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oglyceride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7초

곰팡이 유지 생산에 관한 연구 (제 4 보) 배양조건이 Mucor Plumbeus의 유지 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Production of Fungal Lipid (Part IV) Effect of Cultural Conditions on the Growth and Lipid Accumulation of Mucor plumbeus)

  • 유진영;이형춘;신동화;서기봉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7-93
    • /
    • 1982
  • Mucor plumbeus FRI 0007 균주의 배양조건에 따른 균체생산량 및 지방질의 생산량을 검토한 결과 온도는 37$^{\circ}C$, pH3.5에서 정치배양 하는 것이 최적조건이며, 25일간 배양했을때 균체량은 2.39g/50$m\ell$, 지방질의 함량은 50.73% 이었다. 균체량과 지방질의 함량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pH가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나 진탕배양의 경우 균체량은 감소하나 지방질의 함량은 증가되었다. 트리-글리세리드의 함량은 pH가 낮을때, 그리고 진탕배양을 했을때 그 함량이 높았다. 지방산의 조성은 온도, 질소원와 종류 및 진탕에 의한 영향을 받았으며 온도가 낮을때 그리고 진탕을 했을때 포화도가 낮았다. 지방질을 구성하고 있는 모노-글리세리드와 디-글리세리드는 팔미트산과 올레산으로 트리-글리세리드는 주로 팔미트산, 올레산 및 리놀레산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포화도는 모노-글리세리드가 가장 높았다.

  • PDF

한국산 마의 지질 성분의 분리 및 분석 (Fraction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Lipid Components in Korean Yam (Dioscorea) Tubers)

  • 정혜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6호
    • /
    • pp.509-515
    • /
    • 1994
  • 한국산 마의 주요 품종인 Dioscorea batatas, D. aimadoimo and D. japonica 3가지 품종의 시료들을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만든 다음 지질의 추출,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한 지질의 분획, thin layer chromatography에 의한 지질의 분리 및 gas chromatography에 의한 지방산 조성 등을 행하였다. 총지질의 함량은 D. japonica가 다른 마에 비해 적은 편이었으며, 지질을 분획한 결과 3가지 품종 모두 중성지질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당지질, 인지질 순으로 나타났다. 분획한 각 지방의 구성 지질로는 중성지질이 sterolester, triglyceride, 1,3-diglyceride, 1,2-diglyceride 및 monoglycerid였고, 당지질에서 acylsterylglycoside, sterylglycoside, digalactosyldiglyceride 및 sulfolipid였고, 인지질에서 phosphatidylethanolamine, phosphatidylcholine 및 phosphatidylinositol 이었다. GC에 의한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팔미트산과 리놀레산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포화지방산 함량보다 많았다. 또한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도 총 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 조성과 같은 양상을 보여 주었다.

  • PDF

멥쌀과 찹쌀중의 지방질 함량 및 중성 지방질의 조성에 관한 비교 (Comparative Studies on the Lipid Content and Neutral Lipid Composition in Nonglutinous and Glutinous Rice)

  • 신효선;이종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7-142
    • /
    • 1986
  • 우리나라에서 재배된 4품종의 멥쌀과 2품종의 찹쌀 중의 지방질의 함량과 중성지방질의 조성에 대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멥쌀과 찹쌀 중의 총지방질의 평균함량은 건물중량 기준으로 각각 0.94% 및 1.78% 였다. 총지방질 중의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인지방질의 함량비는 멥쌀에서는 76.5 : 14.8 : 8.6% 이였고, 찹쌀에서는 82.4: 11.1 : 6.5% 였다. 중성지방질의 주요 성분은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steryl ester, free sterol, monoglyceride 및 diglyceride 였으며, 이들 함량은 멥쌀과 찹쌀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멥쌀과 찹쌀 중의 총지방질과 중성지질의 구성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oleic및 palmitic acid 였다.

  • PDF

난황유의 지질성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Lipid Components in Egg Yolk Oil)

  • 김종숙;고무석;최옥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95-299
    • /
    • 1996
  • 비방사구와 방사구 달걀 난황을 가열 압착하여 얻은 난황유를 정제한 후 화학적 성질과 지질조성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황의 일반성분은 비방사구, 방사구가 각각 수분이 49.50%, 47.06%,조단백질은 16.53%, 16.98%,조 지방은 31.05%, 33.34%로 주성분을 이루었고, 조지방, 조단백의 함량은 방사구가 비방사구 보다 더 높았다 난황유의 화학적 성질은 비방사구, 방사구가 각각 산가 8.95, 9.85, 요오드가 57.64, 58.15, 비누가 240.14, 223.92로. 나타났다. 난황유 총지질의 조성은 비방사구, 방사구 각각 중성지질 76.60%, 71.23%,당지질 3.95%, 5.03%, 인지질 19.45%, 23.74%였다. 중성지질 중에는 비방사구, 방사구 각각 triglycride가 59.3%, 56.3%로 주성분을 이루었고 그 외에 monoglyceride와 diglyceridr의 함량이 높았다. 당지질은 비방사구, 방사구 각각 digalactosyl diglyceride가 98.3%, 97.8%로 대부분을 차지 하였다. 인지질은 방사구, 비방사구 각각 phosphatidiyl choline + phosphatidyl serine이 58.6%, 59.8%로 주성분을 이루었고, 그 외에 lecithin + sphingomyelin과 미확인 성분이 존재하였다.

