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rn sediment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5초

$^{87}Sr/^{86}Sr$비를 이용한 동중국해 대륙붕 퇴적물의 기원 연구 (Discrimination of Sediment Provenance Using $^{87}Sr/^{86}Sr$ Ratios in the East China Sea)

  • 윤정수;임동일;변종철;정회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0권1호
    • /
    • pp.92-99
    • /
    • 2005
  • 동중국해 대륙붕 니질 퇴적물의 기원을 밝히기 위해 퇴적물 중 주성분 원소들의 함량과 스트론튬 동위원소 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황하 및 양쯔 강 기원으로 추정되는 퇴적물의 자료와 비교 연구 하였다. 연구해역 퇴적물은 평균입도 $4{\sim}7\;\Phi$ 범위의 니질 퇴적상으로 구성되며, 탄산염 함량은 $3.9{\sim}11.5%$(평균 7.6%)범위이다 연구해역에서 대부분의 원소들의 함량과 공간 변화는 퇴적물의 입도와 해양 기원 물질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조절되며, 그 결과 퇴적물의 근원지에 따른 원소들의 함량 차이를 구분하는 것은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니질($63\;{\mu}m$ 이하) 퇴적물 부분만을 대상으로 탄산염을 제거한 후, 스트론튬 동위원소를 분석한 결과 연구해역 퇴적물의 $^{87}Sr/^{86}Sr$ 비는 $0.71445{\sim}0.72184$(평균 0.71747) 범위였으며, 양쯔 강 기원으로 해석되는 퇴적물의 $^{87}Sr/^{86}Sr$비는 $0.71197{\sim}0.71720$ 범위로, $0.72126{\sim}0.72498$ 범위의 값을 갖는 황하 강 기원으로 추정되는 퇴적물(산동반도 주변 해역 및 황해 중앙니질 퇴적물)보다 뚜렷이 낮다. 따라서 스트론튬 동위원소의 $^{87}Sr/^{86}Sr$비는 황하 강과 양쯔 강 기원의 퇴적물을 구분해 주는 유용한 지화학적 지시자로 제시될 수 있다. 또한, 연구해역의 니질 퇴적물은 기존의 연구결과와 달리 양쯔 강 기원이 우세한 것으로 해석되며, 최근 황해와 동중국해에서 보고된 퇴적물 이동 패턴과 물리.화학적 특성 자료는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한다.

제주도 주변해역 대륙붕 퇴적물의 지화학적 조성과 점토광물 연구 (Clay minerals and geochemistry of continental shelf sediment around Jeju Island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 윤정수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5-37
    • /
    • 2009
  • 제주도 주변해역에 분포하는 퇴적물의 기원을 밝히기 위해 이곳 표층 및 주상 퇴적물의 지화학적 조성과 점토광물 분석연구를 하였다. 해양에 점토광물의 분포는 주로 퇴적물 공급지 와 해양순환 패턴에 의해 지배를 받는다. 스멕타이트는 남황해 북서쪽 지역과 외대륙붕의 니토대 분포지역에 8% 이상의 높은 함량분포를 보이는데, 이는 세립질 부유퇴적물을 많이 함유한 중국의 황하강계로부터 주로 공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비교적 높은 함량의 고령토는 북동쪽의 연안역과 양자강 하구역에 가까운 남서쪽 지역에 분포하는데 이는 양자강과 한국의 강들로부터 공급된 것으로 보인다. $^{210}Pb$ 동위원소를 이용한 제주도 주변해역의 퇴적율은 0.20~0.54cm/yr 혹은 $0.15{\sim}0.42g/cm^2{\cdot}yr^{-1}$의 범위를 보였고 서쪽에서 동쪽을 향함에 따라 퇴적율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황하와 양자강 기원 부유퇴적물이 제주도 주변해역까지 이동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지화학적 구분지수 도표에서 제주도 주변해역은 중국의 강들 중 황하강기원 퇴적물이 주를 이루나 북동쪽 지역은 한국의 강과 제주 기원 퇴적물이 일부 분포하고 있다.

