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xed-criticality system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37초

작업별 중요도 모드를 적용한 혼합 중요도 스케줄링에서 확률적 성능 평가 기법 (Probabilistic Performance Evaluation Technique for Mixed-criticality Scheduling with Task-level Criticality-mode)

  • 이재우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12
    • /
    • 2018
  • 혼합 중요도 시스템은 중요도가 다른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 자동차 시스템과 항공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ISO 26262와 DO-178B 표준에서는 컴포넌트를 중요도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기존 혼합 중요도 시스템 연구에서는 시스템 모드를 통해서, 효율적이면서 안전한 스케줄링을 추구했다. 이러한 연구의 단점은 고중요도 모드에서 저중요도 작업의 성능저하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작업별 중요도 모드를 도입하여 저중요도 작업의 성능을 개선하고 확률적 성능 지표를 설계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기존 연구 대비 성능 향상 효과를 보였다.

혼합 중요도 시스템의 주기 변환과 스케줄링 오버헤드간의 트레이드오프 관계 분석 (Analysis of Trade-off between Period Transformation and Scheduling Overhead in Mixed-Criticality System)

  • 윤상운;임지섭;강경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3-5
    • /
    • 2022
  • 혼합 중요도(mixed criticality) 시스템은 안전에 중요한 기능을 우선시하도록 하는 추가적인 안전 요구사항이 존재한다. 그러나 기존 실시간 시스템의 설계로는 이를 만족하지 못하며, 높은 중요도 태스크가 다른 낮은 중요도 태스크로부터 간섭을 받아 데드라인 미스와 같은 문제를 일으키는 중요도 역전(criticality inversion)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중요도 역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기 변환(period transformation) 기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스케줄링 오버헤드의 증가로 인해 오히려 전반적인 태스크의 응답시간이 증가하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주기 변환과 스케줄링 오버헤드 간의 트레이드오프 관계를 설명하고, 실시간 리눅스 시스템에서 해당 문제점을 재연한 후 주기 변환의 적정선을 분석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중요도 역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기 변환을 그대로 적용할 경우, 문맥 교환이 48.7% 증가 및 스케줄링 오버헤드가 28.7% 증가로 인해 전반적인 응답시간이 증가하여 데드라인 미스가 다수 발생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중요도 혼재 시스템의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of Mixed-Criticality System)

  • 윤문형;박준호;김용호;이정훈;구봉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25-140
    • /
    • 2018
  • 최근 하드웨어 성능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임베디드 시스템은 기존의 단순한 기능만을 수행하던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중요도를 가지는 소프트웨어들로 구성된 시스템을 중요도 혼재 시스템(MCS: Mixed-Criticality System)이라고 한다. 현재 중요도 혼재 시스템 관련 프로젝트는 관련 산업이 발달한 유럽 및 미국의 주도로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기술적인 주도권을 잡기 위한 노력을 가속하고 있으나, 국내에서의 움직임은 미미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와 관련된 기술 및 시장 주도권 선점을 위한 다양한 기반 기술의 연구 및 프로젝트의 진행이 시급하다. 본 논문에서는 중요도 혼재 시스템 관련 주요 프로젝트의 연구 및 개발 동향을 분석한다. 먼저, 본 논문에서는 중요도 혼재 시스템의 정의 및 시스템 모델에 대해서 정의한 후, 중요도 혼재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반 기술을 분석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중요도 혼재 시스템을 연구하는 각국의 프로젝트 동향을 분석한 후, 향후 연구 분야를 논의한다. 본 연구를 통해, 중요도 혼재 시스템 분야의 연구 방향성 설정을 위한 세계 각국의 연구 동향 파악이 가능하며, 군사 시스템에의 접목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중요도 혼재 시스템(Mixed Criticality Systems)의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of Mixed-criticality Systems)

  • 박준호;윤문형;김용호;이정훈;구봉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6-118
    • /
    • 2015
  • 최근 하드웨어 성능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임베디드 시스템은 기존의 단순한 기능만을 수행하던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중요도를 가지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시스템을 중요도 혼재 시스템(Mixed-Criticality System)이라고 한다. 현재 중요도 혼재 시스템 관련 프로젝트는 관련 산업이 발달한 유럽 및 미국의 주도로 발전방향을 모색하고 기술적인 주도권을 잡기 위한 노력을 가속하고 있으나, 국내에서의 움직임은 미미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와 관련된 기술 및 시장 주도권 선점을 위한 다양한 기반 기술의 연구 및 프로젝트의 진행이 시급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중요도 혼재 시스템 관련 주요 프로젝트의 연구 및 개발 동향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한다.

