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xograph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18초

한국산(韓國産) 밀의 Mixograph특성(特性)과 제(製)빵적성(適性)과의 관계(關係) (Relationship between Mixograph Properties and Bread Quality of Korean Wheat Cultivars and Breeding Lines)

  • 김창식;장학길;하덕모;윤주억;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23-227
    • /
    • 1984
  • $1980{\sim}1982$년의 3년간에 걸쳐 한국산(韓國産) 밀 166품종(品種) (또는 계통(系統))을 공시(供試)하여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 침전가(沈澱價), Mixograph 및 제(製)빵적성(適性)을 조사하여 각 특성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과 침전가(沈澱價) 또는 빵부피 및 침전가(沈澱價)와 빵부피는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으며, 이와갚은 현상은 연차간(年次間)의 관계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 및 침전가(沈澱價)와 Mixograph흡수률(吸水率)은 정(正)의 유의관계(有意相關)이 있었으나 반죽시간이나 height와는 일정한 상관(相關)이 없었다. 각 품종(品種)의 반죽시간이나 height는 재배환경(栽培環境)이나 연차(年次)에 따라 변이(變異)가 있었으나 한 품종내(品種內)에서 Mixograph pattern은 환경(環境)이 달라도 품종고유(品種固有)의 모양을 보였다.

  • PDF

Sodium chloride와 sodium carbonate를 첨가한 yellow alkaline noodle sheet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f Yellow Alkaline Noodle Sheet Added with Sodium Chloride and Sodium Carbonate)

  • 김순태;장학길;박영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3-38
    • /
    • 2007
  • 밀가루에 소금을 0, 2 및 4%를 첨가하였을 경우, Mixograph의 peak time은 밀가루의 종류에 관계없이 소금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나 박력분의 경우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Peak height와 width at peak도 소금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강력분과 중력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Width at 8 min의 경우에는 모든 밀가루에서 소금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odium carbonate를 0, 0.5, 1.0 및 1.5의 농도로 밀가루에 첨가하여 Mixograph 특성을 관찰한 결과 밀가루의 종류에 관계없이 0.5% 첨가 시 peak time이 거의 2배정도 증가하였다가 그 보다 높은 농도에서는 다시 감소된 반면, peak height는 sodium carbonate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Mixograph peak time과 단백질 함량 및 침전가와는 유의적인 상관이 없었으나, peak height, width at peak 및 width at 8min과는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반죽의 초기호화온도, 최고점도, 최소점도, 최종점도는 밀가루의 종류에 관계없이 소금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최고점도, 최소점도 및 최종점도는 모든 밀가루에서 sodium carbonate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초기호화온도와 보수율 및 알칼리수 흡수율과는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보수율과 최고점도, 최소점도 및 최종점도와는 모두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백복령분말을 첨가한 밀가루 반죽의 물성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Flour Dough Added Power of Poria Cocos Wolf)

  • 신길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7-202
    • /
    • 2008
  • 백복령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밀가루 반죽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백복령분말을 $0{\sim}5%$의 비율로 첨가하여 반죽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백복령분말을 첨가한 Mixograph에서는 midline peak time는 분말첨가에 따라 $1{\sim}2%$에서는 증가하였고 $3{\sim}5%$에서는 대구조보다 감소하였다. Midline peak height는 대구조보다 모두 감소하였다. 주사현미경관찰은 백복령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공이 크고 불균일하였다. Farinogragh 특성 중 반죽의 점조도와 수분 흡수율은 백복령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반죽 형성시간과 안정도는 감소하였다. 주사현미경에서는 백복령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공이 거칠고 크게 나타났다.

Genotypic and Environmental Effects on Flour Properties in Korean Winter Wheat

  • Hong, Byung-Hee;Park, Chul-Soo;Baik, Byung-Ke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12
    • /
    • 2002
  • Flour characteristics of Korean winter wheat grown in Suwon in 1997 and 1998, and in Suwon and Deokso in 1998 were evaluated. Korean winter wheat cultivar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years and locations in flour properties such as ash content, protein content, damaged starch content, starch swelling volume and power. Protein content was highly correlated with starch damage and alkaline water retention capacity.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ixing time of mixograph and SDS sedimentation volume. Swelling properties of flour and starch were highly correlated with pasting properties of flour and starch, respectively. Compared to commercial flours for baking, Alchanmil, Gobunmil, Keumkangmil and Tapdongmil showed similar protein content, SOS sedimentation volume and mixograph mixing time. Eunpamil, Geurumil, Olgeurumil, Suwon 258, Suwon 261, Suwon 265, Suwon 275, Suwon 276, Suwon 277, Suwon 278 and Urimil had similar values to commercial noodle flours in SDS sedimentation volume. Alchanmil, Olgeurumil, Suwon 274, Suwon 275, Suwon 276 and Urimil showed higher swelling and pasting properties than the others. Chokwang, Olgeurumil, Suwon 277 and Urimil were similar to commercial cookie flours. Friabilin-absence lines showed higher protein content and starch damage than those of friabilin-presence lines. Absence lines of 1D$\times$2.2 + 1Dy12 subunit in high molecular weight glutenin subunits showed higher SDS sedimentation volume and mixing time of mixograph than those of presence lines.

