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xed feeding

검색결과 507건 처리시간 0.03초

들깨유와 고추 종자유의 혼합 급이가 흰쥐의 혈청 및 혈소판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Feeding Mixed Perilla Oil and Red Pepper Oil on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rum and Platelet in Rats)

  • 강정옥;김성희;김한수;김군자;최운정;정승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4-130
    • /
    • 1992
  • $\alpha$ -lino1enic acid를 약60%함유하는 들깨유와 1ino1eic acid를 약 64% 함유하는 고추종자유를 비율별로 흰쥐에게 혼합급이하였을 때 혈청 및 혈소판에 미치는 지방산 조성에 관하여 분석 검토한 바, 혈청 지질의 총 지방산 조성은 SFA가 30.6%~34.9% 범위로 각 실험군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MUFA는 14.4%~17.0% 범위이며, PUFA는 48.0%~53.0% 범위로 총지방산의 약50%를 차지하였다. 혈청중 인지질, 중성지질 및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의 다불포화지방산 조성중 $C_{l8 : 2}$ ($\omega$-6)는 콜레스테를 에스테르 성분에서 인지질, 중성지질성분보다 함유비율이 약간 많았고, $C_{20 : 4}$ ($\omega$-6)는 각 성분간의 함량 차이는 크지 않았고, 각 성분에 있어 $C_{l8 : 2}$ ($\omega$-6)나 $C_{20 : 4}$ ($\omega$-6) 모두 시험유지의 $\omega$-3PUFA/$\omega$-6PUFA 비율이 낮아질수록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_{l8 : 3}$ ($\omega$-3)은 각 지질성분 모두 $C_{20 : 4}$ ($\omega$-3) 및 $C_{20 : 5}$ ($\omega$-3)보다 함유 비율이 높았다. 혈소판의 지방산 조성은 SFA는 2군(7.5% 들깨유+12.5% 고추종자유), 3군 (5.0% 들깨유+5.0% 고추종자유)에서 낮았고, 5군(10.0% 고추종자유)에서 가장 높았으며 MUFA는 3군이 가장 높고 5군이 가장 낮았다. 한편, PUFA는 2군에서 가장 낮았고 EPA/AA비는 2군이 가장 높았으며 5군에서 가장 낮았다.낮았다.

  • PDF

버섯폐배지와 맥주박 첨가 섬유질발효사료 급여가 흑염소의 생산성, 사료섭취량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otal Mixed Fermentations with Spent Mushroom (Flammuliua velutipes) and Wet Brewer's Grain on Growth Performance, Feed Intake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Korean Black Goats)

  • 황보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5-51
    • /
    • 2014
  • 본 연구는 버섯폐배지와 맥주박을 이용한 섬유질 발효사료의 급여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흑염소의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율을 조사하였다. 증체조사를 위한 사양 시험은 거세흑염소 20두를 이용하여 처리구당 5두씩 30일간 수행하였고, 소화율 시험은 거세흑염소 12두를 공시하여 처리구당 3두씩 라틴방각법으로 실시하여, 처리구는 대조구(배합사료 및 볏짚 급여구)와 3개의 시험구(버섯폐배지, 맥주박 비율이 각각 15와 25%(T1), 10과 30%(T2) 및 5와 35%(T3))로 각각 배치하였다. 일당증체량은 대조구와 T1구가 T3구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1일 두당 건물섭취량과 유기물섭취량은 T1과 T2구가 대조구 보다 유의하게 높은 섭취량을 보였다(p<0.05). 건물소화율과 유기물소화율은 대조구와 T1구가 각각 62.39∼63.39%와 65.02~65.25%로 T3구의 각각 56.39와 59.01%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질소축적량은 T1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버섯폐배지와 맥주박을 이용한 섬유질 발효사료는 시판사료를 급여한 대조구와 대등한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율을 보였다. 그러나 버섯폐배지의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흑염소의 생산성 저하가 우려되므로 버섯폐배지 첨가는 25~30% 수준으로 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판단된다.

