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isture migration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6초

공기 중에 노출된 a-C : H 박막의 ESR 스펙트럼 변화 (ESR spectrum change for the a-C : H films exposed in the atmosphere)

  • 윤원주;이정근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5-71
    • /
    • 2004
  • PECVD 방법으로 증착된 a-C : H 박막들이 공기 중에 노출되었을 때 나타나는 ESR 스펙트럼의 변화가 조사되었다. 증착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공기 중에서 노출된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ESR 신호높이가 점차로 줄어들고 ESR 신호폭은 점점 더 넓어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스핀밀도는 샘플에 따라서 40-80% 정도로의 감소를 보였다. 공기 중에 노출된 a-C : H 박막의 스핀밀도의 감소는 공기 중의 수분의 침투와 후속적인 수소 확산 및 재배치에 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리고 공기 중에 있던 샘플들을 다시 진공 중에 놓아두면 ESR 신호높이는 다시 증가하고 신호폭은 다시 감소되었는데, 이것은 샘플에서 산소가 다시 빠져나감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결과적으로 공기 중에서 a-C : H 박막의 ESR 스펙트럼 변화는 이러한 스핀밀도의 감소 및 산소 침투와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제유물의 용도별 선호수종 연구 (A Study on Preferred Wood Species Depending on the Use Of Wooden Objects Excavated from Haman Seongsansansung Mountain Fortress)

  • 조석민;손병화;정아름;권지현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70-680
    • /
    • 2019
  • 본 연구는 다량의 목제유물이 출토된 삼국시대 함안 성산산성을 비롯하여 동시대로 생각되는 경상권 유적 목제유물의 수종분석 결과를 빗, 목간, 용기류 등의 용도별로 구분하여 비교함으써 용도에 따른 선호 수종이나 요구 특성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목간과 빗의 경우는 뚜렷한 선호 수종이 나타났고, 용기류의 경우는 비교적 중간 정도의 강도 특성을 갖는 목재로써 일정 부분 수분이 동의 저항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수종들이었다.

Changes of Isoflavones and Fatty Acids in Eoyukjang,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oysauce Prepared under the Ground in a Pot or an Incubator

  • Park, Yong-Woo;Lee, Seung-Wook;Chang, Pahn-Shick;Lee, Jong-Mee;Kim, Young-Suk;Lee, Jae-Hwa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48-52
    • /
    • 2009
  • Eoyukjang is a traditional Korean sauce made of cooked soypaste or meju supplemented with fish and meats at least 1 year of fermentation period. Eoyukjang was recovered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method and stored under the ground in a pot without plastic packaging (13G: 13 month fermentation under the ground) or in an incubator wrapped with plastic packaging (6I, 12I, and 18I: 6, 12, and 18 month fermentation, respectively). Distribution of isoflavones and fatty acids were monitor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d gas chromatography (GC), respectively. Total isoflavones in 13G, 6I, 12I, and 18I were 3.792, 0.387, 0.460, and $0.510{\mu}mol/g$, respectively. Samples of 13G had at least 8.24 times higher isoflavone contents than samples from 12I. Aglycones were the major isoflavones in eoyukjang and were found more than 92% in 13G and 39-63% in incubated samples. In fatty acid analysis, the ratios of unsaturated to saturated fatty acids from 13G were higher than those from 6I, 12I, and 18I. Traditional fermentation methods using a pot may allow more migration of air and moisture than samples wrapped with plastic packaging, which caused the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isoflavones and fatty acids.

수압에 따른 모르타르내 수분침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Water Penetration in Mortar by Water Pressure)

  • 유조형;이한승;조형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505-508
    • /
    • 2008
  • 콘크리트는 다공성 재료로써 타설 직후부터 사용년한 동한 각종 환경에 노출되어 물리적 혹은 화학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외부에 존재하는 황산염, 염화물 이온,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유해성분들은 장기간에 걸쳐 용액 혹은 기체 상태로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되어 콘크리트 구성물들과 물리적 혹은 화학적 상호작용을 일으켜 콘크리트내에 매설된 철근의 부식을 야기 시켜 콘크리트의 내구년한과 내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철근위치까지 유해한 열화인자가 임계부식량을 초과하는 경우 방청성분을 철근위치까지 확실하게 침투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나, 현재와 같이 콘크리트 표면에 방청제를 도포하여 침투 시키는 기술개발만으로는 철근위치에서의 방청성 확보가 곤란한 실정이다. 본 연구진은 철근위치까지 방청제를 침투시키기 위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공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압력 하에서 콘크리트내로의 수분이동과 같이 방청제에 따른 방청제 침투깊이를 명확히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수압에 따른 침투깊이 및 침투량을 측정하여 침투량과 침투 깊이와의 관계 및 가압 시간에 따른 침투 깊이와 침투량을 실험을 통하여 측정하여 침투계수 및 확산계수를 산정하고 가압시간과 수압에 따른 모르타르내에 침투깊이를 예측하였다.

