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phological variations

검색결과 285건 처리시간 0.029초

선형과 스타형 Poly(glycolide-co-$\varepsilon$ -caprolactone)의 형태학적 미세 구조변화가 분해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rphological variations on the Biodegradability of linear and star shaped PGCL)

  • 조도광;박준욱;임승순;김수현;김영하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9-182
    • /
    • 2001
  • 지방족 폴리에스터는 보통 의료용 고분자 및 환경분해성 고분자로 알려져 왔으며, 이에 따라 지방족 폴리에스터와 그의 공중합물, 그리고 다른 상용고분자와의 블렌드들의 분해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보고가 이루어져 왔다. 일반적으로 결정성 고분자의 분해성은 일차적인 화학구조외에도 결정의 size나 perfactness, 결정화도 또는 배향도와 같은 미세 구조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중략)

  • PDF

하구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연안사주의 지형변화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Deltaic Barrier Island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fter the Construction of River Barrage)

  • 김성환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16-427
    • /
    • 2005
  • 이 연구는 낙동강 하구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역의 삼각주 연안사주에서 나타나는 지형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항공사진 측량기법을 이용하여 1987년, 1996년, 2001년의 해안선을 추출하고 연안사주의 형태변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안사주의 형태변화 분석에는 해안선의 변화와 연안사주의 면적변화, 그리고 기하학적 중심인 도심의 이동방향을 살펴보았다. 낙동강 삼각주 연안사주의 형태변화 분석에서 하구둑 건설 이후 새로이 출현한 도요등의 면적 증가가 두드러졌고, 이로 인하여 배후에 위치하는 백합등의 면적 감소와 쇠퇴로 이어졌다. 신자도의 경우에는 하구둑 건설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면적이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진우도와 대마등. 장자도의 경우에는 면적변화와 도심의 이동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낙동강 하구역의 삼각주 연안사주 지형변화는 성장/정체/쇠퇴 양상으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다. 현재 하천수의 유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낙동강 본류의 하구를 중심으로 해안선을 형성하고 있는 연안사주에서는 성장 양상이 나타난다. 도요등과 신자도의 경우 해양 프로세스에 의해 지속적으로 퇴적물 공급이 이루어져 성장양상을 보인다. 외해 쪽으로 새로운 연안사주가 출현하기 이전까지 해안선을 구성하고 있던 연안사주는 쇠퇴양상을 보이고 있다 백합등은 하구둑이 건설된 이후 도요등이 출현함에 따라 현재는 연안사주의 전면부가 파괴되어 사라지는 쇠퇴양상을 보이고 있다. 백합등의 쇠퇴 양상은 도요등 배후 지역으로 음의 퇴적물 수지가 형성되고 있음을 지시한다. 연안사주 가운데 출현 시기가 가장 이른 진우도와 대마등, 장자도의 경우는 뚜렷한 성장이나 쇠퇴가 나타나지 않는 정체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한국산 빙어의 지리적 형태변이에 대하여 (Morphological Variations in Relation to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Pond Smelt, Hypomesus olidus Pallas)

  • 류봉석;이경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79-188
    • /
    • 1981
  • 이식된지 50여 년간에 걸쳐 토착분포한 빙어의 분포수역과 상뜰골, 지느러미의 연조수, 비늘의 특성, 척추골, 새파수, 유문수, 형질간의 관련도 등을 비교 검토하여 분포수역에 따른 형질의 변이를 조사 비교 검토하고, 그 결과를 다음과 갈이 요약한다. 1. 한국산 빙어의 주 서식수역은 파노호, 소양호, 한강, 의림지, 옥정호(운암호)이고 이들과 관련되는 유노에 토착 분포되어 있었다. 2. 빙어의 형태변이는 각 개체에 발현된 개개의 형질에 의하여 서로 다르게 나타나, 기준형에 지역적평균값을 Mosaic형으로 비교한 바 기준형에 닮았거나 차이가 심한 것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3. 서식수역별로 가슴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연조수, 가승지느러미 앞길이/표준체장, 배지느러미앞길이/됫지느러미 앞길이, 안경, 부상악골, 유문수의 철, 비늘의 특성등 형질에서 심한 변이가 있었다. 4. 빙어의 지역적 형질변이중 가장 안정성을 나타난 것은 매지느러미, 등지느러미의 연조수와 새파수, 척추골수, 일종열린수, 미타고, S-D/SL이었다.5. 빙어의 비늘은 어체부위에 따라 비늘의 모양, 초점의 형태와 그 위치, 융기선의 수가 다르며, 방사선이 없다. 6. 인횡장과 인폭과의 관계는 소양호산과 옥정호산 그리고 한강산과 의림지산이 각각 근친적 유녹관계로 나타났다. 7. 빙어의 지리적 형태변이는 탁도, 수온, 염분의 환경요소와, 이 외에 위도와 유속에도 깊은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부상악골 인횡장과 인폭과의 관계, 미추골수, 안경과 두장과의 비 등은 지리적 형태변이의 검색자료로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 PDF