Effects of Italian ryegrass silage-based total mixed ration on rumen fermentation, growth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and bacterial communities of growing Hanwoo heifers

  • Min-Jung Ku;Michelle A. Miguel;Seon-Ho Kim;Chang-Dae Jeong;Sonny C. Ramos;A-Rang Son;Yong-Il Cho;Sung-Sill Lee;Sang-Suk Lee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5호
    • /
    • pp.951-970
    • /
    • 2023
  • This study utilized Italian ryegrass silage (IRGS) - based total mixed ration (TMR) as feedstuff and evaluated its effects on rumen fermentation, growth performance, blood parameters, and bacterial community in growing Hanwoo heifers. Twenty-seven Hanwoo heifers (body weight [BW], 225.11 ± 10.57 kg)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ree experimental diets. Heifers were fed 1 of 3 treatments as follows: TMR with oat, timothy, and alfalfa hay (CON), TMR with 19% of IRGS (L-IRGS), and TMR with 36% of IRGS (H-IRGS). Feeding high levels of IRGS (H-IRGS) and CON TMR to heifers resulted in a greater molar proportion of propionate in the rumen. The impact of different TMR diets on the BW, average daily gain, dry matter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io of Hanwoo heifers during the growing period did not differ (p > 0.05). Furthermore, the blood metabolites, total protein, albumin, aspartate aminotransferase, glucose, and total cholesterol of the heifers were not affected by the different TMR diets (p > 0.05). In terms of rumen bacterial community composition, 264 operational taxonomic units (OTUs) were observed across the three TMR diets with 240, 239, and 220 OTUs in CON, L-IRGS, and H-IRGS, respectively. IRGS-based diets increased the relative abundances of genera belonging to phylum Bacteroidetes but decreased the abundances of genus belonging to phylum Firmicutes compared with the control. Data showed that Bacteroidetes was the most dominant phylum, while Prevotella ruminicola was the dominant species across the three TMR groups. The relative abundance of Ruminococcus bromii in the rumen increased in heifers fed with high inclusion of IRGS in the TMR (H-IRGS TMR). The relative abundance of R. bromii in the rumen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heifers were fed H-IRGS TMR while P. ruminicola increased in both L-IRGS and H-IRGS TMR groups. Results from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 that the inclusion of IRGS in the TMR is comparable with the TMR containing high-quality forage (CON). Thus, a high level of IRGS can be used as a replacement forage ingredient in TMR feeding and had a beneficial effect of possibly modulating the rumen bacterial community toward mainly propionate-producing microorganisms.

Status of Milk Fat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in Selected Commercial Dairies

