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phological variation

검색결과 574건 처리시간 0.03초

황색자생균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ld Yellow Chrysanthemun in Korea)

  • 이종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1-122
    • /
    • 1995
  • 12 populatiDns of Ch indicum L. and it's variation antogenous in Tforea were selected throughout the country and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in this pap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of the plant height is 97.3cm. Ch. indicunl is 76.5cm and Ch. boreale is 116. 6cm in height. The number of nodes is 58 on the average. The color of the stem is generally black-red in the case of Ch. indicum and is green for Ch. boreale. 2) The leaves of Ch. inficum are smaller In size and thicker than chose of Ch. boreale, and it has a stipule. This fact enables us to distinguish one species from the other, however, the Gyukpo-population of Ch. indicum has a large leaf, and Byunsan-population of Ch. boreale has a stipule so that the above fact is not an exact criterion on which to base one classification. 3) The size of the capitulum is 24.9mm for Ch. indicum and 15.6mm in the case of Ch. boreaje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species is admitted. It was confirmed hat the size of the capitulum has positive correlation to that of the pedicel and has egative correlation to the number of flowers, so that of inflorescence, Ch. indicumhas corymb, and Ch. boreale has crowed corymb or umbel-type.The number of ligulates is 19 on the average, which no the difference being founnd between species and populations.4) The cluster analy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Ch. indicum was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was shown thought to be due to the difference of speciesbetween Ch. indicum and Ch. boreale. However, it could not be shown that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explain a geographical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s

  • PDF

다변량 분석에 의한 국내산 대추나무 품종의 형태적 특성과 유연관계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Zizyphus Cultivars in Korea by Multivariative Analysis)

  • 이문호;황석인;장용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5-111
    • /
    • 2006
  • 대추나무에 관한 연구 및 2008년부터 시행될 산림수종의 품종보호제도에 대비하여 대추나무의 특성조사요령검정지침서(TG : Test guidelines) 작성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대추나무 복조 등 5품종을 대상으로 과실과 엽의 형태적 특성들을 조사, 주성분분석 및 군집분석 등과 같은 다변량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 고찰한 결과, 인(仁)과 관련된 특성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대추나무의 품종간 유연관계를 고찰하는 특성으로는 부적절 한 것으로 판단된다. 과실중량을 비롯한 모든 특성들에서 보은대추 품종이 복조를 비롯한 다른 4품종과는 형태적 특성에서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성분분석 결과, 제1주성분의 고유값은 10.45로 전체 분산에 대하여 65.3%의 기여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고유 값이 1이상인 제3주성분까지의 전체 분산에 대한 기여도는 96.5%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실종경을 비롯하여 엽장과 엽병장 및 정엽장과 정엽폭, 과형지수와 핵형지수 및 정엽형지수와 같은 형태적 특성들이 대추나무 품종의 유연관계를 구명하는데 높은 기여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거리수준 3.3을 기준으로 보은대추를 제외한 무등과 월출 및 금성과 복조품종이 포함된 I group과 보은대추 품종만이 포함된 II group등 크게 2개의 group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I group은 무등과 월출 및 복조품종이 포함된 sub group과 금성 품종 등 2개의 sub group으로 다시 구분할 수 있었다.

홍도고들빼기의 형태 다양성 및 잡종 기원의 분자 증거 (Morphological and molecular evidence of the hybrid origin of Crepidiastrum ×muratagenii in Korea)

  • 장영종;박범균;손동찬;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85-96
    • /
    • 2022
  • 홍도고들빼기는 이전 연구에서 형태적 특성과 지리적 분포를 바탕으로 이고들빼기와 갯고들빼기의 잡종인 Crepidiastrum ×muratagenii로 제안된 바 있지만, 이에 대한 분자적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홍도고들빼기의 잡종 기원을 밝히기 위하여 홍도고들빼기와 그 근연종의 추가적인 형태적 형질을 관찰하였으며, 핵리보솜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구간과 엽록체 구간(trnT-L, trnL-F, rpl16 intron, rps16 intron)의 염기서열을 비교·분석하였다. 형태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잡종형은 생육형, 줄기잎, 외총포편, 수과의 특성을 바탕으로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분자 분석 결과, Type 1형과 Type 2형은 ITS 구간의 종식 별부위에서 혼성화가 관찰되었으며, 엽록체 구간에서는 Type 1형은 이고들빼기, Type 2형은 갯고들빼기 서열이 각각 관찰되었다. Type 3형은 ITS와 엽록체 구간 모두 이고들빼기와 동일한 서열을 보였다. Type 1형과 Type 2형은 이고들빼기와 갯고들빼기의 형태가 혼합되어 나타날 뿐 아니라, 분자 분석에서도 절영풀이 아닌, 갯고들빼기와 이고들빼기의 종식별부위에서 혼성화가 관찰되어 이고들빼기와 갯고들빼기의 잡종임을 지지하였다. 그러나 Type 3형은 형태적 형질이 다른 잡종형과 유사하나 외총포편이 이고들빼기와 유사한 점에서 구분되며, 분자 분석에서도 이고들빼기 서열과 동일하여, 이고들빼기의 생태변이로 판단되었다.

A Taxonomic and Ecological Study of Gloiopeltis furcata J. Agardh (Rhodophyta) in Korea

  • Lee, Jae-Won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2호
    • /
    • pp.165-171
    • /
    • 1995
  • Plants of G. furcata were divided into four variant populations. The habit characteristics, external and internal morphology were analysed quantitatively in order to clarify their morphological variation. Among four variant populations, type I(typical G. furcata type) and type II(G. furcata f. intricata type) may be influenced by the time when the develop from the crustose basal discs and the tidal level. Type III is the immature plants, and type IV (G. furcata f. coliformis type) is a G. furcata population in late spring after the luxuriant season. For the reason, the formas of G. furcata f. intricata and f. coliformis are no more valid in Gloiopeltis furcata.

  • PDF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Ulva and Enteromorpha Inferred from nr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2 Sequences

  • Kang, Sae-Hoon;Lee, Ki-Wan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03-304
    • /
    • 2001
  • The family Ulvaceae species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one another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and cytological criteria alone. ITS2 sequences are hewn to evolve quickly and have been reported to be useful for the study of intraspecific and interspecific variation and biogeography in algae (Bakker et al., 1992). We will here describe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ITS2 sequences in Ulva and Effteromorpha to compare our result with the above previous studies. (omitted)

  • PDF

Newly Recorded Lysianassid Species, Orchomene japonicus (Crustacea: Amphipoda) from Korea

  • Jung, Jong-Woo;Kim, W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4권1호
    • /
    • pp.139-142
    • /
    • 2008
  • A lysianassid species, Orchomene japonicus (Gurjanova, 1962) associated with sea squirts collected from Geojedo Island located in the South Sea of Korea,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Present specimens conform to that of Gurjanova's except some morphological variation in mandibular palp.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Alexandrium tamarense and A. catenella (Dinophyceae) from Korean Coastal Waters

  • Kim, Keunyong;Kim, Chang-Hoon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71-272
    • /
    • 2001
  • Taxonomic studies of HAB species have been hindered by paucity of informative morphology, phenotypic variation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ifluences, lack of knowledge on their sexual reproduction. In Korea, two PSP incidents resulting in human deaths after eating contaminated mussels broke out in 1985 (Chang et al.1987 and 1996 (Lee et al, 1997). (omit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