  • PDF

Difference of Clay Mineral Compositions between Holocene and Late Pleistocene Tidal Deposits in the Haenam Bay, Korea: Evidence of Subaerial Exposure and Weathering

  • Park, Yong-Ahn;Choi, Jin-Yong;Lim, Dhong-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2권3호
    • /
    • pp.138-144
    • /
    • 1997
  • The tidal deposits in the Haenam Bay, southwest coast of Korea, are stratigraphically divided at least into two units (Unit I of Holocene and Unit II of late Pleistocene) based on the obtained vibracoring sediments. In Unit I, clay minerals of illite, chlorite, kaolinite and smectite are observed as similar to those of the other modern tidal deposits. Of note, however, is the absence of smectite and chlorite in the upper part of Unit II compared with the clay mineral compositions of Unit I. It is concluded that the subaerial weathering and diagenetic effects rather than depositional processes are responsible for the positive and characteristic differences in clay mineral compositions between two units, that is, the upper part of Unit II was exposed subaerially and weathered diagenetically prior to the late Holocene transgression. Therefore, the bounding relationship between Unit I and Unit II is unconformable.

  • PDF

연일지역 신생대 제삼기 마이오세층의 화석화분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es of Fossil Pollen of Tetiary Miocene in the Yeonil Area, Korea)

  • Chang, Nam-Kee;Ki-Wan Kim;Jae-Geun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1권3호
    • /
    • pp.137-144
    • /
    • 1988
  • The use of modern pollen spectra for comparative interpretation of fossil pollen sequence requires the ability to distinguish different vegetation types by their pollen spectra, which may show similarities to fossil assemblages. Tertiary marine and non-marine sediments, the Yeonil Group, of the Yeonil area, Korea, was found thirty-two palynomorphic genera. One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Yeonil geo-flora is predominance of coniferous trees over shrubs, herbs, and ferns. Miocene deposits of Yeonl area, Korea, ae differentiated with five zones. According to the pollen diagram it can be inferred the climate of the Tertiary Miocene of the Yeonil area, Korea.

  • PDF

Modern Dinoflagellate Cysts Distribution off the Eastern Part of Geoje Island, Korea

  • Shin, Hyeon-Ho;Yoon, Yang-Ho;Matsuoka, Kazumi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2권1호
    • /
    • pp.31-39
    • /
    • 2007
  •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dinoflagellate cysts in surface sediments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eastern part of Geoje Island, Korea.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0 stations in February of 2004 and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measured in February, May, September and November of 2004. Total 30 taxa of dinoflagellate cysts were identified representing 19 genera, 28 species and 2 unidentified species. Among these dinoflagellate cysts, Brigantedinium spp. of which relative proportion in th e total dinoflagellate cysts was 23.5%, was the most abundant at all stations except St. 1, and was followed by Spiniferites bulloideus (8.6%), Lingulodinium machaerophorum (8.2%) and Diplopsalis lenticula (6.7%). In addition, ellipsoidal cysts of the genus Alexandrium (Alexandrium catenella - tamarense type) and Gymnodinium catenatum, known to be causative organisms for PSP, occurred with high concentrations. Scrippsiella trochoidea was also found; however, its cyst concentration was low. Generally, species composition in the study area was similar to these reported from Jinhae Bay and Busan Harbor and several dinoflagellate cysts reflected the eutrophic condition. Cyst distribution in th e eastern part of Geoje Island seems to be influenced by the Tsushima Warm Current flowing from the southwest. The mean water temperature was $12.0^{\circ}C$ in February, $14.7^{\circ}C$ in May, $20.9^{\circ}C$ in September and $17.2^{\circ}C$ in November, which was most favorable for Alexandrium spp. growth. The abundances of dinoflagellate cysts rang e d from 528 to 2,834 cysts/g dry sediment. Higher concentrations were recognized in sediments of west area of the Jisimdo than at other stations. The cyst composition of this area was closely related to these of Jinhae Bay and Busan Harbor from which currents flow into this area. Higher cyst concentration in the west area of Jisimdo might be due to formation of the gyre.

