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ivation of using SNS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9초

SNS 상 이미지에 대한 감정이 온라인 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s Elicited by Images in SNS on Online Behaviors)

  • 김지선;강현정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8권4호
    • /
    • pp.199-221
    • /
    • 2019
  • Purpose The research investigated on what motivates the consumers to use the SNS, what qualities of images are preferred and how the pleasure and arousal derived from looking at the images have moderating effects on sharing images, following accounts, clicking profile links of accounts and accessing the link on profiles to purchase products. Design A survey was conducted by using actual images published on the Instagram profiles of an online shopping mall. Findings As a result, their emotional responses such as pleasure or arousal on the four of behavioral intentions changed the impact of SNS use motivation on the behavioral intentions. When one felt pleasure, the behavioral intentions of sharing activities and clicking links is further triggered.

기혼여성의 SNS중독경향성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영향요인 검증 (Identifying Latent Classes of the SNS Addiction Tendencies in Married Women and Testing Determinants of the Classes)

  • 손보영;조효진;장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603-614
    • /
    • 2020
  • 본 연구는 기혼여성들의 SNS중독경향성에 대한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잠재계층을 분류하는데 있어서 연령, 성인애착, 소외 두려움에 대한 외적동기, 결혼만족도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SNS를 사용하고 있는 기혼여성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총 300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 되었다. 분석 결과, 기혼여성들의 SNS중독 경향성에 대한 잠재프로파일은 3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3개의 집단은 '고위험군', '잠재위험군', '저위험군'으로 세 가지 하위 영역(집착 및 금단, 과잉소통과 몰입, 과도한 소비)에서 모두 점수가 높았던 '고위험군'은 전체의 24.51%를 차지하였고, 하위 영역들에서 중간 정도의 점수를 보이는 '잠재위험군'은 44.33%로 그 비율이 가장 높았다. 잠재계층 분류에 있어서 연령을 제외한 다른 모든 변인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SNS중독경향에 특성에 따른 집단을 구분하며 집단별 특성에 따른 상담과 교육에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이후 기혼여성의 SNS중독경향에 대한 표준화된 도구개발 등을 통해 다양한 연구 확대가 필요함에 대해 논의하였다.

소셜네트워크 이용동기에 따른 감정적 관여, 인지적 관여의 형성과 만족 (The Affective/Cognitive Involvement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Usage Motivations of Social Network Services)

  • 천명환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2호
    • /
    • pp.21-39
    • /
    • 2012
  • 본 연구는 이용-충족이론의 관점에서 SNS 이용동기에 관해 진행된 연구를 토대로 이용동기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고, 이용과정을 통해 형성된 관여도가 만족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남성과 여성간의 이용동기, 감정적/인지적 관여, 만족의 형성구조를 비교하여 성별 차이에 따른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구조방적식모형을 설정하고 SNS 이용경험이 있는 306명의 데이터를 Lisrel로 분석하였다. 정보추구동기와 자아표현동기가 감정적 관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가설은 채택되었다. 이에 추가적으로 성별에 따라 비교해 보기위해 남성집단과 여성집단의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남성의 경우는 정보추구동기, 오락적동기, 자아표현동기가 높은 경우에 감정적 관여가 높아지며, 오락적동기가 높은 경우만 인지적 관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에는 사회적동기와 오락적동기가 감정적 관여와 인지적 관여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만족으로 이어졌고, 정보추구동기와 자아표현동기는 감정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여자 중학생의 SNS 이용동기가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ing Factor on Self-control by Usage Motivation of SNS among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 신기수;조미경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80-188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tivations to use social media and self-control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To collect the data, 300 female students of S and E middle school in S city responded to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sking about their motivation for social media use and self-control.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Scheffé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21.0 program. Results: The average time spent on social media was 3.70 hours. The mean scores of social media usage motivation and self-control were 48.15 and 58.47, respectively. The more average time spent on social media, the higher was the motivation to use social media. The scores of motivation to use social media were higher in students with low satisfaction of their school and family life. Students with low satisfaction of their school life had higher scores in some subcategories of self-control; preference to simple task, egocentrism, and stroppiness. Motivations to use social media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control. Self-control was affected by motivations to use social media and this variable explained 11.6% of self-control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e should develop programs which help improve students' self-control and prevent the side effects of social media use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SNS 이용동기와 SNS 중독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유대감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the Subjective Wellbeing on the Addiction and Usage Motivation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Moderating Effect of Social Tie)

