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ment rotation

검색결과 504건 처리시간 0.026초

박판 냉간성형형강 골조의 접합부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r of Connections of Thin-Walled Cold-Formed Steel Section Frames)

  • 권영봉;조종수;송준엽;김갑득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281-290
    • /
    • 2003
  • 신형상 폐단면 냉간성형형강 스터드와 래프터로 구성된 포탈프레임의 접합부의 모멘트-회전각 관계, 회전강성, 항복모멘트 및 극한모멘트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접합부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의 주요 변수는 연강 접합철물의 두께 및 형상과 접합부 시험체의 비틀림에 관한 구속조건이며, 실험결과의 검증을 위해서 비선형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반강접 접합부의 휨강성을 실험에 의한 모멘트-회전각 곡선으로 부터 구한 할선강도로 제안하여 구조해석을 통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ALFD방법에 의한 연속합성판형교의 강도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ngth Rating of Continuous Composite Plate Girder Bridges by ALFD)

  • 한상철;정경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통권39호
    • /
    • pp.213-222
    • /
    • 1999
  • ALFD방법은 연속합성판형교의 과재하중과 최대하중에 대한 강도검토에 있어서 실제적인 거동을 나타낼 수 있는 탄소성해석법이다. 주어진 하중으로 인한 최대 정, 부모멘트단면에서의 항복은 활하중이 통과한 후에 잔류하는 소성회전을 일으킨다. 또한 제조시의 잔류응력으로 인하여 이론적인 항복모멘트 이하에서도 소성변형을 일으킨다. 이러한 국부항복은 다음에 작용되는 과재하중하에서 탄성화되어 정의 자생모멘트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점과 최대 정모멘트 단면에서의 단위소성회전각으로 인한 자생모멘트를 공액보법과 3연모멘트법에 의하여 구하였고, 9개의 설계경간을 지점단면을 감소시켜가면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전산프로그램에 의하여 연속관계와 모멘트-비탄성회전각 실험곡선과 일치하는 자생모멘트를 구하였다. 또한 한국도로교시방서에 준하여 비조밀단면을 갖는 3경간 연속합성판형교의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골조형(骨造型) 가구구조설계(家具構造設計)에의 유한요소해석 응용 (Finite Elements Analysis Application to the Structural Design of the Frame Type Furniture)

  • 정우양;카알 A. 에켈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3호
    • /
    • pp.8-15
    • /
    • 1995
  • This analytical study was carried out to make quality and productivity up in designing the frame-type furniture with semi-rigid joint by understanding the mechanical and structural behavior of the joint and by evaluating the validity of application of the time-saving Finite Element Method to its structural analysis. Slope deflection equation for rigid joint was modified to describe the moment-rotation behavior of semi-rigid joint and the joint stiffness factor(Z) could be calculated to lessen the experimental expense. It was proved that Finite Element Analysis with imaginary elements having equivalent MOE to the semi-rigid joint could be the alternative method for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frame-type furniture, comparing the internal rotation of the 2-dimensional beam-to-column model with two-pin(wooden dowel) from the finite element method with other availabl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rotation value.

  • PDF

화재시 고강도강 엔드플레이트 접합부의 회전 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otation Behavior of High Strength Steel Endplate Connections under Fire)

  • 신수민;이치형;윤성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35-4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고온시 고강도강재를 사용한 엔드플레이트 접합부의 회전 거동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유한요소 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델링하고 기존 연구를 대상으로 비교분석한다. Eurocode 3에서는 휨 저항모멘트에 대한 예측식이 주어지고, 이를 통해 3가지 파괴모드를 파악한다. 해석 모델은 온도, 엔드플레이트 두께 및 강재를 변수로 하여 이에 따른 초기회전강성, 소성회전강성 및 휨 저항모멘트 등을 분석한다. 회전강성 및 휨 저항모멘트는 엔드플레이트의 두께 및 재료에 따른 변화를 온도 별로 분석하고 회귀식을 제시하여 고강도강재를 사용한 접합부의 변화를 비교하고자 한다. 그 결과 초기회전강성은 1차식, 소성회전강성 및 휨 저항모멘트는 2차식으로 회귀식을 제시하였다. 고온시 고강도강재는 일반강재에 비해 휨 저항모멘트비는 감소하였고 두께에 대한 영향이 더 작았다. 고온시 고강도강재를 적용하였을 때 상온시에 비해 초기회전강성 기울기는 감소하였고 휨 저항모멘트의 증가율은 완만하게 나타났으며, 소성회전강성 변화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차 모멘트 난류모형에 의한 회전하는 평행 평판유동 해석 (Numerical Simulation of Rotating Channel Flows Using a Second Moment Turbulence Closure)

  • 신종근;최영돈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4권4호
    • /
    • pp.578-588
    • /
    • 2000
  • A low-Reynolds-number second moment turbulence closure is improved with the aid of DNS data. For the model coefficients of pressure-strain terms, we adopted Shima's model with some modification. Shin and Choi's new dissipation-rate equation is employed to simulate accurately the turbulence energy dissipation rate distribution in the near wall sublayer. The results of computations are compared with DNS, LES data and experimental data for turbulent plane channel flow with rotation about spanwise axis. The present second moment closure achieves a level of agreement similar to that for the non-rotating. In particular, it accurately captures the distribution of turbulence energy dissipation rate in the near wall region.

