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tling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2초

감자바이러스 Y 계통분류를 위한 판별 식물 (Classification of Potato Virus Y Strains based on Reactions of Differential Plants)

  • 박은경;최장경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03-208
    • /
    • 1984
  • 잎담배 4품종 (NC2326, NC95, NC744, Havana)과 2종의 식물 (Nicotiana repanda Wild., Physalis floridana Rydb.)을 이용하여 감자 또는 잎담배에서 분리된 10가지의 감자바이러스 Y (PVY) 계통 판별을 시도하였다. 10가지의 PVY 계통들을 이 식물들에 접종했을 때 괴저, 엽맥녹대 또는 mottling, 무병징등을 나타내면서 서로 다른 기주반응을 보여 쉽게 구분할 수 있었다. 조사된 계통들 중에 PVY-VN, PVY-N, PVY-NSNR, PVY-Chile 및 PVY-Argentina 등은 잎담배 품종 NC2326에서 괴저병징을 나타냈으며 이외 계통들은 엽맥녹대 또는 mottling 병징을 나타냈다. NC95에서는 PVY-MSMR에 의해 괴저병징을 이 외 계통들에 의해서는 엽맥녹대 또는 mottling 병징을 나타냈다. Havana에서는 PVY-NSNR, PVY-MSNR, PVY-VB 등에 의해 nettling 병징을, PVY-Chile 및 PVY-Argentina에 의해 괴저병징을 나타냈으나 이 외의 계통들에 의해서는 병징이 나타나지 않았다. NC744에서는 PVY-MSNR, PVY-MSMR에 의해 mottling 병징을, PVY-Chi 및 PVY-Argentina에 의해 괴저병징을 나타냈으며 이 외의 계통들에 의해서는 병징을 나타내지 않았다. N. repanda에서는 PVY-Argentina에 의해 괴저 반응을, PVY-VN 및 PVY-C에 의해서는 병징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 외의 계통들에 의해서는 mottling 병징을 나타냈다.

  • PDF

코팅컬러의 안료 및 바인더가 인쇄 모틀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igment and binder of coating color on print mottle)

  • 하경옥;윤종태;구철희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3-94
    • /
    • 2000
  • The mottling in coated paper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problems to solve in the area of offset printing. The prevention of mottling requires optimization of coating color formation, especially the minimum of binder migration. In this paper, we studied a mottling. Kaolin clay and CaCO3 as pigment, starch and latex as binder of coating color were used in this study. We have measured surface property of 24 coated samples through k value, mottle value and transferred ink. In the equation of Walker and Fesko, the value of k was the highest and that of mottle and the mount of transferred ink were the lowest in kaolin 60 part. And it is more easy to analyze the various surface of coated paper when sample was exposed on IR.

  • PDF

인쇄 모틀의 방지를 위한 제지도공 기술개발 (제3보)-도공량 변이에 따른 잉크 흡수성 평가 및 인쇄 모틀 예측 - (Development of Paper Coating Technologies to Prevent Print Mottle (III)-Evaluation of Ink Absorption Properties of Coated Papers and Prediction of Print Mottle-)

  • 이학래;신동소;전준경
    • 펄프종이기술
    • /
    • 제29권3호
    • /
    • pp.60-68
    • /
    • 1997
  • To develop paper coating technology for preventing print mottling, which is recognized as the most common printing problems in using coated papers, ink absorption properties of various coated papers were examined by employing K 8T N and Croda ink absorption tests. The influences of pigment compositions, coat weights and drying methods on these ink absorption properties were examined, and then the variations of ink absorption ratio were analyzed and discussed. It is demonstrated that the variation of Croda ink absorption ratio induced by coat weight variation can be utilized most succesfully to predict print mottling propensity of coating formulations. A systematic analysis approach was suggested that can be employed in the development of the most desirable coating color formulation to achieve target optical properties with the least print mottling.