한반도 남부지역의 저수지에서 계절 변화에 따른 규조류 변화 기록 (Modern diatom seasonal variation records from the bottom sediments of reservoirs, southern area in Korean Peninsula)

  • 박영숙;이상헌;김동욱;이은미;김용미;전창표;김진철;최한우;신문상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32권1_2호
    • /
    • pp.1-29
    • /
    • 2018
  • 한반도 남부에 분포하는 저수지로부터 규조의 계절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마지저수지, 죽토저수지, 월정소류지(남동부), 화영과 화동저수지, 월용저수지(남중부), 원선2제, 장동제와 만년1제(남서부)등 총 8곳으로부터 계절별로 수거한 저수지 퇴적물 시료를 분석하였다. 규조를 분석한 결과, 남동부 지역에서는 우점종으로서 Aulacoseira spp., Fragilaria crotonensis, Fragilaria tenera, Gomphonema gracile, G. parvulum, Gyrosigma attenuatum등이 산출되었다. 남중부 지역에서는 Aulacoseira spp., Cymbella tumida, Cymbella turgidula, Diploneis finnica, Fragilaria crotonensis등이 우점으로 산출되었다. 남서부 지역에서는 Aulacoseira spp., Fragilaria crotonensis, Gomphonema parvulum, Stenopterobia curvular가 역시 우점으로 산출되었다. 산출된 대부분의 우점종들이 청정수역에서 서식하는 종(Saproxenous taxa)들로서 이들 저수지의 수질 환경은 오염되지 않은 수역으로 생각된다. 계절별로 규조의 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겨울철보다 여름철에 더욱 풍부하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나, 남동부의 저수지들에서는 2월보다 5월에 채취한 시료들에서 규조의 개체수 농도가 낮아지는 특징을 보인다.

남극 로스해 펜넬-이젤린 퇴 동쪽 대륙사면의 코어 RS14-GC2의 점토광물의 기원지 연구 (Origin of Clay Minerals of Core RS14-GC2 in the Continental Slope to the East of the Pennell-Iselin Bank in the Ross Sea, Antarctica)

  • 하상범;김부근;조현구;에스터 콜리자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2
    • /
    • 2018
  • 남극 로스해 펜넬-이젤린 퇴의 동쪽 대륙사면에 위치한 정점 RS14-C2에서 2014년 PNRA XXIX 탐사(Rosslope II Project)동안 중력코어(RS14-GC2)를 획득하였다. 퇴적물의 기원지 추정을 위하여 대자율, 모래 입자 함량, 점토광물 조성을 분석하고 AMS $^{14}C$ 연대를 측정하였다. 퇴적물은 주로 빙운쇄설물을 포함한 반원양성 사질 점토 또는 실트질 점토로 구성되어 있다. 코어의 최상부 연대는 현생 퇴적물과 홀로세 퇴적물을 지시한다. 방사성 탄소동위원소 연대와 퇴적물의 색, 대자율 및 모래 입자 함량을 이용하여 코어 퇴적물을 간빙기와 빙하기 퇴적물로 구분하였다. 간빙기의 갈색퇴적물은 대자율과 모래 입자 함량이 낮은 반면에 빙하기의 회색퇴적물은 대자율과 모래 입자 함량이 높다. 코어 퇴적물의 점토광물 조성은 전체적으로 일라이트(61.8~76.7%)가 가장 우세하며, 녹니석(15.7%~21.3%), 카올리나이트(3.6%~15.4%), 그리고 스멕타이트(0.9~5.1%)의 순서로 나타나고, 간빙기와 빙하기/후빙기로 뚜렷하게 구분된다. 빙하기 동안 일라이트와 녹니석 함량이 우세한 것은 퇴적물의 기원지가 주로 로스해 빙상 하부에 위치한 남극종단산맥의 기반암을 지시하기 때문이다. 반면 빙상 후퇴에 의한 일라이트와 녹니석의 공급이 감소되어 간빙기 동안 상대적으로 스멕타이트 함량이 약간 증가하며 카올리나이트 함량은 많이 증가한다. 더불어 간빙기 동안 로스해 서안의 빅토리아랜드 연안의 맥머도 화산군에서 북동쪽으로 흐르는 해류에 의해 스멕타이트가 추가로 공급되며, 카올리나이트는 카올리나이트의 함량이 풍부한 퇴적암이 분포하는 에드워드 7세 반도에서 공급되고 대륙사면류에 의해 대륙사면으로 운반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A Pesticide Residue Risk Assessment from Agricultural Land Using GIS

