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tes

검색결과 383건 처리시간 0.037초

Two Cases of Mange Mite (Sarcoptes scabiei) Infestation in Long-Tailed Goral (Naemorhedus caudatus) in Republic of Korea

  • Da Som, Park;Jin, Choi;Hee-Jong, Kim;Jin-Yong, Kim;Min-Han, Kim;Jin-Young, Lee;Jeong Chan, Moon;Hee-Bok, Park;KyungMin, Park;Jun Hee, Yun;Yeonsu, Oh;Seongjun, Choe;Ki-Jeong, Na;Jongmin, Yoo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60권6호
    • /
    • pp.423-427
    • /
    • 2022
  • The long-tailed goral, Naemorhedus caudatus (Mammalia: Bovidae), is one of the endangered animals in the Republic of Korea (Korea). Sarcoptic mange mites infested in diverse species of mammals, including humans, but no case has been reported in long-tailed gorals. We report 2 cases of mange mite, Sarcoptes scabiei, infestation in longtailed gorals. Mange mites were sampled in the skin legions of the 2 long-tailed gorals, which were rescued in 2 different regions, Uljin-gun, Gyeongsangbuk-do and Cheorwon-gun, Gangwon-do, Korea. Our results showed that the ectoparasite was the itch mite that burrowed into skin and caused scabies on the morphological inspection and placed within the phylogenetic relations of the species. The present study confirm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at mange mites are pathogenic scabies of long-tailed goral. Closer surveillance of this pathogenic ectoparasite in zoonotic and infectious ecosystems is warranted.

Prevalence of chigger mites and Orientia tsutsugamushi strains in northern regions of Gangwon-do, Korea

  • Soojin Kim;In Yong Lee;Sezim Monoldorova;Jiro Kim;Jang Hoon Seo;Tai-Soon Yong;Bo Young Jeo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61권3호
    • /
    • pp.263-271
    • /
    • 2023
  • The present study aimed to survey the prevalence of chigger mites and Orientia tsutsugamushi (O. tsutsugamushi) infection in the northern regions of Gangwon-do, Korea. From early February to early June 2015, a total of 17,050 chiggers were collected from striped field mice, Apodemus agrarius, in Cheorwon-gun, Hwacheon-gun, Yanggu-gun, and Goseong-gun, which are well-known endemic areas of scrub typhus in Korea. The chiggers were analyzed using molecular genomic methods, as previously described. Among the 7,964 identified chiggers, the predominant species was Leptotrombidium pallidum (76.9%), followed by L. zetum (16.4%), L. orientale (4.3%), L. palpale (0.3%), L. tectum (0.2%), and Neotrombicula tamiyai (1.8%). The chigger index (CI) was highest in Hwacheon (115.58), followed by Cheorwon (97.02), Yanggu (76.88), and Goseong (54.68). Out of the 79 O. tsutsugamushi-positive chigger pools, 67 (84.8%) were identified as the Boryong strain, 10 (12.7%) as the Youngworl strain, and only 2 were the Jecheon strain. Based on the high infestation of chiggers in striped field rodents and the high rate of O. tsutsugamushi infection in chigger mites, Hwacheon-gun and Cheorwon-gun are presumed to be high-risk areas for scrub typhus. Furthermore, L. pallidum, a major vector of scrub typhus, and the dominant O. tsutsugamushi serotype, the Boryong strain, were found in the northern regions of Gangwon-do, Korea.

님, 제충국, 고삼 추출물의 응애류 방제와 천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Control of Mites Using Neem, Chrysanthemum, Shrubby Sophora Extracts and their Effects on Natural Enemies)

  • 김효정;김도익;한송희;김영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193-205
    • /
    • 2023
  • 식물추출물은 작물 해충에 대해 기피, 섭식저해, 해충 효소활성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어 해충 방제제로 활용되고 있다. 응애는 원예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고, 실제 포장에서 방제 방법도 화학적 살비제를 이용하고 있지만 효과적이지 않다. 포장에서 응애 방제가 어려운 이유는 짧은 세대수, 많은 산란수와 번식력 등으로 인해 약제저항성 개체가 증가하는 것이 원인이다. 친환경자재로 님, 멀구슬, 제충국, 고삼 추출물을 함유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포장에서 살비제로 활용되고 있다. 이들 추출물은 천적에 대한 낮은 독성으로 식물추출물과 천적을 동시에 사용하여 응애의 종합 방제에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많은 이들 식물추출물의 해충 방제에 대한 리뷰가 있지만, 포장에서 효율적인 이들 추출물의 종합적인 측면에서 활용이나, 응애별 살충 스펙트럼, 반수 치사농도와 치사시간, 살충기작별로 응애 생활사에 영향을 미치는 종합적인 리뷰는 제한적이다. 본 리뷰는 이들 식물추출물을 포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한 식물추출물별 사용 가능 시기, 방법, 응애 생활사, 천적 활용 등의 종합적인 응애 방제를 목표로 하였다.

