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gyang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Comparison of forage yield and growth characteristic of two forage rice cultivars (cv. Mogyang and cv. Mogwoo) in a reclaimed rice field

  • Choi, Bumsik;Jang, Yeongmi;Lee, Su-Hwan;Chung, Nam-Jin;Cho, Jin-Woo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4호
    • /
    • pp.791-798
    • /
    • 2019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roughage productivity and feed value by using two domestic forage rice cultivars in a mid-west reclaimed rice field in Korea. During the growing period, Na+ content in soil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cultivars; however, the K+ content in the soi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which the Mogwo was grown. The tiller number was 45.5 to 58.8,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Mogyeong, and the leaf number was higher than that of Mogyeong. The dry matter yield per 10 a was 1,338 kg for Moggyang and 1,532 kg for Mogwoo. At the harvest time, the crude protein yield per 10 a produced 108 kg of Mogyang and 170 kg of Mogwoo, and the total digestion nutrient (TDN) yield per 10 a also produced about 617 kg of Mogyang and 880 kg of Mogwoo. To sum up the above results, Mogwo, which has many tiller numbers and leaf numbers, has a high dry matter production, a relatively low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ic detergent fiber (ADF), and a high crude protein yield and TDN yield, and it was better when cultivating the forage rice cultivars in reclaimed land.

기내 선발과 Saltol QTL 분석을 통한 내염성 증진 사료용 벼 선발 (Selection of Salt-Tolerant Silage Rice Through in vitro Screening and Saltol QTL Analysis)

  • 조철오;김경화;안억근;박향미;최만수;전재범;서미숙;진민아;김둘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3호
    • /
    • pp.214-22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간척지와 같은 염류집적 토양에서 재배가 가능한 사료용 벼 품종 개발을 위해 자포니카 우량품종 목양과 내염성 인디카 품종 IR64-Saltol 교배 계통으로부터 기내 선발 방법과 분자마커 분석을 통해 내염성 증진 계통을 선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목양과 IR64-Saltol 품종에 다양한 농도의 NaCl을 처리하여 신초 길이, 근장 및 생체중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목양은 IR64-Saltol과 비교하여 50 mM NaCl 농도에서 신초 길이, 근장 및 생체중이 심한 생육 저해를 보였다. 2. 목양과 IR64-Saltol 교배 54계통 224개체를 이용하여 기내 선발 방법을 통해 50 mM NaCl 처리 후 목양 대비 신초 길이, 근장 및 생체중이 양호한 5계통(767883, 767885, 767949, 767986, 767989)을 선발하였다. 3. 내염성 관련 양적형질인 Saltol QTL의 유래를 확인하기 위한 분자마커 분석 결과와 표현형 결과를 비교하여 IR64-Saltol에서 유래된 Saltol QTL이 이입된 계통들은 목양 유래 Saltol QTL이 혼재된 계통들과 비교하여 염 스트레스 시 신초 길이, 근장 및 생체중이 양호함을 확인하였고, 따라서 IR64-Saltol 유래 Saltol QTL의 이입이 내염성을 증진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4. 내염성 관련 핵심 유전자인 SKC1 발현은 염 처리 후 목양 대비 선발된 5계통 모두에서 높은 발현양을 보이나 목양 유래 QTL이 혼재된 2계통보다 IR64-Saltol QTL만 전이된 3계통에서 보다 높은 발현양을 보였다. 이러한 SKC1의 발현 양상이 선발된 계통들의 내염성에 관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5. 이상의 결과 기내 선발과 분자마커 분석을 통해 선발한 내염성 계통은 간척지와 같은 불량한 환경에서 작물 재배 및 생산이 가능한 내염성 품종 개발의 육종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enzobicyclon에 대한 총체 사료용 벼 품종의 약해 반응 (Phytotoxicity of Whole Crop Forage Rice to Benzobicyclon)

  • 양운호;손지영;김준환;정한용;안억근;김보경;박태선;윤영환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3호
    • /
    • pp.225-231
    • /
    • 2014
  • 담수표면산파와 이앙재배 조건에서 benzobicyclon에 대한 총체 사료용 벼 4품종 및 계통의 약해 반응 차이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목우는 모든 재배양식, 처리온도, benzobicyclon 처리량에서 100% 백화 증상을 보였다. 녹양, 목양, 수원560은 benzobicyclon 기준량 처리에서는 백화 증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매우 경미하였다. 그러나 benzobicyclon 배량 처리에서 이들 3품종 및 계통은 담수표면산파의 경우 백화 현상이 0-8% 발생하였고, $27^{\circ}C$의 고온 처리에서는 초장의 단축 정도가 컸다. 이앙재배의 경우 이들 3품종 및 계통은 평균기온 $18^{\circ}C$$21^{\circ}C$에서 백화 증상을 보이지 않았던 반면, $24^{\circ}C$$27^{\circ}C$에서는 품종에 따라 2-32%의 백화증상을 나타내었고 건물중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Benzobicyclon 배량의 고온처리에서 이와 같은 약해 증상은 일반형 품종인 일품에서도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목우는 benzobicyclon에 대한 약해가 매우 심하였으며, 녹양, 목양, 수원560은 benzobicyclon 기준량 처리에서는 약해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벼 5 품종의 발아와 유묘 내염성 및 간척지 이모작 논에서의 생육 평가 (Evaluation of Five Forage Rice Cultivars for Salinity Tolerance at the Seedling Stage and Cultural Practice in a Double-cropping Reclaimed Paddy)

