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orphological variability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3초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참여적 패션디자인의 사례 연구 (A Case Study For Participatory Fashion Design Using Generative Design Methodology)

  • 이지현;이은한;조혜수;양은경;고정민
    • 복식
    • /
    • 제67권4호
    • /
    • pp.58-70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ve design methodology, and it selected and analyzed 11 sites that provide design development services using generative methodology, INPUT data were classified into design form factor based on the choices of each and the variable form associated with each participant's movement. In designing the algorithms, designers set the meth- od and range of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and linked them with design components. This provided the study with a discriminative design process. This resulted in a type wit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 type that emphasized epidermal formability. The generative design methodology has value as an alternative process in the field of fashion where the utilization of digital technology is becoming universal based on contingency and vari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tudy of personalized design through the extension of methodology of digital-based fashion design and generative methodology.

Evolutionary history of the monospecific Compsopogon genus (Compsopogonales, Rhodophyta)

  • Nan, Fangru;Feng, Jia;Lv, Junping;Liu, Qi;Xie, Shulian
    • ALGAE
    • /
    • 제31권4호
    • /
    • pp.303-315
    • /
    • 2016
  • Compsopogon specimens collected in China were examined based on morphology and DNA sequences. Five molecular markers from different genome compartments including rbcL, COI, 18S rDNA, psbA, and UPA were identified and used to construct a phylogenetic relationship. Phylogenetic analyses indicated that two different morphological types from China clustered into an independent clade with Compsopogon specimens when compared to other global samples. The Compsopogon clade exhibited robust support values, revealing the affiliation of the samples to Compsopogon caeruleus. Although the samples were distributed in a close geographical area, unexpected sequence divergences between the Chinese samples implied that they were introduced by different dispersal events and from varied origins. It was speculated that Compsopogon originated in North America, a portion of the Laurentia landmass situated in the Rodinia supercontinent at approximately 573.89-1,701.50 million years ago during the Proterozoic era.Although Compsopogonhad evolved for a rather long time, genetic conservation had limited its variability and rate of evolution, resulting in the current monospecific global distribution. Additional global specimens and sequence information were required to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is ancient red algal lineage.

휴대형 심전계 장치의 RR 간격의 정확도 개선을 위한 보간법 개발 (Interpolation Technique to Improve the Accuracy of RR-interval in Portable ECG Device)

  • 이은미;홍주현;차은종;이태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16-320
    • /
    • 2010
  • HRV(Heart rate variability) analysis parameter is widely used as an index to evaluate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cardiac function. For reliable HRV analysis, we need to acquire the accurate ECG signals. Most of commercially available portable ECG devices have low sampling rate because of low power consumption and small size issues, which make it difficult to measure RR-interval accurately.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accuracy of RR-interval by developing R-wave interpolation technique,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QRS complex. When the developed method was applied to ECG obtained at 200 Hz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1000 Hz reference device, the error range decreased by 1.33 times in sitting and by 2.38 times in cycling exercise. Therefore, the proposed interpolation technique is thought to be useful to improve the accuracy of R-R interval in the portable ECG device with low sampling rate.

Silhouette differences among cats do not suggest a general selection for paedomorphosis

  • Pares-Casanova, Pere M.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55-158
    • /
    • 2013
  • Paedomorphosis is the retention of juvenile morphology at maturity and is important in generating evolutionary change in domestic species and species in the wild. This preliminary study compar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ven domestic cat pure breeds and felid species from around the world. An original procedure based on elliptical Fourier (EF) methods was applied to head lateral views of specimens and were assessed in order to analyse head profile. For comparative purposes three domestic kittens of different ages and three species of genus Lynx were also used. EF descriptors, allowed for the quantification of the head profile. Using the Fourier transform, reconstruction of the mean head profile revealed that there was a general shape difference between wild cats, domestic cats and kittens. Results suggested that variability in head profile differentiate quite well between adult cats and kittens, but domestic and wild cats appeared grouped into a similar cluster. The similarity between breeds can thus be attributed more to the general head profile than to flatness, i.e. to the general conformation rather than facial profile. Therefore, no effect of paedomorphism on the studied breeds can be undertaken. The present approach opens interesting ethnological perspectives for the aloidic characterisation for domestic breeds.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21 microsatellite markers in Daphne kiusiana, an evergreen broad-leaved shrub endemic to Korea and Japan