맥주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Added with Beer)

  • 서상욱;이광석;안혜령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63-872
    • /
    • 2010
  • The overall effects of three different beers on white bread were examined in terms of mixograph, pH, fermentation rate, TPA, crumbScan, colorimeter, sensory evaluation, and the hardness of bread through different storage times (0, 1, 2, 3 days), and texture as measured by texture analyzer. According to mixograph, the control (CON), black beer stout (BOB) and Asahi beer (AOB) but not max beer (MOB) were found to be proper between 3 and 5 minutes of peak time. All samples for peak value were at the level of over 60%. AOB showed the highest specific volume, and was the lowest in hardness (i.e. highest in softness) by TPA and storage days. In sensory evaluation, the difference test showed that AOB had the best volume, springiness, moistness, and softness. Moreover, in an overall preference test AOB scored the highest points in texture, flavor, taste, and overall acceptance.

연질밀의 품종별 이화학적 특성 및 제품의 제조적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e Product Potentiality of Soft Wheats)

  • 임은영;장학길;박영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12-418
    • /
    • 2007
  • 연질밀인 soft white winter(SWW) 밀과 club 밀 각각 6품종을 공시재료로 하여 종실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제분특성, 호화특성, mixograph 특성 및 제품특성으로 sugar-snap 쿠키와 스펀지 케이크의 제조특성을 측정하고 이들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Single Kernel Characterization System(SKCS)에 의한 종실의 경도, 무게 및 크기는 SWW밀과 club 밀의 평균간의 유의성은 적었으나 품종간에는 차이가 비교적 컸다. Straight-grade flour yield, break flour yield, 회분 함량 및 제분평점 등의 제분특성은 SWW 밀과 club 밀 간에 차이가 없었다. Straight-grade flour yield와 break flour yield는 고도의 정의 상관(r = 0.805**)이 있었다. SWW 밀과 club 밀의 Rapid Visco Analyze(RVA) 최고점도와 팽창부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품종간의 변이도 적었다. RVA 최고점도와 팽창부피는 고도의 정의 상관(r = 0.662**)이 있었다. Mixograph 흡수율은 SWW 밀이 club 밀보다 다소 높았으나 mixograph type은 2M 이하로서 전형적인 연질의 특성을 보였다. Club 밀의 쿠키 직경과 쿠키 top grain score는 SWW 밀보다 좋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스펀지 케이크의 부피는 SWW 밀보다 club 밀이 높았으나 케이크 score는 club 밀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쿠키 직경과 스펀지 케이크의 부피는 고도의 정의 상관(r = 0.745**)이 있었다.

연질밀(Triticum aestivum L. em Thell.)의 이화학적 특성과 sugar-snap cookie의 제조적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ugar-Snap Cookie Making Potentialities of Soft Wheat Cultivars and Lines (Triticum aestivum L. em Thell.))

  • 이용숙;김종군;원준형;장학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846-855
    • /
    • 2002
  • 연질밀(Triticum aestivum L. em Thell.)로서 soft white spring(SWS) 밀과 soft white winter(SWW) 각각 10품종(또는 계통)을 공시재료로하여 종실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제분특 성, 호화특성, mixograph특성 및 sugar-snap cookie의 제조특성을 측정하고 이들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자 일연의 실험을 실시한 바 그 결과를 보고한다. Single Kernel Characterization System(SKCS) kernel hard-ness와 용적중, near-infrared reflectance(NIR) hardness와는 각각 $r=0.947^{*},\;r=0.495^{*}$의 정의 상관이 있었으며 SKCS weight와 SKCS size와는 $r=0.942^{**}$의 고도의 정의 상관이 있었다. 용적중과 straight-grade flour yield, break flour yield, 밀가루 회분 함량 및 제분평점과는 각각 $r=0.720^{**},\;r=0.490^{*},\;r=-0.781^{**}$$r=0.838^{**}$ 의 고도의 정 또는 부의 상관이 있었다. 종실의 단백질 함량과 straight-grade flour yield, break flour yield 밀가루 회분 함량 및 제분평점은 각 각 $r=-0.786^{**},\;r=-0.765^{**},\;r=-0.889^{**}$$r=-0.938^{**}$로 서 고도의 정 또는 부의 상관이 있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밀가루 단백질 함량에서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Mixograph 흡수을과 제분특성과는 고도의 정 또는 부의 상관이 있었으며, 특히 종실의 단백질 함량과는 $r=0.938^{**}$, 밀가루의 단백질 함량과는 $r=0.901^{**}$의 고도의 정의 상관이 있었다. Cookie 직경과 cookie top grain score는 $r=0.946^{**}$의 고도의 정의 상관이 있었다. Cookie특성과 제분특성, 단백질 함량 및 mixograph 흡수율과는 고도의 정 또는 부의 상관이 있었으나 전분특성과는 단지 swelling volume과 cookie top grain score 만이 $r=0.447^{*}$의 정의 상관이 있었다.