굴의 양식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II) 참굴의 산지별 특성 (BIOLOGICAL STUDIES ON OYSTER CULTURE(II) Morphological Charaeteristics of the Oyster, Crassostrea gigas)

  • 유성규;유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6권1_2호
    • /
    • pp.65-75
    • /
    • 1973
  • 1972년 5월과 10월에 서해안의 대천과 부안, 남해안의 남성, 차면, 이명 및 추봉 그리고 동해안의 포항의 각 양식장에서 양식하고 있는 참굴을 각각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서해안측 굴은 소형이고, 동해안측으로 갈수록 대형이었고, 또 간석지산 굴은 대체로 소형이었으나 수심이 깊은 데 것은 대형이었다. 2. 추봉산과 포항산은 장형굴에 속하나, 부안, 남성, 이명 및 차면산은 서로 거의 유사한 단형굴에 속한다 3. 수심이 다 같이 깊은 곳에서 살던 것이라 하더라도 수하 양식굴인 추봉산은 바닥 양식굴인 포항산보다도 껍데기가 가벼웠다. 4. 각고에 대한 각장은 산지에 따라 변이가 아주 심해서 각 산지별 상호간에 모두 유의의 차가 있었다. 5. 껍데기 무게에 대한 살무게인 비만은 10월보다 5월이 좋았고, 산지별로는 추봉산치 좋았고 포항산은 나빴다. 그리고 추봉산은 5월과 10월의 차이가 적었지만 포항, 차면, 이명 및 부안산은 비교적 그 차이가 크다. 6. 살무게에 대한 건조살무게의 경사값은 10월보다 5월이 크고 산지별로는 추봉, 포항 및 대천산이 크며, 이명, 차면 및 남성산이 작다. 즉, 수분 함량은 5월보다 10월이 많았고, 산지별로는 이명, 차면 및 남성산이 많았고, 추봉, 포항 및 대천산이 적었다.

  • PDF

서식지에 따른 왕거머리말(Zostera asiatica Miki, Zosteraceae)의 형태적 특성 (Morphological Examination of Zostera asiatica Miki (Zosteraceae) from Various Habitats)

  • 이상용;권천중;김태진;서영배;최청일
    • 환경생물
    • /
    • 제17권4호
    • /
    • pp.503-512
    • /
    • 1999
  • 한반도와 일본에 서식하는 왕거머리말(Zostera asiatica Miki, Zosteraceae)의 서식 환경에 따른 형태적인 변이를 분석하기 위해 동해연안과 일본 훗카이도에 서식하는 왕거머리말의 식물체와 서식지의 해수 및 퇴적물을 채집 분석하였다. 본 조사를 통하여 왕거머리말은 한반도 지역에서는 수심 8.5∼10 m의 개방된 만과 외해의 영향을 직접 받는 지역에서 주로 서식하며, 동해연안의 공현진리, 동호리, 그리고 영동과 칠포 지역이 왕거머리말의 새로운 자생지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일본 홋카이도의 아케시만(Akkeshi Bay)에 있어서는 한반도와는 달리 1.5∼3m의 수심이 얕은 내만에서 서식하였다. 한반도 동해 연안에서 왕거머리말의 서식지 퇴적물의 입도는 모래로 구성되었다. 한반도 동해 연안의 집단에서는 식물체의 높이가 64.0∼75.7cm, 폭 11.0∼l5.0 mm로 나타났으나, 아케시만에 서식하는 식물체 집단의 높이 187∼234 cm, 폭은 18.0∼l8.7 mm로, 후자의 경우가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이에 의해 규정된 한반도 동해연안의 집단간 그리고 일본 아케시만의 집단간핵 리보소옴 DNA의 ITS 염기서열 비교 분석에 의한 유전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분계분석을 이용한 한국산 갈퀴덩굴속(Galium L.) 식물의 외부형태학적 연구 (The morphological study of Galium L. (Rubiaceae) in Korea)