  • Lee, Jung-Hyun;Cho, Won-Bum;Yang, Sungyu;Han, Eun-Kyeong;Lyu, Eun-Seo;Kim, Wook Jin;Moon, Byeong Cheol;Choi, Goya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6-10
    • /
    • 2017
  • Microsatellite markers were isolated for Daphne kiusiana var. kiusiana (Thymelaeaceae), an evergreen broad-leaved shrub endemic to Korea and Japan. Because its populations in Jeju Island are morphologically controversial, and consistently threatened by anthropogenic pressures, taxonomic delimitation and conservation effort are required at the genetic level. We developed 21 polymorphic microsatellite loci from Next Generation Sequencing data. The primer set included di-, tri-, and tetra-nucleotide repeats. Variability in the markers was tested for 80 individuals of D. kiusiana from three natural populations in Jeju Island and Japan. Among the 21 loci, three were unavailable for population JKJU of Japan. The Neighbor-Joining tree based on microsatellite markers described here classified the three population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geographical or morphological traits. These will be a powerful genetics tool for determining the taxonomic boundary and establishing suitable conservation strategies for D. kiusiana in Jeju Island.

Morphology, Molecular Phylogeny and Pathogenicity of Colletotrichum panacicola Causing Anthracnose of Korean Ginseng

  • Choi, Kyung-Jin;Kim, Wan-Gyu;Kim, Hong-Gi;Choi, Hyo-Won;Lee, Young-Kee;Lee, Byung-Dae;Lee, Sang-Yeob;Hong, Sung-Ke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1호
    • /
    • pp.1-7
    • /
    • 2011
  • Colletotrichum panacicola isolates were obtained from anthracnose lesions of Korean ginseng and compared with four Colletotrichum species in morphology, molecular phylogeny and pathogenicity.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C. panacicola was easily distinguished from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but not from Colletotrichum higginsianum, Colletotrichum destructivum and Colletotrichum coccodes. A phylogenetic tree generated from ribosomal DNA-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revealed that C. panacicola is remarkably distinguished from C. gloeosporioides and C. coccodes but not from C. higginsianum and C. destructivum. However, molecular sequence analysis of three combined genes (actin + elongation factor-$1{\alpha}$ + glutamine synthatase) provided sufficient variability to distinguish C. panacicola from other Colletotrichum species. Pathogencity tests showed that C. panacicola is pathogenic to Korean ginseng but not to other pla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 panacicola is an independent taxon distin-zguishable from C. gloeosporioides and other morphologically similar Colletotrichum species.

PCR-RAPD와 ITS 서열 분석에 의한 두릅나무과 (Araliaceae) 의 유연관계 분석 (A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Araliaceae Based on PCR-RAPD and ITS Sequences)

  • 김남희;양덕춘;엄안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2-93
    • /
    • 2004
  • 국내에 자생하는 두릅나무과 식물의 형태적 분류를 재확인하고, 분자적 방법에 의해 속 및 종간 유연 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PCR-RAPD 와 ITS sequence 분석을 실시하였다. 채집된 오갈피과 식물을 이용하여 PCR-RAPD를 실시한 결과 속과 종을 구분할 수 있는 다양한 polymorphic 밴드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에 이용한 두릅나무 개체군 내에서 다양한 쓱 변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인삼에서는 재배종 내의 변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야생종과 재배종간의 유전적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밴드들이 나타났다. ITS분석에서는 각각의 속과 종만이 지니는 특이 염기 서열이 나타나 ITS를 이용한 속과 종 분류가 가능하였다. ITS 염기서열로 작성한 계통수를 분석 한 결과 오갈피속은 음나무속과 근연임을 알 수 있었고, 두릅속과 인삼속이 하나의 계통이며 송악은 다른 속과 명료하게 구분됨을 확인하였다. 두릅속과 인삼속이 근연관계임은 RAPD 결과에서도 확인되었다. 인삼은 RAPD 분석 결과 재배종과 야생종 사이에 변이가 존재함이 관찰되었으나, ITS 분석 결과에서는 야생종과 재배종간의 변이를 관찰 할 수 있는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RAPD와 ITS 분석 결과 모두 지역에 따른 재배종 인삼의 유전적 차이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국내에서 재배중인 인삼이 단계통임을 알 수 있었다. ITS 분석에서는 속과 종 수준의 분류가 가능한 특이 염기 서열들이 관찰되었다.