충남 태안군에서 생육중인 활엽수종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 탐색 (Exploring on the Defense Strategies against Hervivory of Broad-leaved Tree Species Growing in Taean-gun, Chuncheongnam-do)

  • 김갑태;추갑철;류동표;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9-45
    • /
    • 2012
  • 이 연구는 충청남도 태안군에 생육중인 활엽수종들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을 탐색하고자 67종의 활엽수를 대상으로 방어전략을 결정하는 잎의 형태적 특성, domatia구조, 초식곤충 및 포식응애의 서식여부를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 67종 중에서 46종(68.7%)의 활엽수가 domatia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참가시나무와 태산목 등을 비롯한 21종의 활엽수에서는 domatia 구조가 없었으며, 황매화와 서어나무를 비롯한 31종의 활엽수에서는 엽액 사이에 털이 밀생하여 공간을 만드는 tuft type domatia를 지녔고, 난티잎개암나무와 떡갈나무를 비롯한 12종의 활엽수에서는 pocket 모양구조에 털이 나있는 pocket+tuft type domatia를 지녔고, 왕벚나무와 팥배나무에서는 pocket type domatia를 지녔으며, 아왜나무에서는 pouch type domatia를 지녔음이 확인되었다. 잎 뒷면의 털을 이용한 방어전략으로 태산목에서의 밀융모, 은백양과 포도에서의 밀면모, 보리수나무에서 비늘털 밀생, 칡의 강모 밀생 등이 밝혀졌다. 화외밀선(花外蜜腺; extrafloral nectary, EFN)을 이용한 방어전략은 조사대상 중에서 23종(34.3%)의 활엽수가 이를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사례로 앵두나무, 무화과, 가막살나무 및 서어나무 등이었다. 조사 대상 중에서 40종(59.7%)의 활엽수에서 포식응애의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잎에 서식하는 응애 개체수 평균은 떡갈나무에서 23.4마리로 가장 많았다. 잎을 가해하는 미소 절지동물류는 진사진딧물, 단풍알락진딧물, 깍지벌레, 혹응애, 총채벌레등이었으며, 총 개체수는 혹응애, 깍지벌레, 진딧물, 총채벌레 순이었다. 이들의 천적으로는 포식응애, 말벌, 무당벌레류와 그 애벌레, 진딧벌 등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로 온대 활엽수종에서 상리공생을 포함한 여러 가지 방어전략이 활용되는 경우가 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기도 포천군과 경상남도 진해시 등줄쥐의 털진드기 (Acarina: Tronbiculidae) 기생상 (Trombiculid miters (Acarina: Trombiculidae) from Apodemus agrarius coreae caught at Pochun-gun, Gyeonggi Province and Chinhae-city, Kyongnam Province)

  • 이한일;백락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7권2호
    • /
    • pp.141-144
    • /
    • 1989
  • 1987년 10월부터 12월에 걸쳐 경기도 포천군 이개 부락과 경상남도 진해시 일개 부락에 서 채집한 등줄쥐(Apedemus agrariuscoreae)의 이개에 기생한 털진드기유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채집된 171필의 등줄쥐 중 58필에서 털진드기가 잡혀 기생률은 33.9%이었다. 그 중 한 종만 발견된 숙주가 27필(46.6%)로 가장 많았고, 기생 종수가 많아질수록 감소하였으며 5종이 기생하는 쥐는 2필(3.4%)뿐이었다. 총 865개체의 털진드기 유충을 동정한 결과 Leptotrombidium Pallidum (4.3%), L. palpate(23.0%), L. orientalis(20.2%), L. wetum(19.0%), Neotrombicula tamiyai (32.9%), N. japonica(0.2%) 및 Euschongastia koreaensis(0.3%)의 7종이 확인되었다. 그 중 N. tamiyai가 285개체(32.9%)로 가장 많았으나 이 종은 일개 지역에서 12월에만 집중 채집되었으므로 우리 나라 우점종은 전 조사지역과 기간에 고루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 L. palpale라 추측된다. 쭈쭈가무시병의 매개종인 L. pallidum은 37개체가 채집되어 전체의 4.3%에 불과하였다. 한 숙주에 기생하는 털진드기의 밀도는 1개체로부터 최고 207개체까지 심한 차이를 보였는데 개체마다 한 두 종이 집중 기생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긴털이리응애와 점박이응애에 대한 Fenpyroximate의 독성 비교 (Relative Toxicity of Fenpyroximate to the Predatory Mite, Amblyseius womersleyi (Acarina: Phytoseiidae) and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Acarina: Tetranychidae))

