되도록 희석하여 첨가하였다. 여기에 발효균인 SCOBY를 첨가한 후 실온에 3주간 보관하면서 1주일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총폴리페놀성 화합물 및 카테킨류 함량, 항산화 활성 및 인체 정상 폐세포주인 MRC-5와 폐암세포주인 A549의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발효 3주 동안 채취한 꾸지뽕-콤부차를 MRC-5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발효 2주까지는 꾸지뽕-콤부차가 대조구에 비해 약 10~30% 세포 증식효과를 보였고 발표 3주째에는 유사한 증식효과를 보였다. 폐암세포주 A549에 처리시에는 발효 2주째 대조구에 비해 낮은 증식율을 보였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이 결과는 꾸지뽕-콤부차가 인체 폐세포 증식을 촉진하나 폐암세포의 증식을 크게 억제하지는 않음을 의미한다. 총폴리페놀성화합물 함량은 대조구의 경우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반면 꾸지뽕-콤부차는 조제직후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이다 서서히 감소하였는데 발효 2주째 대조구와 유사한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3주째에는 대조구에 비해 낮은 함량을 보였다. 카테킨류(Epigallocatechin, Epigallocatechin gallate, 그리고 Epicatechin gallate, epicatechin)는 총 페놀성화합물과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는데, 발표 2주까지는 꾸지뽕-콤부차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가 발표 3주째 크게 낮아졌다. 활성산소 제거능은 발효 2주째까지는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나 3주째 유의적으로 높아져 꾸지뽕-콤부차의 항산화활성은 카테킨류 함량에 비례함을 알 수 있었다. 기능성분 함량과 MRC-5 증식에 관한 상관분석시 총풀리페놀함량이 세포증식에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전남지역 한약자원식물 수집분류 및 이용체계에 관한 연구 |. 모후산 한약자원 식물분포조사 (A Study on the Herb plant Resources in Mohu Mountain I. Investigation of the Herb plant Resources around Mt. Mohu)

  • 이종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3-32
    • /
    • 1988
  • 전남지역에서 3대 명산중의 하나인 모후산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한약자원식물을 수집 및 분류하여 약용작물로 재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이 지역의 한약자원 식물의 분류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bullet$ 모후산에 분포되어 있는 한약자원 식물은 58과 230종으로 분류되었다. $\bullet$ 분류수종중 초본류는 질경이, 차조기, 쇠무릎, 우엉, 사삼, 반하, 하수오, 결명자, 용담초, 맥문동, 하고초, 산삼, 도라지, 둥글레, 참마, 칡, 대계등 17종과 대본류는 인동초, 참으아리, 방기, 목퉁, 엄나무, 구기자, 산수유, 밤나무, 매화, 인진호, 희첨, 지유, 초오등 13종이 한약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것들이었다.

  • PDF

산채류(山菜類) 가열즙(加熱汁)의 돌연변이 억제 작용에 관(關)한 연구(硏究) (Desmutagenic Activity of Heated Mountain Herb Juices)

  • 함승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1호
    • /
    • pp.38-45
    • /
    • 1988
  • 10종류(種類)의 산채류가열즙(山菜類加熱汁)에 대한 돌연변이원성(突然變異原性)을 Spore rec-assay, Ames test 그리고 DNA 절단실험(切斷實驗)으로 검토(檢討)하였으며 가열즙(加熱汁)의 조제(調製)는 $100^{\circ}C$에서 20분간 가열하여 가열즙(加熱汁)을 얻었다. Spore rec-assay 결과 10종류(種類)의 시료(試料)모두 변이원성(變異原性)은 없었으며 금속이온의 영향에서 소리쟁이가열즙은 $Pb^{2+}$, 곰취와 참나물가열즙의 경우는 $Zn^{2+}$의 존재하에서 변이원성을 나타내었다. Ames 시험과 DNA 절단시험에서도 시료모두 변이원성은 없었으며 DNA 절단(切斷)시험에서는 곰취, 머위, 잔대, 개미취가열즙의 경우는 25mM $Cu^{2+}$ 공존하에서 절단활성(切斷活性)이 촉진되었다. 그러나 두릅, 원추리, 잔대, 참나물 그리고 참취가열즙(加熱汁)은 $Fe^{2+}$의 공존시 DNA 절단활성(切斷活性)을 억제(抑制)시키는 결과(結果)를 얻었다. Benzo${\alpha}$pyrene에 대한 돌연변이(突然變異) 억제작용(抑制作用)에서는 시료(試料) 모두 농도증가(濃度增加)에 따라 강(强)한 변이원(變異原) 억제작용(抑制作用)을 나타내었다.

  • PDF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한 등산로 훼손요인 분석: 고루포기산~생계령 대상으로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iking Trails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cus on Golupogisan~Saenggyelyeong)

  • 최태헌;김준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4호
    • /
    • pp.478-48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백두대간 등산로 훼손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환경요인을 선정하고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백두대간 고루포기산~생계령 구간 내 표본지 총 123개소이며 등산로 훼손, 임상, 하층식생, 수관밀도와 FGIS를 통해 얻은 경사, 토성, 암석노출 총 7가지 정보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등산로 훼손 발생지 43곳과 미발생지 80곳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등산로 훼손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환경요인으로 경사도, 하층식생, 토성, 암석노출 총 4가지를 선정하였다. 경사도와 하층식생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암석노출은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토성은 미사 비율이 낮고 모래 비율이 높은 토성일수록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등산로 훼손을 줄이기 위해서는 경사도, 하층식생, 토성, 암석노출 4가지 자연환경요인들을 적절하게 관리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