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ssy fiber sprouting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Changes in the Neurogenesis and Axonal Sprouting in the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 by Aβ25-35 Treatment

  • Jung, Yeon Joo;Jiang, Hui Ling;Lee, Kyung Eun
    • Applied Microscopy
    • /
    • 제42권4호
    • /
    • pp.200-206
    • /
    • 2012
  • Induction of neurogenesis can occur in the hippocampus in response to various pathological conditions, such as Alzheimer's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that occur in endogenous neural stem cells in response to amyloid beta $(A{\beta})_{25-35}$-induced neuronal cell damage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Cresyl violet staining and Fluoro-Jade B staining were used to detect neuronal cell damage and changes of mossy fiber terminals were observed by Timm's staining. The immunofl uorescence staining was used to detect the newly generated cells in the subgranular zone (SGZ) of the dentate gyrus with specific marker, 5-bromo-2'-deoxyuridine (BrdU), Ki-67, Nestin, and doublecortin (DCX). In compared to control slices, neuronal cell damage was observed and the mossy fibers were expanded to CA3 area by treatment with $A{\beta}_{25-35}$. Ki-67/Nestin- and BrdU/DCX-positive cells were detected in the SGZ. In conclu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beta}$-induced neuronal damage results in an increase in endogenous neural stem cells in rat hippocampal slice cultures not only for gliosis but also for neurogenesis.

Pilocarpine에 의해 유도된 생쥐 경련중첩증에서 Bmi1의 역할 (The Role of Bmi1 in Pilocarpine-induced Status Epilepticus in Mice)

  • 편해인;박지아;최윤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13-521
    • /
    • 2020
  • Bmi1은 PcG 단백의 일종으로 PRC를 구성하는 성분이다. Bmi1에 관한 초기의 연구는 주로 암세포에서의 역할에 집중되었고, 그 결과 Bmi1은 암세포의 증식과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 결과 Bmi1은 퇴행성 신경계 질환이 있는 뇌에서 발현이 감소되어 있고 미토콘드리아의 기능과 활성 산소 수준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Bmi1 발현 저하 동물을 이용하여 간질에서 Bmi1의 약물 치료 표적 가능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Bmi1의 발현은 pilocarpine에 의한 경련중첩증 이후 해마의 CA1, CA3 그리고 치상회에서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경련 양상을 볼 때 경련중첩증이 유도되는 비율은 Bmi1+/+와 Bmi1+/- 생쥐에서 각각 43.14%와 53.57%로 나타났다. 그러나, 치사율과 해마의 신경세포 손상에는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경련중첩증 유도 2개월 후에 나타난 간질 경련의 빈도수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Bmi1+/- 생쥐에서 약 50% 낮게 나타났다. 반면, 이끼섬유발아는 Bmi1+/- 생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Bmi1의 발현이 감소할 때 pilocarpine에 의한 경련 유도와 이끼섬유발아가 증가함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