ALFD해석방법에 의한 2경간합성교 연구 (The Analysis of Two Span Continuous Composite Plate Girder Bridge by ALFD)

  • 한상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15-128
    • /
    • 199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inelastic moment-rotation character-istics defined by the lower-bound curve permit economical ALFD for noncompact plate gilders. The study was also intended to determine the benefits of improving the moment-rotation to illustrate the ar plication of the ALFD to noncompact plate girders and to show the Influence of various parameters on the design process. To accomplish these objectives, 34 preliminary designs were made by ALFD or LFD or WSD. In the study, this method of analysis is described first. Next, the design procedures are described. Finally, the resulting designs are presented and discussed.

  • PDF

비탄성 국부좌굴을 고려한 철골 모멘트 접합부 회전능력 평가를 위한 모델 개발 (Evaluation of Rotation Capacity of Steel Moment Connections ConsideringInelastic Local Buckling - Model Development)

  • 이경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617-624
    • /
    • 2008
  • 잘 설계된 철골 모멘트 접합부의 경우, 유효회전능력에 도달하기 전에 국부좌굴이 발생하고 비탄성 후좌굴 변형이 접합부 회전능력을 정의하는데 중대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에서는 국부좌굴로 인한 강도저하와 보 소성힌지의 회전을 모델링하여, 단조증가하중 및 반복하중이 작 용하는 특별철골모멘트골조의 강접합 보-기둥 접합부의 회전능력을 예측하기 위한 근사적 해석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항복선 소성힌지 모델은 좌굴된 소성힌지부의 형상에 기초하여 항복선과 소성존으로 구성되고, 소성메커니즘을 통해 국부좌굴후의 거동까지 포함한 모멘트-회전각 관계를 제 공한다. 향상된 WUF-W 와 RBS 접합부를 위해 제안된 모델을 개발한 후 실험결과와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동반논문(변수연구)에서는 광범위 한 H-형강의 기하학적 변수 따른 접합부 회전능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횡하중에 대한 휨재의 부모멘트 재분배 (Redistribution of Negative Moments in Beams Subjected to Lateral Load)

  • 엄태성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731-740
    • /
    • 2011
  • KCI 2007, ACI 318-08에 제시된 모멘트재분배 방법은 등분포 중력하중을 받는 연속 휨재에 대하여 검증된 방법이다. 횡하중에 의한 모멘트재분배 및 비탄성 거동은 중력하중과 전혀 다른 메커니즘을 발생된다. 이 연구에서는 기초역학에 근거하여 중력하중과 횡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의 보에 발생되는 모멘트재분배와 소성변형의 관계를 정량화하고, 이로부터 보의 소성변형능력에 근거한 모멘트재분배 설계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멘트재분배비는 KCI 2007, ACI 318-08 등 기존 설계기준과 마찬가지로 극한한계상태의 단면해석으로 결정되는 철근의 인장변형률로 정의된다. 또한 모멘트재분배비는 경간, 철근비, 단면강성, 변형경화 거동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여 탄성해석으로 구한 설계모멘트를 재분배시키는 설계 가이드라인 및 예제를 제시하였다.

세그먼트 라이닝 이음부의 모멘트-회전 관계와 지압강도 계산 (An approach for moment-rotation relationship and bearing strength of segment lining's joint)

  • 이영준;정지승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93-106
    • /
    • 2021
  • 일반적으로 세그먼트 라이닝 터널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를 연결하여 하나의 링을 구성하고 터널의 진행방향으로 링을 서로 결합하여 형성한 터널을 말한다. 세그먼트 라이닝의 구조적 특성은 세그먼트 이음부의 거동에 따라 크게 달라지므로 이음부를 적절하게 모델링해야 한다. 지반 하중을 받을 때 세그먼트 이음부는 회전에 저항하는 힌지로 작동하며, 모멘트-회전 관계는 비선형 거동을 보인다. 세그먼트 이음부가 라이닝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제 설계에 통용되는 일본 기준 및 Janssen 모델을 적용하여 세그먼트 이음부의 모멘트-회전 관계를 설정하였다. 또한 이 논문은 지압강도를 기초로 세그먼트 이음부의 회전강성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가상의 설계조건에서 기존 모델 및 제시된 방법을 적용해 세그먼트 이음부의 회전을 추정하고 세그먼트 라이닝과 이음부에서 발생하는 단면력을 계산하였다. 세그먼트 이음부의 회전이 증가할수록 이음부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므로 세그먼트 이음부의 지압강도를 확인해야 한다. 이 논문은 세그먼트 이음부의 지압강도를 검토하기 위해 세그먼트 이음부의 회전강성을 결정하고 지압강도를 계산하는 일관된 방법을 제시하였다.

여자 배구 선수들의 스파이크 도약 시 무릎보호대가 전방십자인대 부상위험 요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nee Brace on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Risk Factors during Spike Take Off in Female Volleyball Players)

  • 양창수;임비오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7-33
    • /
    • 2014
  • In volleyball, the most common injuries ar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tears. For this reason, volleyball players frequently use knee brace as prophylactic and rehabilitation measur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nee brace on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risk factors during spike take off in female volleyball players. Fifteen female volleyball players were recruited and performed randomly spike take off with and without knee brace. Kinematics and ground reaction data were collected to estimate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risk factors. The ACL risk factors are knee maximum flexion angle, thigh maximum adduction angle, thigh maximum internal rotation angle, shank maximum abduction angle, shank maximum external rotation angle, knee maximum extension moment and knee maximum abduction moment. Data were analyzed with paired samples t-test with Bonfferoni collection. Female volleyball players with knee brace had no significant results in knee maximum flexion angle, thigh maximum adduction angle, thigh maximum internal rotation angle, shank maximum abduction angle and shank maximum external rotation angle compare to without knee brace. Female volleyball players, however, with knee brace showed more reduced knee maximum extension moment and knee maximal abduction moment than without knee brace. In conclusion, Female volleyball players with knee brace reduced anterior cruciate ligament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