  • Khanal, R.C.;Dhiman, T.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10호
    • /
    • pp.1525-1538
    • /
    • 2007
  • Because of the increasing evidence of potential benefi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on human health, there is a need to investigate its status in commercial dairies and develop feeding strategies to enhance the content and supply of CLA in milk and milk products. A two-year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status of milk fat c-9, t-11 CLA on four selected commercial dairy farms in Utah (two) and Idaho (two), USA. Farms A and C grazed cows on pasture and supplemented with 7.0 kg/cow per day of their respective grain mixes during summer, while conserved forage and grain mix was fed during winter. Farm B fed a total mixed diet all year, with 10% of diet dry matter as fresh cut pasture during summer. Farm D had 1/3 of its cows grazed on pasture and supplemented with a total mixed diet during summer, while the rest were fed a total mixed diet. All cows in Farm D were fed a total mixed diet during winter. Farms A, B, C, and D had on average 80, 400, 150, and 500 milking cows, respectively, with Holstein or its crosses as the major breed. On a year-round basis, Farms A and C produced milk with 60% or more milk fat c-9, t-11 CLA and transvaccenic acid (TVA) contents than Farm B. Similarly, Farm D produced 30% or more c-9, t-11 CLA and TVA in milk than Farm B. Milk fat content of CLA and TVA was 150-200% more during summer compared with winter. Individual cows varied from 0.16 to 2.22% in milk fat c-9, t-11 CLA contents and 89% of the cows had c-9, t-11 CLA contents between 0.3 and 1.0% of milk fat. Individual cow variation was larger on Farms A and C compared with Farm D, with least variation on Farm B. Variation was larger in summer than in winter. The bulk tank milk c-9, t-11 CLA content varied from 0.27 to 1.35% of milk fat. Cows on Farms A and C produced similar or higher amounts of milk fat c-9, t-11 CLA on a daily basis even though their milk yield was lowest among the dairies. Concentration and supplies of c-9, t-11 CLA and TVA were highest from June through September and lowest from February through April, which should be the months for targeting improvement in the content and supply of milk fat c-9, t-11 CLA and TVA.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신장 및 뇌조직에서의 Microsomal Mixed Function Oxidase System에 미치는 녹차 Catechin의 영향 (Effect of Green Tea Catechin on the Microsomal Mixed Function Oxidase System of Kidney and Brai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이순재;신주영;차복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19-32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een tea catechin on microsomal mixed function oxidase(MFO) system of kidney and brain in streptozotocin(STZ) induced diabetic rats. Sprague-Dawley male rats weighing 140$\pm$10g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control and three STZ-diabetic groups. Diabetic groups wer classified to DM-0C(catechin 0%/kg diet), DM-0.5C (catechin 0.5%/kg diet), and DM-1.0C(catechin 1%/kg diet) according to the level of catechin supplementation. Diabetes were experimentally induced by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55mg/kg body weight of STZ in citrate buffer(pH 4.3) after 4 weeks feeding of three experimental diets. Animals were sacrificed at the sixth day of diabetic state. The contents of cytochrome P450 in kidney were increased by 77, 42, 49% in DM-0C, DM-0.5C and DM-1.0C groups, respectively, than normal group. The contents of cytochrome P450 in brain were increased by 43% in DM-0C group than normal group, but those of DM-0.5C and DM-1.0C groups were similar to that of normal group. The contents of cytochrome b5 in kidney were increased by 78, 38, 49% in DM-0C, DM-0.5C and DM-1.0C groups, respectively, than normal group. Meanwhile, the contents of cytochrome b5 in brai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groups. The activities of NADPH-cytochrome P450 reductase in kidney of DM-group were increased by 27% than normal group, but those of DM-0.5C and DM-1.0C groups were 13 and 15% lower than that of DM-0C group. The activities in brain were also increased by 31% in DM-0C group, but those of DM-0.5C and DM-1.0C groups were similar to than of normal group. Levels of TBAR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in kidney were increased by 147, 60 and 59% in DM-0C, DM-0.5C, and DM-1.0C groups, respectively, compared with normal group, but those of DM-0.5C and DM-1.0C groups were 36, 35% lower than that of DM-0C group. Meanwhile, the levels of TBARS in brai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four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catechins in green tea play a powerful antioxidant role in reducing the lipid peroxidation enhanced by activation of MFO system in STZ-induced diabetes.

  • PDF

자연혼합배양에 의한 초기 먹이생물의 종 조성 변화 (Variations of Species Composition of Early Feeding Organisms Through Nature Mixed Culture)