  • PDF

알칼리 정제(精製)와 에스테르화에 의한 미강유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의 비교(比較)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lkali Refined and Esterified Rice Bran Oils)

  • 김현구;신동화;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5-179
    • /
    • 1985
  • 알칼리 처리와 글리세린으로 에스테르화 반응을 시킨 탈산공정에 의하여 정제한 각 미강유의 이화학적 항수 및 지방질 조성을 비교하였다. 비중 및 굴절율은 글리세린처리미강유가 알칼리정제미강유보다 높았고, 색도는 글리세린처리미강유가 알칼리정제미강유보다 훨씬 진한 황색도를 나타내었으며, 발연점은 알칼리정제미강유가 글리세린처리미강유보다 60${\sim}80^{\circ}C$높았다. 유리지방산의 함량은 알칼리정제미강유(0.05%)보다 글리세린처리미강유(0.88${\sim}$1.36%)가 높았으며, 왁스는 알칼리정제미강유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글리세린처리미강유에서는 soft wax가 0.600${\sim}$0.871%, hard wax가 0.035%${\sim}$0.486% 함유되어 있었다. 알칼리 정제미강유와 글리세린처리미강유의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 지방질의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중성지방질중의 TG 함량은 알칼리정제미강유(96.3%)가 글리세린처리미강유(93.0${\sim}$94.1%)보다 많았으며 MG함량은 알칼리정제미강유(0.11%)가 글리세린처리미강유(0.39${\sim}$0.69%)보다 낮았다. 알칼리 정제미강유와 글리세린처리미강유의 주요지방산은 올레산, 리놀레산, 팔미트산 이었으며 처리방법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Amylase와 유화제의 첨가가 빵 반죽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ylase and Emulsifier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Dough)

  • 박범준;황성연;박천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63-76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곰팡이과 세균에서 유래된 ${\alpha}-amylase$와 유화제인 monogrlyceride(MG), sodium stearoyl-2-laclylate(SSL) 및 diacetyltartaric acid ester of monol and diglycerides(DATEM)을 첨가하여 반죽을 제조하고, 제빵 반죽의 물리적 특성인 falling number, farinogram, alvogram 및 RVA를 이용한 호화특성을 살펴보았다. ${\alpha}-amylase$의 전분분해로 인하여 falling number는 감소하였으나, MG를 혼합한 반죽의 경우 전분과 높은 결합력으로 falling number가 높게 나타났다. Farinogram 특성에서는 곰팡이와 세균에서 유래된 ${\alpha}-amylase$와 유화제가 반죽의 점탄성과 흡수율, 탄력도를 감소시키고, 흡수시간은 증가시켰다. 다만 유화세로 SSL+MG를 사용하였을 때, 대조구와 유사하거나 탄력도와 흡수시간이 더 높게 나타났다. Alveogram 특성에서는 farinogram과 유사하게 $P_{max}$ 값을 감소시켜 탄력도를 감소시켰으며, 신장성, 팽창성 및 탄력에 대한 저항성을 감소시켰다. 반죽의 호화특성에서는 호화개시온도에서는 ${\alpha}-amylase$와 유화제가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alpha}-amylase$의 전분 분해로 인하여 반죽의 점도를 낮추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수화 전처리에 따른 양쪽성 저분자 유화제(Small Molecule Amphiphile)의 첨가 수준이 저 열량 케익 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ydration pretreatment on small molecule amphiphiles(SMA) at two levels in reduced-calorie cake systems)

  • 김혜영;셋서케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12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무설탕 무지방의 저칼로리 케익에서 다량으로 첨가되는 유화제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유화제를 1.5온 혹은 15% 첨가수준에서 가수전처리 하거나, 전처리 하지 않은 경우가 저칼로리 케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물리 화학적인 특성 및 관능검사에 사용된 유화제는 Vanall$^{R}$, sorbitan me-nostearate, polysorbate 60, distilled monoglyceride, su-crose ester F10, SE F7O 및 SE F160이다. 반죽에서 낮은 비중을 나타내고 안정된 분산 체계를 유지하여 케익 volume이 커진 경우는 고수준으로 전처리된 SMS, MG, SE Fl60 및 F70가 첨가된 케익군과 저수준으로 전처리된 SE Fl6O, F7O 및 PS 60가 첨가된 케익군이다. 전처리하여 저수준으로 SE Fl60, F70 및 PS 60을 첨가하여 케익을 만들 경우 부드러운 케익이 되며, 고수준으로 전처리하지 않고 VanallR 을 첨가한 케익과 비슷한 부피를 지닌 케익을 만들었다.