  • 정금선;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1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갈퀴덩굴속(Galium L.) 18 분류군에 대하여 줄기, 잎, 꽃, 열매 등의 외부형태학적 33개의 형질에 대하여 분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이용한 분계분석 결과 얻어진 계통도에서 갈퀴덩굴속은 외군과 분리되어 단계통을 형성하였으며, 크게 2개의 그룹으로 구별되었다. Sect. Cymogaliae과 Sect. Leptogalium의 분류군들은 다계통군으로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절은 단계통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산 갈퀴덩굴속의 속내 분류에서는 줄기의 형태와 화피편의 수, 윤생엽의 수 등은 절을 구별하는데 유용한 형질로 인식되었다. 특히, 화피편 정단이 굽어지거나 편평한 형태는 속내 절 분류에 중요한 형질로 인식되었다. 또한, 절내 분류군간의 구별에는 줄기의 털의 형태, 잎의 형태, 화피편의 색, 화서, 엽두의 모양, 열매 표피면의 털의 형태 등이 유용한 식별형질이었다. 기존의 분류 동정에 이용되었던 종자표면의 털의 형태는 속내 분류에 중요한 인식 형질이였으며 특히, 윤생엽의 수, 잎의 형태는 종 분류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33개의 형태 형질 중 31개의 형질은 한국산 갈퀴덩굴속 식물의 유연관계를 파악하고 절(section) 분류 및 종 분류에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differences in three Undaria pinnatifida populations in Korea

  • Park, Kwang-Jae;Kim, Bo-Yeon;Park, Seo-Kyoung;Lee, Jong-Hwa;Kim, Young-Sik;Choi, Han-Gil;Nam, Ki-Wan
    • ALGAE
    • /
    • 제27권3호
    • /
    • pp.189-196
    • /
    • 2012
  • Twelve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the biochemical composition of Undaria pinnatifida f. distans sporophytes growing on the rocky shores of Jindo and Wando and on cultivation ropes in Kijang were measured to determine whether each population could be characterized by morphological features and biochemical composition.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henotypic variations between populations as they relate to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sporophytes of the Kijang population were two times longer and 19 times heavier than those at Jindo. Sporophylls of the Jindo U. pinnatifida population were significantly smaller in length, width, frill number, and weight than those at Wando and Kijang. Kijang Undaria plants showed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protein, crude fiber, total amino acids, the amount of essential amino acids, the proportion of total unsaturated fatty acids, and eicosapentaenoic acid. However, the Jindo population showed the greatest content of carbohydrates, lipids, and minerals (Zn and Ca) of the three U. pinnatifida populations. In particular, Zn content of Jindo plants was 30 times greater than that of Kijang plants. Thus, the proximate composition, mineral composition, amino acids, and fatty acids of Undaria pinnatifida plants were distinguishable among the three representative Undaria populations evalua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differences of the three U. pinnatifida populations can be attributed to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ir habitats.