  • PDF

대두모자이크바이러스에 의한 결협절위별 갈반립의 형성과 바이러의 종자전염 (The Relation of Soybean Seedcoat Mottling with Podding Location and Seed Transmissibility in Soybean Mosaic Virus)

  • Oh, Jeung-Hai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0-284
    • /
    • 1984
  • 콩모자이크 바이러스(SMV)에 의한 갈반립의 형성율과 SMV의 종자전염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두품종 Clark, Woodworth, 북해1호를 재료로 SMV 이병정도와 갈반립율 결협절위 및 갈반립형성등의 관계를 조사하고 그 갈반립을 통한 SMV의 종자전염율을 면역이중확산법과 유묘감염률로 조사하였다. 1. 갈반립의 형성율은 식물체의 이병정도와 정비례적인 상관(r=0.796)을 보였다. 2. 이병식물체의 갈반립형성은 결협절립 및 협중종실위치와 유의상관이 없었으며 (r=0.34), 동일절위 및 협내에서도 갈반립과 비갈반립이 함께 형성되었다. 3. 면역이중확산법으로 조사한 SMV의 종자전염율은 4.2 -33.3%로 비교적 낮았으며 품종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4. 유묘에 나타난 SMV 증상으로 조사한 종자전염율은 면역이중확산법으로 검정한 종자감염율보다 약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항혈청의 역가 또는 Virus의 체내증식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5. 이병직물의 갈반립은 SMV 종자전염율과 일치하지는 않으나 SMV의 포장이병율 추정에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으며 파종시 갈반립의 제거는 SMV 전염원의 감소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 PDF

간실질(肝實質) 병변(病變)에 대(對)한 간주사(肝走査) (Hepatoscintigram with $^{198}Au$ colloid)의 진단적(診斷的) 가치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Diagnostic Significance of Hepatoscintigram with Colloidal Gold in Parenchymal Liver Disease)

  • 신동호;이민호;김목현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3-72
    • /
    • 1982
  • Hepatoscintigram has been a useful diagnostic method for the liver diseases since 1953, but reasonable diagnostic criteria for parenchymal liver diseases are not yet accurately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searching for more advanced diagnostic criteria for various types of live disease by the liver scan, a retrospective study was made of 272 cases who underwent both hepatoscintigram with 198 Au colloid and liver biopsy in Hanyna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 1978 to Dec., 198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uzzy margin (irregular indentation of the liver margin) in the hepatoscintigram was noted in 226 cases (97.79%). 2. Of 35 cases with fuzzy margin only, 28 cases (80%) revealed mild parenchymal liver disease, such as acute hepatitis or chronic persistent hepatitis by the liver biopsy. 3. Mottling change (209 cases) was always accompanied by fuzzy margin except only one case, and 31 cases (86.1%) of fuzzy and mottling cases (36 cases) showed mild parenchymal liver disease. 4. Configuration change (193 cases) was usually accompanied with other changes and espicially 104 cases had configuration change with fuzzy and mottling changes. 73 cases (88.44%) of 86 cases with severe configuration change revealed advanced parenchymal liver disease on biopsy. If liver scan showed mild configuration change, we could not decide the type of liver disease only liver scan, and so further studies are needed. 5. Splenic uptake was noted in 34 cases (40.48%) of 84 cases with advanced parenchymal liver disease, and the degree of splenic uptake was for the most part morderate or severe; whereas splenic uptake was noted in 18 cases (16.51%) of the mild parenchymal liver disease (109 cases), and the degree of splenic uptake was largely mild.

  • PDF

Production of Heavy Gauged HY-GALUME in Hyundai HYSCO

  • Park, S.J.;Koh, H.S.;Kim, J.G.;Moon, M.B.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0권5호
    • /
    • pp.157-161
    • /
    • 2011
  • HY-Galume is a brand name of 55%Al-Zn coated steel sheets produced by Hyundai HYSCO. Heavy gauged HY-Galume having thickness around 2 millimeters is used as a steel casing for the electrical distribution panel in the construction market. It requires a strict surface quality because it is used indoors. In this paper, several troubleshooting experiences in producing heavy gauged HY-Galume are proposed.

대두위축병원 바이러스에 관한 연구 (An infectious virus isolated from soybeans)

  • 이순형;이민효;회원비여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5-179
    • /
    • 1980
  • 수원근교의 대두포장에서 채집한 자연발병된 이병주로부터 대두위축병원바이러스가 되었다. 이 바이러스에 이병된 대두의 병징은 Crinkling, 약한 Mottling 및 품종에 따라서 심한 위축증상을 나타내었다. 분리된 대두위축병원바이러스를 지표식물에 즙액접종한 결과 명아주(Chenopodium amaranticolor), 명아주(C. quinoa), 동부(Vigna sinensis)에서는 국부병반이 나타났고 담배(Bright yellow), 담배(KY-57)에서는 모자익병징이 나타났다. 이 바이러스의 물리적 성질은 내열성이 60C, 내희석성이 $10^3$으로 나타났으며 내보존성은 3일이었다. 충매전염시험결과 복숭아혹진딧물은 이 바이러스를 비교적 쉽게 전염시켰다. 또한 이 바이러스는 혈청학적으로 오이모자익바이러스와 밀접한 관계를 가졌으며 전자현미경에서 바이러스의 검경결과 오이모자익바이러스와 같은 형태의 입자가 관찰되었다.

