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ling

검색결과 30,976건 처리시간 0.054초

모델베이스 설계를 위한 개념적 모델링 도구에 관한 연구 (A Conceptual Modeling Tools for the Model Base Design)

  • 정대율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7권1호
    • /
    • pp.181-208
    • /
    • 1998
  • In many literatures of model management, various schemes for representing model base schema have proposed. Ultimately, the goal is to arrive at a set of mutually supportive and synergistic methodologies and tools for the modeling problem domain and model base design. This paper focus on how best to structure and represent conceptual model of problem domain and schema of model base. Semantic concepts and modeling constructs are valuable conceptual tools for understand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constraints involved in an model management environment. To this end, we reviewed the model management literature, and analyzed the constructs of modeling tools of data model management graph-based approach. Although they have good tools but most of them are not enough for the representation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constraints. So we wanted more powerful tools which can represent diverse constructs in a decision support modeling and model base schema design. For the design of a model base, we developed object modeling framework which uses Object Modeling Techniques (OMT). In Object Modeling Framework, model base schema are classified into conceptual schema, logical schema, and physical schema. The conceptual schema represents the user's view of problem domain, and the logical schema represents a model formatted by a particular modeling language. The schema design, this paper proposes an extension of Object Model to overcome some of the limitations exhibited by the OMT. The proposed tool, Extended Object Model(EOM) have diverse constructs for the representation of decision support problem domain and conceptual model base schema.

  • PDF

모델링 활동에 대한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 (Perception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on Modeling Activity)

  • 하지희;이화종;강성주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187-205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자의 사고과정을 반영한 모델링 탐구를 적용한 후 모델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기체의 확산, 이온의 전도도, 이온의 이동에 대한 모델링 모듈을 과학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모델링 모듈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터뷰, 실험보고서, 대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모델링 탐구가 과학자의 연구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활동이며, 모델링 탐구는 '생각의 근육'을 키우는 활동, '새로운 시각'과 '다양한 표현'이 필요한 활동, '실험 디자인' 과정이 포함된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다양한 모델링 모듈의 개발이 필요하다.

Effects of numerical modeling simplification on seismic design of buildings

  • Raheem, Shehata E Abdel;Omar, Mohamed;Zaher, Ahmed K Abdel;Taha, Ahmed M
    • Coupled systems mechanics
    • /
    • 제7권6호
    • /
    • pp.731-753
    • /
    • 2018
  • The recent seismic events have led to concerns on safety and vulnerability of Reinforced Concrete Moment Resisting Frame "RC-MRF" buildings. The seismic design demands are greatly dependent on the computational tools, the inherent assumptions and approximations introduced in the modeling process. Thus, it is essential to assess the relative importance of implementing different modeling approaches and investigate the computed response sensitivity to the corresponding modeling assumptions. Many parameters and assumptions are to be justified for generation effective and accurate structural models of RC-MRF buildings to simulate the lateral response and evaluate seismic design demands. So,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reliable finite element model through many refinements in modeling the various structural components. The effect of finite element modeling assumptions, analysis methods and code provisions on seismic response demands for the structural design of RC-MRF buildings are investigated. where, a series of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were created to study various approaches to quantitatively improve the accuracy of FE models of symmetric buildings located in active seismic zones. It is shown from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es that the use of a calibrated frame model which was made up of line elements featuring rigid offsets manages to provide estimates that match best with estimates obtained from a much more rigorous modeling approach involving the use of shell elements.

TMUML: A Singular TM Model with UML Use Cases and Classes

  • Al-Fedaghi, Saba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6호
    • /
    • pp.127-136
    • /
    • 2021
  • In the systems and software modeling field, a conceptual model involves modeling with concepts to support development and design. An example of a conceptual model is a description developed using the Unified Modeling Language (UML). UML uses a model multiplicity formulation approach, wherein a number of models are used to represent alternative views. By contrast, a model singularity approach uses only a single integrated model. Each of these styles of modeling has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This paper introduces a partial solution to the issue of multiplicity vs. singularity in modeling by adopting UML use cases and class models into the conceptual thinging machine (TM) model. To apply use cases, we adopt the observation that a use-case diagram is a description that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art of the system represented by the use case in addition to being useful to people outside of the system. Additionally, the UML class diagram is recast in TM representation. Accordingly, we develop a TMUML model that embraces the TM specification of the UML class diagram and the internal structure extracted from the UML use case. TMUML modeling introduces some of the advantages that have made UML a popular modeling language to TM modeling. At the same time, this approach supplies UML with partial model singularity. The paper details experimentation with TMUML using examples from the literature. Our results indicate that mixing UML with other models could be a viable approach.