Determination of ginsenosides in Asian and American ginsengs by liquid chromatography-quadrupole/time-of-flight MS: assessing variation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 Chen, Yujie;Zhao, Zhongzhen;Chen, Hubiao;Brand, Eric;Yi, Tao;Qin, Minjian;Liang, Zhita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1호
    • /
    • pp.10-22
    • /
    • 2017
  • Background: Asian ginseng and American ginseng are functional foods that share a close genetic relationship and are well-known worldwide.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inherent quality of Asian and American ginsengs. Methods: In this study, an ultra-HPLC-quadrupole/time-of-flight MS (UHPLC-Q/TOF-MS) method was establishe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45 ginseng samples. The method developed for determination was precise and accurat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Asian ginseng samples with the same growing time (with the same or similar number of stem scars) that had a thinner main root, a longer rhizome and more branch roots contained greater amounts of ginsenosides. For American ginseng, two tendencies were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ameter of the main root and contents of ginsenosides. One tendency was that samples with thinner main roots tended to contain higher levels of ginsenosides, which was observed in the samples sold under the commercial name pao-shen. Another tendency was that samples with thicker main roots contained higher contents of ginsenosides, which was observed in the samples sold under the commercial name pao-mian, as well as in samples of American ginseng cultivated in Jilin, China. Conclusion: An approach using ultra-HPLC-quadrupole/time-of-flight MS was successfully established to link morphology and active components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Asian and American ginsengs. Clear correlation between visible morphological features and quality of Asian and American ginsengs was found. People can see the difference; this means consumers and vendors can evaluate ginseng by themselves.

감마선 및 EMS처리에 의한 유채(Brassica napus L.)와 갓(Brassica juncea L.)의 유묘 감수성 평가 및 형태적 변이체 선발 (Determination of Seedling Sensitivity and Selection of Morphological Mutants by Treatments of Gamma-Ray and EMS in Rapeseed and Leaf Mustard)

  • 강은선;김준수;은종선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1-121
    • /
    • 2014
  • This study was aimed to select useful mutants of rapeseed (Brassica napus L.) and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L.), the seeds of three lines S-14, S-27, and S-28 were treated with gamma-ray and EMS. The optimum ranges of gamma-ray dose and EMS concentration to enlarge the characteristic morphological variations were also separately investigated. The survival rates of S-28 only linearly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gamma-ray dose. The overall growth parameters decreased of gamma-ray dose in all three lines of S-14, S-27, and S-28. The reduction dosage 50 of gamma-ray was identified as 1,200 Gy for S-14 leaf mustard, while those of S-27 and S-28 rapeseed lines were appeared as same 1,000 Gy. The emergence rates of S-14 and S-27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EMS treatment, while the growth of all three lin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reduction concentration 50 in S-14 could not be determined, demonstrating that this leaf mustard line is presumably insensitive to mutagenic EMS, while those in S-27 and S-28 were identified as 3.0 and 2.5%, respectively, showing that these rapeseed lines possess higher sensitivity to EMS than S-14. Variou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_1$ generation obtained from mutagen treatment were elaborately investigated for further maintenance of $M_2$ generation. In $M_2$ generation variants showing short stem, yellow color in seed coat, chlorophyll deficiencies in leaf or pod, abnormal flower color were selected as potentially useful mutants for breeding.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Clinostomid Metacercariae from Korea and Myanmar

  • Won, Eun Jeong;Lee, Yu Jeong;Kim, Moon-Ju;Chai, Jong-Yil;Na, Byoung-Kuk;Sohn, Woon-Mo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8권6호
    • /
    • pp.635-645
    • /
    • 2020
  •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clinostomid metacercariae (CMc) was performed with the specimens collected in fish from Korea and Myanmar. Total 6 batches of clinostomid specimens by the fish species and geographical localities, 5 Korean and 1 Myanmar isolates, were analyzed with morphological (light microscopy and SEM) and molecular methods (the cytochrome c oxidase 1 gene a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1/5.8S rRNA sequence). There were some morphological variations among CMc specimens from Korea. However, some morphometrics, i.e., the size of worm body and each organ, ratio of body length to body width, and morphology of cecal lumens, were considerably different between the specimens from Korea and Myanmar. The surface ultrastructures were somewhat different between the specimens from Korea and Myanmar. The CO1 sequences of 5 Korean specimens ranging 728-736 bp showed 99.6-100% identity with Clinostomum complanatum (GenBank no. KM923964). They also showed 99.9-100% identity with C. complanatum (FJ609420) in the ITS1 sequences ranging 692-698 bp. Meanwhile, the ITS1 sequences of Myanmar specimen showed 99.9% identity with Euclinostomum heterostomum (KY312847). Five sequences from Korean specimens clustered with the C. complanatum genes, but not clustered with Myanmar specimens. Conclusively, it was confirmed that CMc from Korea were morphologically and molecularly identical with C. complanatum and those from Myanmar were E. heterostom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