  • PDF

Evaluation of fat sources (lecithin, mono-glyceride and mono-diglyceride) in weaned pigs: Apparent total tract and ileal nutrient digestibilities

  • Cho, Jin-Ho;Chen, Ying Jie;Yoo, Jong-Sang;Kim, Wan-Tae;Chung, Il-Byung;Kim, In-Ho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2권2호
    • /
    • pp.130-133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cithin, mono-glyceride and mono-diglyceride on apparent total tract and ileal nutrient digestibilities in nursery pigs. Twenty [(Landrace$\times$Yorkshire)$\times$ Duroc] barrows were surgically fitted with simple T-cannulas. Dietary treatments included 1) CON (basal diet: soy oil), 2) LO (lecithin 0.5%), 3) MO (mono-glyceride 0.5%), 4) MG (mono-glyceride 1.0%) and 5) MDG (mono-diglyceride 1.0%). In apparent total tract nutrient digestibility, dry matter (DM) and gross energy (GE) digestibilities of MDG treatments were higher than LO and MG treatments (p<0.05). In nitrogen (N) digestibility, LO treatment showed the lowest compared to others (p<0.05). The digestibility of crude fat was higher in MDG treatment than CON and LO treatments (p<0.05). In apparent ileal nutrient digestibility, DM digestibility was higher in MDG treatment than LO and MG treatments (p<0.05). GE digestibility was higher in MDG treatment than LO, MO and MG treatments (p<0.05). N digestibility of MDG treatment was greater than LO treatment (p<0.05). Also, the digestibility of crude fat was higher in MDG treatment than CON and LO treatments (p<0.05). In conclusion, mono-diglyceride can increase apparent total tract nutrient and apparent ileal nutrient digestibilities of DM, GE, N and crude fat.

그루밀가루의 White Layer Cake 적성과 유화제 첨가 효과 (Effects of Emulsifiers on the Properties of White Layer Cakes Prepared from Geurumil Flour)

  • 경문식;장학길;이영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77-881
    • /
    • 2001
  • 국내산 그루밀은 수입밀 박력분에 비해 단백질 및 회분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그루밀 cake 반죽의 PH는 박력분과 차이가 없었으며 자당-지방산 에스테르와 Ester-400의 첨가에 의해 반죽의 pH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Cake 반죽시 그루밀의 거품성에 의한 반죽특성이 박력분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자당-지방산 에스테르와 Ester-400 의 첨가에 의해 반죽의 비중이 감소하였는데 Ester-400의 areation효과가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루밀로 만든 white layer cake의 체적은 박력분과 유사하였으며 Ester-400의 첨가에 따른 품질개선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1~2% 유화제 첨가구에서 비체적이 가장 높고 품질이 우수한 반면 그 이상에서는 비체적이 감소하고 symmetry가 떨어지는 등 cake 적성이 떨어져 그루밀의 유화제 첨가수준은 1% 정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Cake의 $25^{\circ}C$ 저장 중 경도변화를 측정한 결과 Ester-400을 첨가한 cake에서 다소 노화 억제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Castor oil based hyperbranched polyester/bitumen modified fly ash nanocomposite

  • Bhagawati, Deepshikha;Thakur, Suman;Karak, Niranjan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4권1호
    • /
    • pp.15-29
    • /
    • 2016
  • A low cost environmentally benign surface coating binder is highly desirable in the field of material science. In this report, castor oil based hyperbranched polyester/bitumen modified fly ash nanocomposites were fabricated to achieve the desired performance. The hyperbranched polyester resin was synthesized by a three-step one pot condensation reaction using monoglyceride of castor oil based carboxyl terminated pre-polymer and 2,2-bis (hydroxymethyl) propionic acid. Also, the bulk fly ash of paper industry waste was converted to hydrophilic nano fly ash by ultrasonication followed by transforming it to an organonano fly ash by the modification with bitumen. The synthesized polyester resin and its nanocomposites were characterized by different analytical and spectroscopic tools. The nanocomposite obtained in presence of 20 wt% styrene (with respect to polyester) was found to be more homogeneous and stable compared to nanocomposite without styrene. The performance in terms of tensile strength, impact resistance, scratch hardness, chemical resistance and thermal stability was found to be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formation of nanocomposite compared to the pristine system after curing with bisphenol-A based epoxy and poly(amido amine). The overall results of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TEM) analysis and performance showed good exfoliation of the nano fly ash in the polyester matrix. Thus the studied nanocomposites would open up a new avenue on development of low cost high performing surface coating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