  • 노미진;장성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4호
    • /
    • pp.99-122
    • /
    • 2016
  •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망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와 같은 SNS의 활성화로 정보공유나 의사소통이 활발해지면서 SNS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SNS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것이며, 새로운 매체의 이용 동기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인 이용과 충족이론을 기반으로 SNS 이용 동기를 살펴본다. SNS 이용 동기를 감정적 동기와 인지적 동기로 구분하고, 이용 동기와 SNS 중독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감정적 동기는 SNS에 대한 오락성과 환상으로 구분하고 인지적 동기는 SNS에서의 정보 부담과 시스템 사용 부담으로 살펴한다. SNS 중독은 시간적 내성, 금단 불안, 중단 실패, 생활 장애로 구분하였으며 SNS 중독과 주관적 웰빙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자본 이론을 기반으로 SNS 특성인 사회적 유대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한다. SNS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286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가설검증결과를 보면, 감정적 동기인 오락성과 환상은 SNS 중독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인지적 동기인 정보 부담과 시스템 사용 부담도 SNS 중독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SNS 중독은 주관적 웰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마지막으로 사회적 유대감에 따라 SNS 중독이 주관적 웰빙에 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SNS 사용자와 SNS 관련 종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SNS상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의도: 가해자 관점으로 (Privacy Intrusion Intention on SNS: From Perspective of Intruders)

  • 이에덴;김상희;서동백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17-39
    • /
    • 2018
  • 요즘 보편화된 SNS 사용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보다 더 쉽고 빠른 개인정보의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SNS상 프라이버시 침해문제가 대두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프라이버시 침해 의도와 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 요인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진행된 프라이버시 연구는 대부분 피해자 혹은 피해사건의 분석이었으나, 본 연구는 프라이버시 침해행위를 작성과 유포라는 좀 더 세분화된 개념으로 나누고, 동기이론을 바탕으로 프라이버시 침해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요인(반응비용)과 내적 요인(인지된 즐거움, 침해 피해경험, SNS 징벌행위, 침해 가해경험)이 각각 작성과 유포 침해의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본다. 연구결과, 프라이버시 침해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요인인 반응비용은 작성과 유포침해의도 모두와 유의미한 관계를 가졌다. 내적요인은 대체적으로 외적요인보다 더 큰 상관관계를 가졌는데, 그 중 가해경험은 작성과 유포 침해의도 둘 모두에서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보여주었고, 인지된 즐거움 또한 작성과 유포 침해의도에 모두 정적상관관계를 가졌다. 피해경험은 작성과 유포침해의도에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지 않았으며, SNS 징벌행위는 유포침해의도와 약하게 정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 구분없이 표현되어 온 프라이버시 침해 가해자들은 정의감이나 과거 관련 피해를 입었던 사람들이 아니라, 침해 가해행위 자체에 즐거움을 느끼고, 또한 과거에 가해경험이 있는 사람들이라는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인정보침해에 관해 보다 더 뚜렷한 기준과 의식 변화가 필요하다는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WECHAT 이모티콘 사용동기 및 인문학적 해석 -화(和)와 예(禮)를 중심으로- (Usage Motivation and Humanistic Interpretation of Emoticons in WeChat -Focused on Hwa(和) and Ye(禮)-)