  • PDF

한국 잎담배에서 분리된 PVY계통 (Two New PVY Strains Isolated from Tobacco Plant in Korea)

  • 박은경;김종진;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09-214
    • /
    • 1984
  • 1980년도부터 우리나라 Burley 종 잎담배산지에서 엽맥에 녹대병상 또는 괴저증상을 나타내는 새로운 병징이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기주범위조사, 항혈청반응, 물리적성질조사, 복숭아혹진딧물에 의한 전염여부 및 바이러스 입자 관찰을 통해 이들은 서로 병징을 달리하는 PYY의 두가지 계통으로 밝혀졌다. 이 계통들은 잎담배포장에서 자연감염에 의해 나타난 주요병징에 따라 엽맥연대계통 (PVY-VB)과 엽맥괴저계통 (PVY-VN) 으로 명명하였다. PVY 항혈청과 이 계통들의 이병즙액을 반응시킨 결과 양성반응을 나타냈으며 그 반응에서는 두계통간의 차가 없었다. 이들과 병징이 유사한 tobacco etch virus 및 tobacco vein mottling virus 항혈청과의 반응에서는 음성반응을 나타냈다. 전자현미경에 의해 약 730 nm의 사상형 바이러스 입자가 관찰되었으며 그 형태와 크기에는 두 계통간 차가 없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the in vitro Activities of the P1 and Helper Component Proteases of Soybean mosaic virus Strain G2 and Tobacco vein mottling virus

  • Lim, Hyoun-Sub;Jang, Chan-Yong;Nam, Ji-Ryun;Li, Meijia;Hong, Jin-Sung;Bae, Han-Hong;Ju, Ho-Jong;Kim, Hong-Gi;Ford, Richard E.;Domier, Leslie 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8권2호
    • /
    • pp.197-201
    • /
    • 2012
  • Potyviruses express their RNA genomes through the production of polyproteins that are processed in host cells by three virus-encoded proteases. Soybean plants produce large amounts of protease inhibitors during seed development and in response to wounding that could affect the activities of these proteases. The in vitro activities of two of the proteases of Soybean mosaic virus (SMV) and Tobacco vein mottling virus (TVMV) were compared in the rabbit reticulocyte lysate in vitro translation system using synthetic RNA transcripts. Transcripts produced from SMV and TVMV cDNAs that included the P1 and helper component-protease (HC-Pro) coding regions directed synthesis of protein products that were only partially processed. Unprocessed poly-proteins were not detected from transcripts that included all of the P1, HC-Pro, P3 and portions of the cylindrical inclusion protein coding regions of either virus. Addition of soybean trypsin inhibitor to in vitro translation reactions increased the accumulation of the unprocessed polyprotein from TVMV transcripts, but did not alter the patterns of proteins produced from SMV. These experiments suggest that SMV-and TVMV-encoded proteases are differentially sensitive to protease inhibitors.

한국 대두 바이러스의 분류, 동정에 관한 연구 I. 일종의 대두 바이러스의 분류, 동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Soybean Virus Diseases in Korea I. Preliminary Studies on a Soybean Virus Disease in Korea)

  • 조의규;정봉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1-68
    • /
    • 1976
  • 광교, 동북태, 강림, 육우3호, 은대두등과 같은 대리장려품종이 바이러스에 의하여 심하게 이병되었다. 이 병은 주로 모자익병의 발생이 많은 강원, 경기지방에서 발병이 심하였으나 모자익병이 심하지 않은 전남 등 남부지방에서도 발병되고 있다. 병징으로 보아 tobacco ringspot virus에 의한 대두의 피해와 유사한 것으로 보였으나 지표식물검정과 혈청검정에 의하여 조사한 결과 모두 부정적이었으며 대두품종에 따른 이병정도의 상이, 품종과 접종원에 의한 병징의 변이가 많았다. 이병주에서 분리되는 병징형은 Mottling과 necrosis였으며 지금까지의 연구결과 이 대두병해는 모자익바이러스(SMV)의 계통 내지는 tobacco ringspot virus 이외의 두류바이러스의 복각감염에 의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SMV의 계통에 의한 피해일 가능성이 더욱 유력시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