  • 성필모;윤선웅;송은지;이수환;조진웅;정남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255-263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근에 육성된 사료용 벼 5 품종(목우, 목양, 미우, 조우, 영우)의 염농도에 따른 발아와 초기생육 특성, 그리고 간척지 논에서의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사료벼 종자의 발아율과 유묘 생장량은 목양 품종을 제외한 목우, 미우, 조우, 영우 품종은 0.1~0.5% 염수에서도 정상적인 범위에 있었다. 수경과 사경재배로 시험한 염농도에 따른 사료벼의 초기 생육은 목우벼와 영우벼가 다른 3품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생장량을 보였다. 그리고 초기 염농도가 0.3%인 무안 간척지 논에서 사료벼 5 품종을 재배한 결과, 사료벼 5품종 중 영우벼가 수량과 사료가치 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영우벼가 높은 염농도에서의 발아율과 초기 생육이 양호하였고, 간척지 논에서의 수량과 사료가치도 다른 품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Analysis of feed value for setting an optimal harvest time of whole crop rice cultivars for silage use

  • Ahn, Eok Keun;Hong, Ha Cheol;Won, Yong Jae;Jung, Kuk Hyun;Lee, Jeong Heui;Hyun, Ung J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73-73
    • /
    • 2017
  • To set an optimal harvest time of main 7 whole crop silage rice cultivars, Nokyang(Ny), Mogwoo(Mw), Mogyang(My), Jungmo1029(Jm1029), Jungmo1038(Jm1038), Nokwoo(Nw) and Yeongwoo(Yw), based on feed value, we analyzed their feed values such as percent crude protein(CP), crude fat(CF), crude ash(CA), neutral detergent fiber(NDF), acid detergent fiber(ADF) and lignin. It was evaluated every 10 days from heading to 40 days after heading(DAH). Total digestible nutrient(TDN) and relative feed value(RFV) was also calculated from ADF and NDF. As results, CP was generally in decline as increasing DAH in Ny, My, Jm1029, Jm1038 and Yw and decreased to 20 DAH in Mw, decreased after increasing to 30 days in Nw. The CP content of Ny was relatively the highest ranged from 5.3% to 10.1% and Mw the lowest 4.5% to 5.2%, compared to others. CF content tend to decrease as DAH increase in Ny, My and Nw and decreased after increasing to 30 days Jm1029, increased after decreasing to 20 days Jm1038 but was not shown distinct trend of increase or decrease in Mw. Especially, that of Yw's CF gradually increased as harvest time late but relative content the lowest from 1.46% to 2.29% among 7 cultivars. The CA content of Ny, My, Jm1029 and Jm1038 approximately decreased as DAH increased and that of Mw was similar to others after heading, Nw decreased after 10 days and Yw increased after flowering. In all 7 cultivars, NDF and ADF had a tendency to decrease as days accumulated, in particular, Yw was the lowest on 30 DAH and so the content of Yw's TDN the highest(71.5%), while the lowest(67.2%) in Nw. For lignin, particularly, Mw tend to be in decline as DAH increase and was the lowest ranged from 1.34% to 1.87%. ADF analyses allows for the evaluation of in vivo digestible dry matter(DDM) and energy availability and NDF analyses provides the best indication of dry matter intake(DMI). Ultimately, the two factors can be combined to derive RFV for forage. RFV in general increased as DAH increased in all cultivars and was in order, Yw>My>Ny> Jm1038>Mw>Jm1029>Nw on 30 DAH. Taken together when these results, despite a slight increase of TDN after 30 DAH except Yw, considering forage yield potential, digestibility of grains and gradual decrease of CP and CF, the yellow ripe stage, about 30 DAH, was appropriate to harvest whole crop rice for silage use.

  • PDF

중부 평야지에서 사료용 벼 주요품종의 수확시기 별 사료가치 및 수량성 (Feed Value and Yield Potential of Main Whole-Crop Silage Rice Cultivars with Harvesting Time in the Central Plains of Korea)

  • 안억근;원용재;박향미;정국현;현웅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4호
    • /
    • pp.294-303
    • /
    • 2018
  • 중부 평야지에서 사료용 벼 주요품종의 수확시기 별 사료성분 및 수량성 분석을 기초로 각 품종별 최적 수확시기를 구명하고자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원 벼 시험 포장에서 '영우' 등 사료용 벼 5품종으로 시험하여 2년간 검토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에 사용한 5 품종 중 '녹양'을 제외하고 출수 후 30일에는 대략 65% 내외의 수분함량을 보였다. 이는 수분함량 면에서는 '녹양'은 출수 후 20~30일 사이, 그 외 품종은 출수 후 30일경에 수확하면 양질 사일리지 조제에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2. 사료용 벼 주요 품종의 수확시기 별 사료가치를 분석한 결과, 조단백질과 조회분은 시험에 사용한 품종 모두에서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그러나 조지방은 시험한 품종에서 대체적으로 출수 일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다가 그 이 후에는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ADF와 NDF 함량은 모든 시험 품종에서 수잉기부터 출수 후 45일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ADF 함량으로 추정된 TDN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시험에 사용한 모든 품종에서 점차 증가하였으며 '녹우'를 제외한 4품종의 TDN함량이 70% 이상이 되는 시점은 출수 후 30일경이었다. 3. 건물수량성의 경우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시험한 모든 품종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각 품종별 최대건물수량은 출수 후 45일이나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는(p<0.05) 출수 일수는 '목우', '녹우'는 출수 후 30일, '녹양'과 '영우'는 출수 후 40일, '목양은 출수 후 20일이었다. 4. 이상의 결과인 수분함량, 사료성분, TDN함량, 건물수량성과 사료용 벼 재배 및 이용특성인 도복, 탈립성, 종실의 미소화성, 식용벼로서의 전환 등을 고려해 볼때 각 품종별 수확적기는 대체로 황숙기이나 '녹양'과 '목우'는 출수 후 30~40일, '목양', '녹우', '영우'는 황숙기인 출수 후 30일 경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