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xture gaussian

검색결과 506건 처리시간 0.028초

An Effective Denoising Method for Images Contaminated with Mixed Noise Based on Adaptive Median Filtering and Wavelet Threshold Denoising

  • Lin, Li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4권2호
    • /
    • pp.539-551
    • /
    • 2018
  • Images are unavoidably contaminated with different types of noise during the processes of image acquisition and transmission. The main forms of noise are impulse noise (is also called salt and pepper noise) and Gaussian noise. In this paper, an effective method of removing mixed noise from images is proposed. In general, different types of denoising methods are designed for different types of noise; for example, the median filter displays good performance in removing impulse noise, and the wavelet denoising algorithm displays good performance in removing Gaussian noise. However, images are affected by more than one type of noise in many cases. To reduce both impulse noise and Gaussian noise, this paper proposes a denoising method that combines adaptive median filtering (AMF) based on impulse noise detection with the wavelet threshold denoising method based on a Gaussian mixture model (GMM).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achieves much better denoising performance than the median filter or the wavelet denoising method for images contaminated with mixed noise.

야간 영상 감시를 위한 GMM기반의 배경 차분 (Background Subtraction based on GMM for Night-time Video Surveillance)

  • 여정연;이귀상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4권3호
    • /
    • pp.50-5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야간 영상 감시(night-time video surveillance)에 특화된 GMM(Gausssian mixture model)기반의 배경 모델링(background modeling)을 이용한 배경 차분(background subtraction)방법을 제안한다. 야간 영상에서는 낮 영상에 비해 배경과 객체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아 매우 흡사한 픽셀 값들을 이용하여 배경을 분리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처리 단계에서 조정된 범위의 히스토그램 스트레칭을 이용하여 입력 픽셀 값을 배경 모델링에 이로운 픽셀 값으로 변경해준다. 조정된 픽셀 값을 이용하여 가장 이상적인 배경을 찾기 위해 픽셀 단위로 GMM기반의 배경 모델링 방법을 적용한다. GMM을 기반으로 한 배경모델링 방법에서는 새로운 픽셀 값이 입력되었을 때 어떤 가우시안에도 속하지 않는다면 가장 낮은 가중치를 가진 가우시안 분포를 제거함으로써 이전의 축적된 배경의 정보를 무시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낮은 가중치의 가우시안을 제거하는 대신 기존 가우시안의 평균과 입력된 픽셀 값의 차를 이용하여 새로운 평균에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쌓여진 정보를 고려한다. 실험결과 제안된 배경 모델링 방법이 기존 방법의 이점을 유지하면서 야간 영상 감지에 특화된 배경 차분 결과를 보였다.

헬스케어 로봇으로의 응용을 위한 음색기반의 감정인식 알고리즘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Timbre-based Emotion Recognition Algorithm for a Healthcare Robot Application)

  • 공정식;권오상;이응혁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3-46
    • /
    • 2009
  • 음성신호는 화자에 대한 고유한 정보와 주변의 음향환경에 대한 정보는 물론 감정과 피로도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에 음성신호를 이용한 연구분야에서 감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 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화자의 감정을 인식하기 위해 ETSI의 3GPP2 표준코덱인 Selectable Mode Vocoder(SMV)를 분석한다. 이를 기반으로 감정 인식에 효과적인 특징들을 제안한다. 이후 선정된 특징 벡터를 이용하여 Gaussian Mixture Model(GMM) 기반의 감정 인식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Mixture component 개수를 변화시키면서 성능을 검증한다.

  • PDF

Improved Algorithm for Fully-automated Neural Spike Sorting based on Projection Pursuit and Gaussian Mixture Model

  • Kim, Kyung-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 /
    • 제4권6호
    • /
    • pp.705-713
    • /
    • 2006
  • For the analysis of multiunit extracellular neural signals as multiple spike trains, neural spike sorting is essential. Existing algorithms for the spike sorting have been unsatisfactory when the signal-to-noise ratio(SNR) is low, especially for implementation of fully-automated systems. We present a novel method that shows satisfactory performance even under low SNR, and compare its performance with a recent method based 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and fuzzy c-means(FCM) clustering algorithm. Our system consists of a spike detector that shows high performance under low SNR, a feature extractor that utilizes projection pursuit based on negentropy maximization, and an unsupervised classifier based on Gaussian mixture model.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feature extractor gives bette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PCA, and the proposed combination of spike detector, feature extraction, and unsupervised classification yields much better performance than the PCA-FCM, in that the realization of fully-automated unsupervised spike sorting becomes more feasible.