Scoping Calculations on Criticality and Shielding of the Improved KAERI Reference Disposal System for SNFs (KRS+)

  • Kim, In-Young;Cho, Dong-Keun;Lee, Jongyoul;Choi, Heui-Joo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8권spc호
    • /
    • pp.37-50
    • /
    • 2020
  • In this paper, an overview of the scoping calculation results is provided with respect to criticality and radiation shielding of two KBS-3V type PWR SNF disposal systems and one NWMO-type CANDU SNF disposal system of the improved KAERI reference disposal system for SNFs (KRS+).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calculated effective multiplication factors (keff) of each disposal system comply with the design criteria (< 0.95). Based on a sensitivity study, the bounding conditions for criticality assumed a flooded container, actinide-only fuel composition, and a decay time of tens of thousands of years. The necessity of mixed loading for some PWR SNFs with high enrichment and low discharge burnup was identified from the evaluated preliminary possible loading area. Furthermore, the absorbed dose rate in the bentonite region was confirmed to be considerably lower than the design criterion (< 1 Gy·hr-1). Entire PWR SNFs with various enrichment and discharge burnup can be deposited in the KRS+ system without any shielding issues. The container thickness applied to the current KRS+ design was clarified as sufficient considering the minimum thickness of the container to satisfy the shielding criterion. In conclusion, the current KRS+ design is suitable in terms of nuclear criticality and radiation shielding.

U-안전도시 평가체계 개발 및 중요도분석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and Importance analysis of U-safe city)

  • 강순봉;권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15-27
    • /
    • 2013
  • 본 연구는 U-City에서 도시안전이 실현될 수 있는 평가체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평가체계는 현재 도시가 얼마나 안전한지와 앞으로 도시가 얼마나 안전해 질 수 있는지에 대한 지표를 선정하고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중요도 분석결과 현재 도시가 얼마나 안전한지에 대한 지표는 방재와 환경 분야 지표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도시를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한 U-안전도시 가능성 지표는 통합적 운영관리체계를 갖추고 이를 토대로 안전한 도시를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지표가 중요하다고 제시되었다. U-안전도시 평가체계는 향후자치단체에서 IT를 활용한 도시계획, 조성, 운영 및 관리를 위한 평가에 활용할 수 있다.

Optimal inspection frequency to mitigate the risk of building system failure

  • Au-Yong, Cheong Peng;Ali, Azlan Shah;Ahmad, Faizah;Chua, Shirley Jin Lin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64권3호
    • /
    • pp.347-352
    • /
    • 2017
  • The poor maintenance practice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system failure. Subsequently, the consequences of failure fall on the aspects of output, safety and healthy, environmental integrity, system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Conditionbased maintenance is seen as a potential strategy to improve performance. Whereby, the key success factor of this maintenance strategy is identified as the system inspect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ystem breakdown rate and frequency of inspection. A mixed method approach is implemented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 and interviewing for data collection. Subsequently,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re adopted to analyse the collected data from 100 respondents and the results are validated with interview data of 10 interviewees. The research result establishe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ystem breakdown rate and the frequency of inspection. Additionally,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confirms that the frequency of inspection is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system breakdown rate. Planning of accurate inspection frequency is crucial to secure the system performance. Hence, the research signifies the importance to carry out regular inspection towards the building systems and components. As a recommendation, the maintenance personnel should assess the risk criticality of the building systems. Then, continuously monitor the condition of critical building systems; regularly inspect the condition of non-critical building systems and randomly inspect all of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