Exploring Opportunities for Mathematical Modeling in Korean High School Textbooks: An Analysis of Exponential and Logarithmic Function Tasks

  • Hyun Joo Song;Yeonseok Ka;Jihyun Hwa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6권3호
    • /
    • pp.253-270
    • /
    • 2023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Korean high school textbooks incorporat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ngage in the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through tasks related to exponential and logarithmic functions. The tasks in three textbooks were analyzed based on the actions required for each stage in the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which includes identifying essential variables, formulating models, performing operations, interpreting results, and validating the outcomes. The study identified 324 units across the three textbooks, and the reliability coefficient was 0.869, indicating a high level of agreement in the coding proces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distribution of tasks requiring engagement in each of the five stages was similar in all three textbooks, reflect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national curriculum system. Among the 324 analyzed tasks,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units required performing operations found in the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The findings suggest a need to include high-quality tasks that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the entire process of mathematical modeling and to acknowledge the limitations of textbooks in providing appropriate opportunities for mathematical modeling with a heavy emphasis on performing operations.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ies and the reconstruction of textbook tasks in school mathematics, emphasizing the need to enhanc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ngage in mathematical modeling tasks and for teachers to provide support for students in the tasks.

중학교 과학수업에 적용한 글쓰기를 활용한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의 효과 (The Impact of the Argument-based Modeling Strategy using Scientific Writing implemented in Middle School Science)

  • 조혜숙;남정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83-592
    • /
    • 2014
  • 이 연구는 글쓰기를 활용한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이 학생들의 모델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에서 다중표상의 적용여부가 학생들의 모델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공학 중학교 1학년 세 개 학급(66명) 중 두 개 학급(43명)은 실험집단으로, 한 개 학급(23명)은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을 적용한 두 개 실험집단 중에서 한 개 학급은 AbRM집단(Argument-based multimodal Representation and Modeling, 논의-기반 다중표상 및 모델링 집단, 22명), 다른 한 개 학급은 AbM집단(Argument-based Modeling, 논의-기반 모델링 집단, 21명), 나머지 한 개 학급은 비교집단(23명)으로 선정하였다.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은 인지 과정, 해석 과정, 적용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험집단은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의 인지과정과 해석 과정을 공통적으로 수행하고 적용 과정에서 차이를 두었다. AbRM집단은 논의-기반 다중표상 및 모델링을 적용하였고, AbM 집단은 논의-기반 모델링을 적용했으며, 비교집단은 전통적 수업방식을 적용하였다.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이 학생들의 모델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AbRM집단의 경우 통합적 모델링 수준에서 다른 두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고, AbM집단은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모델링 능력 검사의 하위요소인 문제인식, 과학개념 구조화, 주장-증거 적절성, 다중표상 지수에서 AbRM집단의 경우 모든 하위요소에서 AbM집단과 비교집단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AbM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논의-기반 모델링 전략은 모델링의 목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자신이 만든 모델을 논의와 글쓰기를 통해 과학적 언어를 사용하여 스스로 정리하거나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고 교환하는 과정을 통해 모델을 평가하고 수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학생들의 모델링 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모델링 실천을 통한 과학 영재학생들의 메타모델링 지식 구성요소별 인식수준 분석 (Analysis of the Cognitive Level of Meta-modeling Knowledge Components of Science Gifted Students Through Modeling Practice)

  • 김기향;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7권1호
    • /
    • pp.42-53
    • /
    • 2023
  • 본 연구는 화학교과 내용 맥락 하에서 모델링 실천을 통해 드러난 메타모델링 지식 구성요소별 인식수준을 진단함으로써 메타모델링 지식과 통합된 모델링 실천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A 과학 영재학교 2학년 재학생 16명을 대상으로 화학 교사가 변칙현상이 포함된 탐구기반 모델링을 진행하였으며, 모델의 가변성, 모델의 다중성, 모델링 과정 등 메타모델링 지식 구성요소별 인식수준을 분석하기 위하여 학생이 기록한 탐구노트와 연구자가 기록한 관찰노트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인식수준은 0단계부터 3단계까지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메타모델링 지식의 구성요소 중 모델링 과정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모델의 다중성 다음으로 모델의 가변성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 가변성에 대한 낮은 인식수준의 원인은 학생들이 개념모델을 객관적 사실로 인식하는 것과 관련이 깊고, 모델 다중성에 대한 낮은 인식수준의 원인은 주어진 현상에 대해 오직 하나의 올바른 모델이 존재한다는 신념과 관련이 있다. 학생들은 개념모델을 화학기호와 같은 상징적 모델을 이용하여 정교화하였으나 모델링 전 과정에 영향을 주는 자료해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다. 모델의 본성을 명시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사전활동의 도입하고, 자료해석의 중요성을 구체적 예시를 통해 안내할 필요가 있다. 다른 관점에서 제안된 모델의 수용 가능성을 고려하고 검증하는 훈련이 모델링 실천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수학 교과서 과제의 수학적 모델링 과제로의 변형 과정에서 겪는 초등학교 교사의 어려움과 수학적 모델링 과제 개발을 위한 지식의 변화: 한 경력 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Analyzing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and mathematical modeling knowledge improvement in the process of modifying a mathematics textbook task to a mathematical modeling task: Focused on an experienced teacher)