  • PDF

The Effect of γ-Aminobutyric Acid Intake on UVB- Induced Skin Damage in Hairless Mice

  • Hairu Zhao;Bomi Park;Min-Jung Kim;Seok-Hyun Hwang;Tae-Jong Kim;Seung-Un Kim;Iksun Kwon;Jae Sung Hwa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1권6호
    • /
    • pp.640-647
    • /
    • 2023
  • The skin, the largest organ in the body, undergoes age-related changes influenced by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factors. The primary external factor is photoaging which causes hyperpigmentation, uneven skin surface, deep wrinkles, and markedly enlarged capillaries. In the human dermis, it decreases fibroblast function, resulting in a lack of collagen structure and also decreases keratinocyte function, which compromises the strength of the protective barrier.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reatment with γ-aminobutyric acid (GABA) had no toxicity to skin fibroblasts and GABA enhanced their migration ability, which can accelerate skin wound healing. UVB radiation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duce the produc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1 (MMP-1), but treatment with GABA resulted in the inhibition of MMP-1 production. We also investigated the enhancement of filaggrin and aquaporin 3 in keratinocytes after treatment with GABA, showing that GABA can effectively improve skin moisturization. In vivo experiments showed that oral administration of GABA significantly improved skin wrinkles and epidermal thickness. After the intake of GABA,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observed in the increase of skin thickness measured by calipers and erythema. Additionally, the decrease in skin moisture and elasticity in hairless mice exposed to UVB radiation was also significantly restored. Overall,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GABA as functional food material for improving skin aging and moisturizing.

스테비올 및 그 유도체의 세포연접 관련 클라우딘 8 발현 조절을 통한 세포이동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f Steviol and Its Derivatives on Cell Migration via Regulation of Tight Junction-related Protein Claudin 8)

  • 최선경;조남준;조욱민;심중현;김기광;황형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03-412
    • /
    • 2016
  • 밀착연접(tight junction, TJ)은 인접하는 표피 세포 사이를 서로 연결 및 접합하여 전해질과 수분의 이동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세포 내 신호를 전달하고 세포분열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TJ 관련 단백질들의 비정상적 발현은 암 발생 및 진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TJ 구성 단백질의 발현 조절은 피부 장벽 강화 및 보습 조절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 장벽 조절을 통해 피부 보습 조절에 관여하는 새로운 화장품 소재를 발굴하기 위해 여러가지 소재들에 대한 스크리닝을 수행하였다. 이 중 인공 감미료 소재로 널리 사용되는 스테비올 및 당 유도체(스테비오사이드)의 미백 및 주름 개선 등의 효능에 대한 기존 보고에 따라, 이들에 의한 TJ 조절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세포 활성 기능 시험을 수행하였다. MTS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inner salt)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스테비올은 human keratinocyte cell line인 HaCaT 세포에 $250{\mu}M$ 까지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Quantitative real-time PCR을 이용한 TJ 관련 단백질들의 mRNA 발현 변화를 통하여 스테비올에 의한 TJ 조절 기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스테비올은 TJ 관련 단백질 중 특이적으로 claudin 8을 대조군 대비 30% 수준까지 감소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세포이동에 의한 영향을 관찰한 결과 스테비올 처리에 의해 세포이동이 현저히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세포 장벽의 투과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표피세포 피부저항(transepithelial electric resistance, TEER) 분석 결과 스테비올에 의한 세포투과성(cell permeability) 또한 증가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에 반해, 스테비올 유도체(스테비오사이드, 리바우디오사이드)에서는 $1000{\mu}M$까지 세포 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claudin 8 발현 억제 및 세포이동 저해현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스테비올은 HaCaT 세포의 세포 독성, claudin 8 발현 억제, 그리고 세포 이동의 저해효과를 보이는 반면 스테비올 당 유도체인 스테비오사이드, 리바우디오사이드는 세포 독성 및 세포이동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 결과들은 스테비올 당 유도체가 향후 화장품 원료로써 스테비올보다 적합한 소재임을 시사한다.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한 강원도 계방산 지역 양서, 파충류의 종다양성 및 군집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Herpetofauna for the Biodiversity Conservation of Population Community Analysis and Species Diversity in the Gyebangsan Area Kangwondo)

  • 심재한;정규회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4-99
    • /
    • 1997
  • 계방산 일대에서 채집 및 관찰된 양서류는 2목 5과 9종이었으며, 파충류는 2아목 3과 10종이었다. 양서류 중에서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가 우점종으로 조사지역 전역에서 출현하였으며, 계방산 지역의 물두꺼비(Bufoi stejnegeri)는 여타의 지역에 비하여 밀도가 높았다. 산개구리(Rana dybowskii)는 수청골 계곡의 고인물에 다수의 유생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도롱뇽 (Hynobius leechii), 산개구리 (Rana dybowskii), 꼬리치레도롱뇽(Onychodactylus fisheri), 물두꺼비(Bufo stejnegeri), 두꺼비(Bufo bufo gargarizans)등 5종의 특정야생동물이 확인되었고, 또한 도롱뇽(Hynobius leechii), 물두꺼비(Bufo stejnegeri), 등 2종의 한국고유종이 발견되었다. 파충류는 10종이 확인되었는데 그중 도마뱀(Scincella laterale laterale), 능구렁이(Dianodon rufozonatus rufozonatus), 살모사(Agkistrodon brevicaudus), 까치살모사(Agkistrodon saxatilis), 대륙유혈목이(Amphiesma vibakari ruthveni) 그리고 무자치(Enhydris rufodorsata) 등 6종의 특정야생동물이 확인되었다. 수청골일대에서는 도마뱀과 아무르장지뱀의 집단서식지가 발견되었으며, 아무르장지뱀의 전체 서식밀도는 36마리/ha로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1995년 5워로가 7월에 도로 위에 압사된 개체수는 10종 404개체로 주로 1,2,3,4 Station에서 발견되었는데, 양서, 파충류의 이동을 원활히 하고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소형관거를 도로 밑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꼬리치레도롱뇽의 유생시기와 성체 생활장소의 이동거리는 500m정도이며, 주로 서식하는 장소는 토질에 수분이 많이 함유된 활엽수림이 극상을 이루는 지역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