  • 정민민;오봉세;구학동;이창훈;양문호;문태석;김삼연;김형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5권1호
    • /
    • pp.1-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자연혼합배양(nature mixed culture)이라는 기법을 이용하여 해수관상어를 사육하는데 성공하였고 자연혼합배양수조에서 해수관상어의 자어는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생존 가능하였다. 자연혼합배양수조에 출현한 플랑크톤성 미소생물은 모두 34종이었으며 그 중에는 Detonula pumila, Nitzschia sp., Fragilaria oceanica, Chaetoceros curvisetus, Stephanodiscus sp., Chaetoceros decipiens, Chaetoceros sp., Thalassiosira rotula, Eucampia zodiacus, Diploneis splendica, Nitzschia longissima, Surirella cuneata, Asterionella glacialis, Nitzschia spp., Chaetoceros debile, Thalassionema nitzschioides, Nitzschia, closterium, Skletonema costatum과 Licmophora sp와 같은 규조류가 19종, Euglena sp, Gonyaulax sp., Pyramimonas sp., Protoperidinium sp., Eutreptia, sp., Parapedinella sp., unidentified micro-flagellate, Gyrodinium sp., Scrippsiella trochoidea, Gymnodinium sanguineum, Chrysochromulina sp., Gymnodinium sp., Prorocentrum triestinum과 Micromonas sp.와 같은 편모조류가 14종 그리고 1종의 섬모충으로서 Mesodinium rubrum가 관찰되었다. 한편, 미소생물 종 중에서 편모조류의 한종인 Chrysochromulina sp.는 사육기간 동안 우점하였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배양 개시 후 10일째부터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 가능하였다.

유기질비료 시용과 두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청보리와 호밀의 생산성과 단위면적당 한우 사육능력 추정 (Evaluation of Carrying Capacity for Hanwoo Heifers When Fed Whole Crop Barley and Rye as Influenced by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and Mixed Sowing with Legumes)

  • 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7-124
    • /
    • 2012
  • 본 실험에서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월동 작물로 재배되는 청보리와 호밀에 화학비료, 유기질비료 및 가축분뇨의 시용 그리고 콩과작물의 혼파재배가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주는 효과를 토양의 지력향상과 함께 양질의 조사료를 확보하여 단위면적당 한우 사육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고자 무비구, 화학비료 PK시비구, 화학비료 NPK 시비구, 유기질비료 시용구, 액상우분뇨 시용구, 액상우분뇨 시용에 헤어리벳치 혼파구 및 액상우분뇨 시용에 청예완두 혼파구 등 7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실험이 실시되었다. 청보리의 연간 건물과 가소화양분총량 (TDN) 수량은 화학비료 NPK 시비구 (각각 6.14와 3.97 ton/ha)가 가장 높았으나 (p<0.05), 유기질 비료구 (각각 5.24와 3.37 ton/ha), 액상우분뇨 (각각 5.53과 3.63 ton/ha) 및 콩과 혼파구 (각각 5.00~5.15와 3.32~3.33 ton/ha)와 유의적 차이는 나지 않았다. 청보리의 TDN과 RFV는 액상우분뇨 시용에 청예완두 혼파구가 가장 높았다 (p<0.05). 청보리를 급여 시 한우 암소는 유기질비료, 액상우분뇨 혹은 액상우분뇨 시용에 두과작물 혼파구가 연간 ha당 평균 2.5~2.9두를 사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밀의 연간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유기질비료, 액상우분뇨 혹은 액상우분뇨 시용에 두과작물 혼파한 구가 ha 당 각각 6.69~7.13, 0.46~0.51 및 3.95~4.18 ton으로 나타남으로써, 호밀을 급여할 경우 암소는 연간 ha 당 평균 3.1~3.3두 규모의 사육능력이 추정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건물생산성만을 고려해서 화본과 작물을 단파로 재배하는 것보다는 가축의 기호성과 품질의 개선효과까지 고려하여 두과작물 등을 혼파 재배하고 가축분뇨를 시용함으로써 단위면적당 수량과 사료 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한우사양 시에는 단백질 공급원으로 이용되는 수입 곡류 등을 대체하는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유기질비료 시용과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총체밀과 트리트케일의 생산성과 단위면적당 유기 한우 사육능력 추정 (Estimation of Productivity and Organic Hanwoo Carrying Capacity per Unit Area of Whole Crop Wheat and Triticale by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and Legumes-Mixed Sowing)