  • 백채훈;김상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66-272
    • /
    • 1996
  • 긴털이리응애와 점박이응애에 대한 fenpyroximate의 독성에 비교하기 위하여 농도별로 처리한 강남콩 엽편에 두 종의 자성충과 난을 접종하여 시험한 결과, fenpyroximate는 점박이응애보다 긴털이리응애에 대하여 독성이 매우 낮았다. 긴털이리응애 자성충은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존율이 감소하였으나 6.25~50ppm에서 58~74%가 생존하였으며, 산란수는 처리농도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점박이응애 자성충은 6.25~50ppm에서 32~40%가 잔존하였지만 모두 활동불능되었으며, 산란수도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모든 처리농도에서 긴털이리응애 난의 부화나 생존한 유.약충의 발육에는 영향이 없었다. 긴털이리응애 유.약충의 생존율은 농도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6.25~50ppm에서 16~48%가 성충으로 우화하였다. 그러나 점박이응애의 경우는 6.25~50ppm에서 성충태에 이른 개체가 전혀 없었다. 중독된 먹이를 섭식한 긴털이리응애 자성충은 생존율과 산란수 및 차세대의 성비에 실질적인 변화가 없었다. 또한 긴털이리응애에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어 아치사농도라 할 수 있는 6.25~12.5ppm의 농도는 점박이응애의 종합관리에서 긴텅이리응애와 점박이응애의 밀도비율을 조절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강화 교동면 주민과 들쥐의 쯔쯔가무시병 및 발진열에 대한 혈청역학 조사 (A Seroepidemiological survey of scrub typhus and murine typhus among residents and rodents in Kyodongmyeon, Kanghwagun)

  • 최은정;허명제;오보영;박진수;이미연;이제만;고종명;김용희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3-214
    • /
    • 2003
  • Scrub typhus and murine typhus are common endemic febrile illness in the fall in Korea. Scrub typhus is caused by Orientia tsutsugomushi, murine typhus is caused by Rickettsia typhi. Trombiculid mites are known as both the vector and the reservoir host of O tsutsugamushi, the mites which transmit O tsutsugomushi have been reported to be Leptotrombidium pallidum and L scutellare. The author carried out an epidemiological study of scrub typhus and murine typhus in Kyodong-Myeon, Kanghwa-Gun, Incheon in relation to the residents and the host rodents, such as their distribution, seroepidemiology, and population density of chigger mites. 1. Out of 900 residents, 33(3.7%) showed positive reaction to O tsutsugamushi, 24(2.7%) to R typhi. 2. In the seropositives to O tsutsugamushi or R typhi, between the sixties and the seventies of the age were dominant. 3. In the seropositives to O tsutsugamushi serotypically Gilliam was dominant. 4. Among the total 42 field rodents trapped by the sherman traps, 18 rodents were Apodemus agrarius(42.9%), 13 rodents were Crocidura lasiura(31.0%), 5 rodents were Musmusculus(11.9%), 2 rodents(4.8%) were Crocidura suaveolens, Rattus norvegicus, Tscherskia triton, respectively. 5. Out of 42 field rodents, 25 were parasitized by 4,419 chigger mites, showing 59.5% of the infestation rate and 98.8 of the chigger index. L pallidum parasitized in A agrarius, C lasiura, M musculus, R norvegicus and T triton, and L scutellare parasitized only C lasiura. 6. Antibodies in the sera of field rodents against O tsutsugamushi and R typhi were investigated by indirect immunofluorescent antibody technique. Positive rate of antibody against O tsutsugamushi were 11.9(5 of 42) and all of the positive is A agrarius. Antibody against R typhi was not detected. These results might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of scrub typhus and murine typhus in Kyodong-myeon, where the epidemiological studies on scrub typhus and murine typhus was not carried out enough.