개선된 적응적 가우시안 혼합 모델을 이용한 객체 검출 (Advanced Gaussian Mixture Learning for Complex Environment)

  • 박대용;김재민;조성원;김준범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5권 제2호
    • /
    • pp.283-289
    • /
    • 2005
  • Background Subtraction은 움직이는 물체 검출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배경이 복잡하고 변화가 심한 경우, 배경을 실시간으로 얼마나 정확하게 학습하는가가 물체 검출의 정확도를 결정한다. Gaussian Mixture Model은 이러한 배경의 모델링에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이다. Gaussian Mixture Model은 확률적 학습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물체가 자주 지나다니거나 물체가 멈춰있는 경우, 배경을 정확하게 모델링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밝기 값에 대한 확률적 모델링과 밝기 값의 변화에 따른 처리를 결합하여 혼잡한 환경에서 배경을 정확하게 모델링할 수 있는 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 PDF

Performance of GMM and ANN as a Classifier for Pathological Voice

  • Wang, Jianglin;Jo, Cheol-Woo
    • 음성과학
    • /
    • 제14권1호
    • /
    • pp.151-162
    • /
    • 2007
  • This study focuses on the classification of pathological voice using GMM (Gaussian Mixture Model) and compares the results to the previous work which was done by 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Speech data from normal people and patients were collected, then diagnosed and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categories. Six characteristic parameters (Jitter, Shimmer, NHR, SPI, APQ and RAP) were chosen. Then the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Gaussian mixture method was employed to discriminate the data into normal and pathological speech. The GMM method attained 98.4% average correct classification rate with training data and 95.2% average correct classification rate with test data. The different mixture number (3 to 15) of GMM was used in order to obtain an optimal condition for classification. We also compared the average classification rate based on GMM, ANN and HMM. The proper number of mixtures on Gaussian model needs to be investigated in our future work.

  • PDF

연기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한 실외 화재 감지 (Fire Detection in Outdoor Using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Smoke)

  • 김현태;박장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49-154
    • /
    • 2014
  • 실외에서 영상기반의 화재감지는 시간, 날씨 변화에 따른 조도와 그림자 등에 의하여 성능에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주간에 화재감지를 위하여 외부조명 변화에 강건한 배경추정 알고리즘과 결합된 연기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혼합 가우스 모델(mixture Gaussian model)을 배경추정에 적용하고 분리된 후보영역에 대하여 연기의 통계적 특성을 적용하여 연기를 검출한다. 주간 야외에서 획득한 영상에 대하여 제안하는 방법이 실외 연기검출에 유용한 것을 확인한다.

변분 근사화 분포의 유도 및 변분 베이지안 가우시안 혼합 모델의 구현 (Implementation of Variational Bayes for Gaussian Mixture Models and Derivation of Factorial Variational Approximation)

  • 이기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249-1254
    • /
    • 2008
  • 그래프 모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관찰 데이터가 주어진 상황에서 은닉 변수와 더불어 파라미터의 사후확률 분포의 계산이다. 이 논문에서는 가우시안 혼합 모델에 대한 변분 베이지안 방법의 구현과 변분 근사화 분포의 분해 유도를 제안한다. 이 방법은 정보 검색이나 데이터 시각화와 같은 데이터 분석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Text Segmentation from Images with Various Light Conditions Based on Gaussian Mixture Model

  • Tran, Khoa Anh;Lee, Guee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9권1호
    • /
    • pp.1-5
    • /
    • 2013
  • Standard Gaussian Mixture Model (GMM) is a well-known method for image segmentation. However, one of its problems is that we consider the pixel as independent to each other, which can cause the segmentation results sensitive to noise. It explains why some of existing algorithms still cannot segment texts from the background clearly. Therefore, we present a new method in which we incorporate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a pixel and its neighbors inside $3{\times}3$ windows to segment the text. Our approach works well with images containing texts, which has different sizes, shapes or colors in case of light changes or complex background.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e robustness, accurac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odel in image segmentation compared to other methods.

청각장애인을 위한 상황인지기반의 음향강화기술 (Sound Reinforcement Based on Context Awareness for Hearing Impaired)

  • 최재훈;장준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5호
    • /
    • pp.109-11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음향 데이터를 이용한 음향강화 알고리즘을 Gaussian Mixture Model (GMM)을 이용한 상황인지 시스템 기반으로 제안한다. 음향 신호 데이터에서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 (MFCC) 특징벡터를 추출하여 GMM을 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황인지 결과에 따라 위험음향일 경우 음향강화기술을 제안한다. 실험결과 제안된 상황인지 기반의 음향강화 알고리즘이 다양한 음향학적 환경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인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