  • 강샤오멍;김세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38-14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규범적 사회의 영향이 강한 동북아시아 문화권에서 SNS 이모티콘 소통의 특징을 찾아 전통 인문사상을 기반으로 이 특징들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국가별 주류 SNS가 상이하므로, 구체적으로 중국의 위챗(Wechat)을 중심으로 이모티콘 사용에 있어서 동기요인을 도출하고, 도출된 요인에 대해 해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진행을 위해, 문헌연구와 21명에게 인터뷰를 진행하여 38개 사용동기 항목을 도출하고, 272명에게 이모티콘 이용동기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챗의 이모티콘 사용동기로 6개의 요인들이 도출되었으며 각 요인들을 감정 표현, 심미성, 유용성, 인상관리, 재미, 소속감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위챗 이모티콘 사용의 동기요인들 중 규범적 사회의 특징에 부합하는 '인상관리'와 '소속감' 요인을 중심으로 유가의 인문정신인 '화(和)'와 '예(禮)'사상이 이모티콘 사용에 있어서 어떻게 발현이 되는지에 대해 해석하였다. '화(和)'는 이모티콘을 이용하여 대화방에서의 소속감을 강화하고 적극적으로 자신의 존재를 부각하여 소통 과정에 잘 어우러지고자 하는 '소속감' 요인에서 나타난다. '예(禮)'는 도덕적 윤리 규범을 강조하는 것으로, 도덕적 윤리 규범에 적합한 자신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보다 나은 관계를 조성하고 유지하는 '인상관리' 요인에서 나타난다.

중국 스포츠팬들의 운동선수 SNS이용 동기 (What Motivates Chinese Sports Fans to Subscribe to Athletes' Social Networking Service Accounts?)

  • 박재암;보리;스테판 W. 디트모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064-1072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스포츠팬들의 운동선수 SNS이용 동기요인을 분석하는 것에 있다. 8명의 중국 올림픽 선수들의 SNS(Weibo)를 선정하여, 선수들의 동의를 얻은 후 온라인 설문지의 하이퍼 링크를 선수들의 SNS상에 게시하였다. SNS를 방문한 스포츠팬들 중 총 274명이 온라인 설문에 참여하였으나, 질문문항의 일괄적인 처리 혹은 무응답, 오기입 등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어지는 33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4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diversion, pass-time, athlete supports, 그리고 technical knowledge 동기가 SNS이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information, socialization, 그리고 fanship 동기는 SNS이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Exploring Gender Differences in Motivations for Using Sina Weibo

  • Hwang, Ha Sung;Choi, Eun Kyou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3호
    • /
    • pp.1429-1441
    • /
    • 2016
  • While Facebook and Twitter get worldwide attention, these popular SNSs are not available in China. As the leading local SNS, Sina Weibo has garnered much of the attention in China.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why Chinese college students use Sina Weibo and if gender differences exist in the motivations for using it. The results from a survey of 360 respondents show that Chinese students used Sina Weibo mainly for information-gathering, followed by accessibility to celebrity, social connection, self-presentation and entertainment. Among them the most dominant reason for using Sina Weibo was found to be information-gathering. This finding suggests that Sina Weibo functions as a platform to search for information on social issues and interests.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se motiva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users. Interestingly, female respondents used Sina Weibo much more broadly than male counterparts, accessing it to satisfy all needs such as information gathering, accessibility to celebrity, social connection, self-presentation and entertainment. Based on these findings limitations and direction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PBL적용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SNS활용이 플로우(FLOW)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NS Use by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BL-Based Class on the Flow and Problem-Solving Skills)

  • 우경애;김세곤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165-184
    • /
    • 2014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PBL 수업에서 SNS를 활용함으로써 플로우와 문제해결력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44명을 대상으로 유아사회교육 과목에 PBL 수업을 8주 동안 진행하여, 그 수업상황을 SNS 활용의 유용성, 플로우, 문제해결력의 인지력검사로 측정하였다. 측정값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PBL 적용수업에서 SNS 활용은 플로우(Flow)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둘째 플로우(Flow) 또한 문제해결력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셋째 SNS 활용이 문제해결력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기 때문에 플로우(Flow)는 문제해결력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로 미루어 볼 때, PBL 수업에서 SNS의 활용은 수업주제 혹은 문제 상황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참여를 높여 수업활동 및 동기부여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하는 연구의의를 발견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