  • 정혜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3호
    • /
    • pp.363-38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가 수학 교과서 과제를 수학적 모델링 과제로 변형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수학적 모델링 과제 개발을 위한 지식 변화의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0년 경력의 초등교사가 교사연구공동체의 반복적인 논의에 참여하면서 초등학교 5학년 수학의 자료와 규칙성 영역 중 평균 지도를 위한 과제를 수학적 모델링 과제로 변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는 과제 변형 과정에서 현실성의 반영, 수학적 모델링 과제의 적절한 인지적 수준 설정,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 따른 세부 과제의 제시에 어려움을 겪었다. 둘째, 반복된 과제 변형을 통해, 교사는 학습 내용과 학생의 인지적 수준을 고려한 현실성 있는 과제의 개발, 과제의 복잡성 및 개방성 조정을 통한 과제의 인지적 수준 조정, 학생의 과제 해결 과정에 대한 사고실험을 통한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 따른 세부 과제의 제시를 수행할 수 있었으며, 이는 수학적 모델링의 개념과 과제의 특징 등 수학적 모델링 과제 개발을 위해 요구되는 교사 지식이 향상되었음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수학적 모델링 교사교육과 관련하여, 교과서 과제 변형을 통한 수학적 모델링 과제 개발 역량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는 교사교육, 수학적 모델링의 이론 및 실제를 결합한 교사교육, 교사연구공동체에의 참여를 통한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시청각적 모델링의 관찰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재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Observation of an Audio-Visual Modeling on the Rehabilitation of Upper Limb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박상범;김미현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audio-visual modeling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rehabilitative program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observing these various models on the capacity of stroke patients to perform upper limb activities. Twenty-one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ask modeling, sport modeling, or control group. During 2 weeks of intervention, subjects in all groups participated in the physical practice of experimental tasks. These tasks comprised of a Nine Hole Peg Test, the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s, and locomotion. These tasks were performed 5 days a week, 30 min per day. In addition to the physical practice, the task modeling group observed a model performing experimental tasks and locomotive activities for 20 min, while the sport modeling group observed a model performing various sport activities for 20 min. Subjects' ability to perform the experimental tasks was measured 3 times,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1 week after the intervention. Analyses of the capacity to perform upper extremity activities displayed significant improvement from the pre-test to immediate and delayed post-tests in all groups. However, the amount of improvement was the highest in the task modeling group. The task modeling group was superior to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test of all experimental tasks, whereas the sport modeling group did not displa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udio-visual modeling can be used as an effective cognitive intervention for facilitating the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and its rehabilitative effect can be maximized when the program is comprised of performance scenes directly related to the target task.

  • PDF

초등수학에서 수학적 모델링 적용 필요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Need for Applying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Elementary Schools)

  • 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83-501
    • /
    • 2013
  • 본 연구는 초등수학에서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적용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이를 위해 이론적 문헌 분석에 초점을 두었다. 우리나라 수학교육은 학생들의 높은 성취도에도 불구하고 여러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수학적 모델링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모델링이 학교수학의 유의미한 목표 및 방법으로써 연구자들의 관심을 갖게 된 배경과 수학적 모델링의 정의, 그리고 문제해결과 수학적 모델링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잘 알려진 세 가지 수학적 모델링의 과정을 제시하고 각 모델링 과정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초등수학에서 수학적 모델링이 적용된 국내와 외국의 연구 사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 부분에서는 초등수학에서 수학적 모델링 연구의 문제점 및 우리나라에서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야 할 필요성과 의미에 대해 제시하고, 또한 교사들의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