  • 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07-217
    • /
    • 2013
  • 본 실험에서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월동 사료작물로 재배되는 총체밀과 트리트케일에 가축분뇨 시용과 콩과작물의 단, 혼파재배가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여 양질의 조사료 확보 및 단위면적당 유기 한우 사육 능력을 추정하고자 무비구, 유기질비료 시용구, 액상우분뇨 시용구, 액상우분뇨 50% 시용에 hairy vetch 혼파구 및 액상우분뇨 50% 시용에 forage pea 혼파구 등 5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실험이 실시되었다. 총체밀의 연간 건물수량은 처리구가 6.04~6.58톤/ha으로 무비구의 5.19톤/ha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조단백질 수량은 forage pea(0.60톤/ha)와 hairy vetch 혼파구(0.56톤/ha)가 무비구(0.37톤/ha)와 유기질비료 시용구(0.43톤/ha) 보다는 유의하게 높았다(p<0.05). 평균 조단백질과 TDN 함량 및 RFV는 콩과작물 혼파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총체밀을 유기 한우 암소 450kg에 70% 급여 시에는 액상우분뇨 50%시용에 콩과작물을 혼파한 구에서 연간 약 ha 당 각각 3.4~3.5두로 유기질비료구(평균 2.9두) 및 무비구(평균 2.9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총체 트리트케일의 2년 평균 연간 건물수량도 시험구는 6.24~6.40톤/ha의 범위로 무비구의 5.12톤/ha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조단백질과 TDN 수량은 시험구(각각 0.48~0.56과 4.03~4.12톤/ha)가 무비구(0.38과 3.3톤/ha)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 평균 조단백질 함량도 콩과작물 혼파구와 액상우분뇨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총체트리트케일로 유기한우 암소를 사육할 때에는 액상우분뇨 50%시용에 콩과작물을 혼파한 구에서 ha 당 연간 평균 3.3~3.4두를 사육할 수 있어 무처리구의 ha 당 평균 2.5두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총체밀 혹은 트리트케일의 건물생산성은 유기질 비료보다는 액상우분뇨가 훨씬 효과적이고 액상우분뇨 50%시용과 함께 콩과 작물인 hairy vetch 혹은 forage pea 등을 혼파로 재배하는 것이 단파의 경우보다 단위면적당 수량과 단백질 함량 등의 사료가치를 높일 수 있어 유기 한우 사육 시에는 단백질공급원으로 이용되는 수입 곡류 등을 대체하는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가금에서 스테비아 부산물의 사료적 가치 (A Feeding Value of Stevia by-product in Chickens)

  • 박재홍;류명선;권정택;김상호;상병돈;신원집;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19-228
    • /
    • 2003
  • 본 실험은 stevioside를 추출하고 폐기되는 스테비아 부산물의 사료적 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육계와 산란계에 급여하여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실험 1은 1일령 육계 수컷 로스를 평사로 배치하여 스테비아 부산물 0, 2, 4, 8% 수준으로 급여하였으며,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16수로 총 256수를 공시하였다. 모든 처리구의 사료내 영양소 함량은 스테비아 수준에 관계없이 사육 전기와 후기에 따라 각각 CP 21.5%, ME 3,100kcal/kg와 CP 19%, ME 3,100kcal/kg 수준으로 동일하게 급여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1-3주 동안의 증체량에 있어서는 스테비아 부산물 4%와 8%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4-5주 동안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은 시테비아 부산물 급여구와 대조구 사이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테비아 부산물의 급여가 장내 미생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맹장의 Salmonella, E. coli는 감소하고 Lactobacillus 및 Yeast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스테비아 부산물을 급여하여 생산된 가슴육의 지방산 함량에서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는 스테비아 부산물의 사료적 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산란계 사료에 혼합하여 산란율,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 난 품질, 계란의 지방산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공시계는 78주령 하이라인 360수로 강제환우 후 5% 산란시기에 도달하였을 때 20주간 사양 실험을 시행하였다. 스테비아 부산물을 산란계 사료에 0, 2, 4 그리고 8% 수준으로 첨가하여 4개 처리구를 두었고, 처리구당 5반복, 반복당 18수씩 총 360수를 공시하였다. 모든 처리구의 사료영양소 함량은 CP 16%, ME 2,800 kcal/kg으로 동일하게 하였다. 전 실험기간에 산란율은 스테비아 부산물 급여구와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난중과 산란량에 있어서도 차이가 없었으며,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도 스테비아 부산물 급여구와 대조구 사이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테비아 부산물의 급여가 계란의 난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난각 강도, 난각 두께, 난백고 및 호유닛은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난황의 색도는 스테비아 부산물의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높은 수치를 보여 스테비아 4%와 8% 급여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계란의 당 전이도 실험에서는 스테비아 부산물을 급여하여 생산된 계란과 대조구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며 토코페롤의 함량은 스테비아 부산물 2%, 4%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계란의 지방산 함량은 스테비아 부산물 2%와 4% 급여구가 포화지방산은 감소하였고, 단가 불포화 지방산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육자원(肉資源) 개발(開發)을 위한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Korean Native Goat for Meat Production)