북동태평양 한국 KODOS 연구지역 중 KR1 지역 망간단괴의 지역적인 특성 변화 (Regional Variability of Manganese Nodule Facies in the KR1 Area in KODOS Area, Northeastern Equatorial Pacific)

  • 이현복;김원년;고영탁;김종욱;지상범;박정기
    • 자원환경지질
    • /
    • 제45권5호
    • /
    • pp.477-486
    • /
    • 2012
  • 북동태평양 대한민국 망간단괴 광구중 하나인 KR1 지역에서 망간단괴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밀수심 측량과 망간단괴의 특성(외형, 조직, 크기, 금속함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작고(<2 cm), 매끄럽고(s-형), 불규칙하고(I-형), Fe의 함량이 높은 망간단괴가 KR1의 북동부(KR1-2) 지역에 우세하게 분포하는 것에 비하여, KR1의 남서부(KR1-1)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Mn, Cu, Ni의 함량이 높고, 크고(2~4 cm), 거칠고(t-형, d-형), 원반형(D-형)의 망간단괴가 우세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밀수심 자료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KR1-1 지역은 수심이 깊고(3,838~4,799 m; 평균 4,599 m), KR1-2 지역은 3,940~4,664 m (평균: 4,451 m)의 수심을 보이며 소규모의 해저산이 발달해 있다. KR1 지역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수심과 망간단괴에 포함된 Mn, Cu, Ni의 함량과의 상관성은 태평양 전역에 걸쳐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성과도 일치한다. 또한 망간단괴의 크기와 형태와 관련하여, KR1-2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소규모 해저산에서부터 망간단괴의 핵으로 사용되는 암편의 공급이 원활하기 때문에 작고 매끄럽고 불규칙한 초기 형태의 망간단괴가 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망간단괴의 분포특성에 있어서, 수심과 더불어 해저지형의 특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확률 및 통계적 개념에 근거한 한국인 표준 뇌 지도 작성 및 기능 영상 분석을 위한 가시화 방법에 관한 연구 (Developing a Korean Standard Brain Atlas on the basis of Statistical and Probabilistic Approach and Visualization tool for Functional image analysis)

  • 구방본;이종민;김준식;이재성;김인영;김재진;이동수;권준수;김선일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62-170
    • /
    • 2003
  • 이 논문에서는 한국인의 뇌 기능 영상 연구에서의 정확한 분석을 위한 한국인 뇌 확률 지도를 제작하였고 이를 실제 기능 영상 연구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뇌 위치 정보 추출 프로그램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한국인의 표준 뇌 확률 지도를 작성하기 위하여 정신과적 병력이 없는 정상인 76개의 뇌 영상을 서울대학교 신경정신과와 핵의학과로부터 수집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표준 뇌 영상을 결정하였다. 결정된 표준 뇌 영상은 숙련된 전문의로부터 89개의 해부학적 영역으로 분할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표준 뇌 영상에서 분할된 정보들은 자동 분할 알고리즘에서의 기준으로 사용되어 나머지 75개의 뇌 영상들에 대해서도 해부학적 정보들을 가지도록 하였다. 76개의 뇌 영상들에 생성된 각각의 89개의 해부학적 정보들은 동일 위치에서의 확률정보로서 변환되어 뇌 확률 지도를 생성하였다. 제작된 한국인의 뇌 확률지도는 한국인의 뇌에 대한 편차 정보와 해부학적인 정보를 가지며 이는 한국인의 기능 영상 연구에 있어서 보다 정확한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북서태평양 톱상어(톱상어과, 연골어강)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ew of Pristiophorus japonicus Complex (Pristiophoridae, Chondrichthyes) in the Northwest Pacific)

  • 명세훈;김진구;송춘복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8-17
    • /
    • 2016
  • 톱상어과는 톱상어목에 속하며 지금까지 2속 8종이 보고되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톱상어과 어류는 톱상어 1종으로 알려져 있다. 톱상어과는 주둥이 양쪽에 작고 큰 이빨이 나있으며 납작하고 긴 것이 특징이다. 톱상어의 집단구조를 알기 위해서 4개의 지역(한국, 개체수=6; 미야기현, 개체수=1; 고치현, 개체수=1; 오키나와, 개체수=8)에서 채집된 16개체를 대상으로 형태와 분자분석을 실시하였다. 형태분석결과 3가지의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그 중 톱상어 A 유형은 한국과 일본에 서식하며 짧은 주둥이(전장의 26.8%), 폭넓은 주둥이(주둥이 길이는 주둥이 폭의 4.5배)를 가지며, 톱상어 모식표본과 유사한 점에서 톱상어(Pristiophorus japonicus)로 추정된다. 톱상어 B 유형은 오키나와에 서식하며 긴 주둥이(전장의 31.7%), 폭넓은 주둥이(5.2배)를 가져 Pristiophorus sp.1로 제안한다. 톱상어 C 유형은 오키나와에 서식하며 긴 주둥이(전장의 31.7%), 폭좁은 주둥이(6.3배)를 가져 Pristiophorus sp. 2로 제안한다. 나아가 톱상어 A 유형과 C 유형의 mtDNA cytb 영역을 비교한 결과 2.1~2.7% 차이를 보여 형태결과를 지지해 주었다. 향후 Pristiophorus sp. 1 및 Pristiophorus sp. 2의 분류학적 위치를 구명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