  • Lee, Ju-Young;Krishina, Ganeshy;Han, Moo-Young;Yang, Jung-Seok;Choi, Jae-Young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3권3호
    • /
    • pp.107-111
    • /
    • 2008
  • Water quality contamination issues are of critical concern to human health, whilst pesticide release generated from irrigated land should be considered for protecting natural habitats and human health. This paper suggests new method for evaluation and analysis using the GIS technique based on integrated spatial modeling framework. The pesticide use on irrigated land is a subset of the larger spectrum of industrial chemicals used in modern society. The behavior of a pesticide is affected by the natural affinity of the chemical for one of four environmental compartments; solid matter, liquid, gaseous form, and biota. However, the major movements are a physical transport over the ground surface by rainfall-runoff and irrigation-runoff. The irrigated water carries out with the transporting sediments and makes contaminated water by pesticide. This paper focuses on risk impact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using GIS technique. Also, generated data on pesticide residues on farmland and surface water through GIS simulation will be reflected to environmental research programs. Finally, this study indicates that GIS application is a beneficial tool for spatial pesticide impact analysis as well as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고해상 탄성파 자료를 이용한 황해 중부 해역에서의 제4기 퇴적환경 (Quaternary Depositional Environments in the Central Yellow Sea Interpreted from Chirp Seismic Data)

  • 허식;천종화;한상준;신동혁;이희일;김성렬;최동림;이용국;정백훈;석봉출
    • 지구물리
    • /
    • 제2권3호
    • /
    • pp.191-200
    • /
    • 1999
  • 정밀 탄성파 탐사자료의 분석에 의하면 황해 중부의 퇴적환경은 크게 중국쪽 황하의 삼각주(delta) 환경, 황해 중심부의 침식대(erosional zone), 그리고 한국쪽의 모래퇴(sand ridge) 및 모래파(sand wave) 환경으로 뚜렷하게 구분된다. 중국 황하 말단부에서는 전진퇴적 양상의 삼각주 전면(delta front)에서 점진적으로 전위삼각주(prodelta)로 변한다. 삼각주 퇴적물들은 황해 중심부로 이동하지 못하고, 대부분이 산동반도를 돌아서 남하한다. 황해 중심부에 발달한 침식대에서는 북서-남동 방향으로 발달한 다수의 해저수로들과 불규칙한 형태의 침식면이 관찰된다. 이 해역의 일부에서는 선현세 산화대층이 해저면에 노출되어 있는데, 홀로세 동안에 퇴적물의 집적보다는 무퇴적 또는 침식작용이 우세하였음을 지시한다. 한국측 주변 해역에서는 규칙적인 배열 및 형태를 갖는 모래퇴 또는 모래파들이 발달되어 있다. 이 모래질 퇴적물들은 대부분이 저해수면 시기에 하천으로부터 공급된 퇴적물로서 해수면이 다시 상승할 때 재동·잔류된 것으로 해석된다. 현생 모래퇴들은 북동-남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이것은 조류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 PDF

Past sea surface temperature of the East Sea inferred from alkenone

  • Lee, Kyung-Eun;Kim, Kyung-Ry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7권1호
    • /
    • pp.27-34
    • /
    • 2002
  • We measured the alkenone concentration of bulk sediments from a piston core collected from the Ulleung Basin in the East Sea in order to reconstruct past sea surface temperatures (SST). Sediment ages are well constrained by AMS $^{14}C$ dates of the planktonic foraminifera Globigerina bulloides. Coretop alkenone SST calibration with modern surface temperatures and sediment trap dat (Hong et al., 1996) indicate that the SST estimated from alkenones most likely represent the temperatures of late fall. Downcore variations in the alkenone saturation index indicate that between 19 and 15 kyr BP the surface waters were about $3^{\circ}C$ warmer than today. Between 15 and 11 kyr BP, the temperatures were about $3^{\circ}C$ lower than today. A rapid SST increase of about $3^{\circ}C$ occurred at approximately 10 kyr BP. After considering the factors which might influence the SST reconstruction from the $U^{k'}_{37}$ values, we conclude that the alkenone temperature estimates are reliable. The reason for glacial warming in the East Sea is not clear, although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could be caused by shift in the season of maximum alkenone production from summer during the last glaciation to late fall during the Holocene. Cooling between 15 and 11 kyr BP may be due to inflow of cold water into the East Sea such as via the Oyashio Current or ice-melt water. Warming at the early Holocene could be due to inflow of the Tsushima Current into the East Sea through the Korea Str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