  • 라광연;권순기;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1호
    • /
    • pp.75-83
    • /
    • 1977
  • 1. 재래산양(在來山羊)의 사료섭취(飼料攝取) 경향(傾向)은 주간(晝間)이 야간(夜間)보다 많으며 중량(重量)에 대한 생초섭취량(生草攝取量)은 9~15%였다. 2. 하기(夏期)에는 사료섭취량(飼料攝取量)이 감소(減少)되며 체중(體重)도 감소(減少)되었다. 3. 생초(生草)나 건초(乾草)의 품질(品質)이 저질화(低質化)되면 농후사료(濃厚飼料) 섭취량(攝取量)이 증가(增加)된다. 4. 강류급여구(糠類給與區)나 배합강료급여구(配合糠料給與區)에 있어서 조사료(粗飼料)의 섭취량(攝取量)은 동일(同一)하였다. 5. 사양표준(飼養標準)에 의(依)해서 재래산양(在來山羊)을 사육(飼育)하는 것이 T. D. N이나 D. C. P. M. E의 요구량(要求量)을 감소(減少)시킬 수 있다. 6. 자양(仔羊)의 주폐사원인(主弊死原因)이 되는 내부기생충(內部寄生蟲)은 위충(胃蟲), 장결절충(腸結節蟲), 간질(肝蛭), 코크시듐이며 주기적(週期的) 예방(豫防)이 필요(必要)하다. 7. 격목구(擊牧區) 농원사료구(農原飼料區), 배합사료구(配合飼料區)에서 육성(育成)된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도체시험(屠體試驗) 결과(結果) 격목구(擊牧區)는 35.10%의 도체율(屠體率)과 29.92%의 정육율(精肉率)을 얻었고 농원사료구(濃原飼料區)는 42.17%의 도체율(屠體率)과 30.25%의 정육율(精肉率) 증가(增加)를 가져왔고, 배합사료구(配合飼料區)는 44.56%와 33.99%의 가장 좋은 산육성(産肉性)을 나타냈다. 8. 각구별(各區別) 도체성분(屠體成分)의 일반조성(一般組成) 분석결과(分析結果)는 농원사료(濃原飼料)의 급여(給與)에 따라서 지방함량(脂肪含量)은 증가(增加)하고 수분(水分) 및 조회분(粗灰分)등은 감소(減少)하는 현상(現象)을 나타냈다. 9. 이취주성분(異臭主成分)인 체지방(體脂肪)이 정육(精肉)에서 4 %정도 채취(採取)되었다. 10. Sausage, 통조림 제조(製造)에 사용(使用)된 향신료(香辛料)중 Clover Pepper, group가 가장 풍미개선(風味改善)에 효과적(效果的)이였다. 11. 제조기술적면(製造技術的面)에서 볼 때 가공용(加工用) 육자원(肉資源)으로써 사용(使用)이 가능(可能)하다고 인정(認定)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