좀진드기 교상에 의한 피부 질환의 집단 발생에 관한 역학 조사 (An Epidemiologic Study on Occupational Dermatosis Associated with Mites)

  • 임현술;김지용;정해관;성열오;이한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1호
    • /
    • pp.13-26
    • /
    • 1995
  • An outbreak of dermatosis occurred in a livestock fodder factory at Kyongju in May 1994. Authors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60 workers in the factory and a dermatologist examined their skin lesion. Authors also collected mites and identified them. The obtained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wenty-eight cases of dermatosis were identified with attack rate of 46.7%. Attack rate was not different by department, age, sex, educational level and employment duration. Attack rate was 67.5% in productive worker and 5.0% in clerical workers (p<0.01)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epartments among productive workers (p>0.05). 2. Three cases among 28 dermatosis cases and one subject among 32 non-cases had a history of same dermatosis last year. Only one of dermatosis cases had a history of dermatosis among family members. History of other skin lesion and allergy was very rare in both cases and non-cases. 3. Skin lesions of the cases were rice-sized erythematous rapules or vesicles with a central biting point. Onset date of dermatosis was between May 1 and June 10. Duration was from one day to more than 30 days. Skin lesion was most frequent at the back(75.0%), and also observed at the arms(64.3%), abdomen(60.7%), legs(57.1%), chest(32.1%) and neck (25.0%). Skin lesion was aggravated while workers are sweeping the floor(35.7%), working at the workplace(21.4%) and in bed at night(28.6%). 4. Total 1,637 mites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into 3 suborder, 7 families and 17 species. Dermatophagoides farinae was most frequent md most of the species identified were blood sucking mites. Authors concluded that the. outbreak of dermatosis was brought about by mite-bites and grain beetle parasitizing Acarophenax tribolii was the most suspected species. Further studies to identify the specific species causing dermatosis and route of import are needed.

  • PDF

호두나무와 가래나무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 탐색 (Exploring on the Defense Strategies Against Hervivory of Juglans regia and J. mandshurica)

  • 김갑태;류동표;김회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298-303
    • /
    • 2010
  • 목본식물의 초식에 대한 방어 전략을 알아보고자 호두나무와 가래나무 잎에 대하여 형태적 특성, domatia 구조와 수, 초식곤충과 응애 서식 여부 등을 관찰 조사하였다. 치악산, 청태산, 중왕산, 경기도 남양주시, 원주시에 생육 중인 개체목에서 엽시료를 채취하여 2009년 5월부터 8월까지 관찰, 조사하였다. 가래나무는 엽액 사이에 털이 밀생하여 공간을 만드는 tuft type domatia를 지녔고, 호두나무는 pocket 모양구조에 털이 나있는 pocket+tuft type domatia를 지녔음이 확인되었다. 소엽 당 domatia 평균 갯수는 호두나무는 19.6개로 나타났고, 가래나무는 28.3개/엽으로 큰 차이가 있었다. 잎 표면의 털은 호두나무의 경우에는 맥액의 domatia 구조에서만 성모가 있으나, 윗면 아랫면 모두 털이 거의 없었다. 가래나무는 잎의 윗면에는 거의 털이 없으나, 뒷면에서는 맥상에는 밀도가 높고 엽신에도 성모(stellates)와 점액질을 분비하는 선모(glandula hairs)가 많이 분포하였다. 가래나무의 선모는 매우 유용한 직접적인 방어전략이라 사료된다. 엽에서 관찰된 엽당 포식응애의 개체수는 수종 간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가래나무가 호두나무 보다 포식응애의 개체수가 많았다. 가래나무에서만 엽맥의 말단부에 소량의 단물이 분비됨을 확인하였다. 이 부분에서도 호두나무에 비하여 가래나무가 우월한 간접적 방어전략을 지녔다고 사료된다. 가래나무 잎 뒷면에 선모를 밀생시키고 있는 것은 초식에 대한 훌륭한 방어전략이라 평가되며, 재배하는 호두나무 품종개량에서 이 형질을 도입하는 것이 매우 좋은 효과를 나타낼 것이라 사료된다.

점박이응애에서 병원성 곰팡이 Neozygites floridana의 발생 (Occurrence of the Mite Pathogenic Fungus Neozygites floridana on Two 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in Korea)

  • 최선우;이공준;문영훈;서경원;강찬호;김진호;김재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465-469
    • /
    • 2016
  • 충남 논산시의 천적생산업체인 세실의 점박이응애 사육장에서 발견된 곰팡이를 조사한 결과 Neozygites floridana 1종이 동정되었다. 종 동정은 형태학적 현미경적 특징과 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곤충조직배양용 전용배지(Grace's insect tissue culture medium + 5% fetal bovine serum)에서 이 균의 생존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낭콩 군락 내에서의 감염률은 36.1%이었다. 점박이응애는 잎의 윗면보다 뒷면에 상대적으로 높게 밀집되어 있었다. 곰팡이의 감염률은 윗면보다 뒷면에서 매우 높게 나타나, 균 발생 진단을 위해서는 잎 윗면보다는 뒷면을 확인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균에 대하여 천적 생산을 위한 방제방법과 더불어 작물을 가해하는 점박이응애 방제를 위한 생물적 조절인자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