꿀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Honey)

  • 김은지;이광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47-160
    • /
    • 2013
  • 본 연구는 꿀 첨가가 반죽에 미치는 영향과 식빵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반죽의 mixograph, 발효율, pH, TPA, 비용적, 색도, 수분함량, 수분활성도, 보존성, 관능검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Peak time의 경우 모든 시료들이 3~5분 사이에 있고, peak value는 모든 시료가 60%이상으로 제빵 적성에 적합하였다. 발효율은 60분부터 135분까지 HL100이 가장 좋았다. 부피와 비용적은 HL100이 가장 좋았다. 조직감 분석 결과 HL100의 경도가 가장 낮고 부드러웠으며 탄력적이었다. 72시간동안 저장한 결과 HL100이 가장 부드럽고 촉촉하게 유지되었다. 관능검사에서는 질감, 향, 식감 맛에서 가장 기호도가 높았던 HL100이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도 역시 가장 선호되었다. 결과적으로 꿀이 반죽과 빵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제빵에 있어서 꿀이 설탕을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PDF

흑미가루 복합분의 이화학적 특성과 스펀지 케이크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Black Rice Flour)

  • 박영서;장학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06-411
    • /
    • 2007
  • 흑미가루 첨가비율(5-30%)에 따른 복합분의 이화학적 특성, 호화특성, mixograph 특성 및 스펀지 케이크의 제조적성을 측정하고, 이들 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자 일련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흑미 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alkaline water retention capacity, Pelshenke value, sedimentation value는 증가하였으나 water holding capacity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Mixograph peak time, height, width at peak와 Rapid Visco Analyser peak, minimum viscosity도 감소하였다. 스펀지 케이크 반죽의 pH와 비중은 증가하였지만 케이크의 부피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케이크의 경도는 증가하였다.

Flour Characteristics and End-Use Quality of Korean Wheats with 1Dx2.2+1Dy12 Subunits in High Molecular Weight Glutenin

  • Park, Chul-Soo;Baik, Byung-Kee;Kang, Moon-Seok;Park, Jong-Chul;Park, Jae-Gun;Yu, Chang-Yeon;Choung, Myoung-Gun;Lim, Jung-Da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1권3호
    • /
    • pp.243-252
    • /
    • 2006
  • White salted noodles and pan bread were prepared from Korean wheats with 1Dx2.2+1Dy12 subunits in high molecular weight glutenin subunits (HMW-GS) to evaluate the suitability for end-use products through the comparison with US wheats with various classes and commercial wheat flours. Korean wheat flours with 1Dx2.2+1Dy12 subunits showed higher SDS sedimentation volume than US wheat flours with similar protein content. Compared to wheat flours with similar protein content and SDS sedimentation volume, water absorption percent of Korean wheat flours using a mixograph was higher than that of US wheat flours, but similar to commercial wheat flours. Mixograph mixing time was similar to hard wheat flours and commercial noodle flours. Optimum water absorption percent of noodle dough from Korean wheat flours was higher than that of US wheat flours. Noodle sheets from Korean wheat flours with 1Dx2.2+ 1Dy12 subunits showed lower L values, higher a values and similar b values compared to commercial noodle flours. Hardness of cooked noodles from Korean wheat flours 1Dx2.2+1Dy12 subunits correlated positively with protein content, NIRS hardness, mixograph water absorption and gluten yield of flours. Korean wheat flours with 1Dx2.2+1Dy12 subunits showed lower loaf volume and harder crumb firmness than hard wheat flours and commercial bread wheat flours in spite of similar protein quantity and quality to hard wheat flou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