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imal erythemal dos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기상청에서 운용 중인 지역별 지표 홍반자외선(EUV-B) 복사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Erythemal Ultraviolet Irradiance operating a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홍기만;최병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23-233
    • /
    • 2006
  • We analyzed the monthly and seasonal mean of the daily Erythemal Ultraviolet-B (EUV-B, $280{\sim}320nm$) irradiance operating in Pohang, Anmyeon, Gosan, Mokpo and Kangnung with UV-Biometer (Solar Light Co., Model No. 501) at clear-sky noon during the period from 1999 to 2004. Also, we investigated the season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the UV index over the Korean Peninsula. The daily maximum occurred near solar southing time and the highest monthly accumulated EUV-B irradiance appeared in July and August at each regional observatory. The monthly mean value of the clear-sky EUV-B irradiance in Pohang, Anmyeon, Gosan, Mokpo and Kangnung showed 196.6, 161.8, 221.9, $171.5mWm^{-2}\;and\;179.7mWm^{-2}$ near noon in July respectively. The annual mean value of the daily accumulated EUV-B irradiance in Pohang, Anmyeon, Gosan, Mokpo and Kangnung were 1.8, 2.1, 2.2, $1.8kJm^{-2}\;and\;1.5kJm^{-2}$ respectively. The UV Index (UVI) showed above UVI 7(High) more than 90 days during one year over the Korean Peninsula.

PME88 멜론SOD의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광노화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PME88 MelonSOD on the Ultraviolet-Induced Photo-aging)

  • 조세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01-408
    • /
    • 2009
  • PME88 멜론(글리아딘과 결합된 식물 추출물) superoxide dismutase(SOD)의 섭취는 체내에 존재하는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및 glutathione peroxidase를 포함한 항산화 효소의 활성 및 총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이전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minimal erythema dose (MED) 값의 변화, 홍반점수의 변화, 분광비색계 측정값을 분석함으로써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광노화 억제 효과를 알아보았다. MED 값의 변화 분석에서는 PME88 멜론SOD 섭취 군에서는 시험 물질을 28일 동안 섭취한 후 MED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14일과 28일 사이에 그 유의성은 더욱 증가하였다. 홍반의 심한 정도(홍반점수) 분석에서 28일 동안 섭취 후 위약 군이 PME88 멜론SOD 투여군보다 1.25 MED의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경우 홍반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분광비색계 측정값 분석에서 0.64 MED$_{D14}$, 0.80 MED$_{D14}$, 1.0 MED$_{D14}$에서 $a^*$변수(색변화에 가장 민감한 변수, 홍반의 색조 변화를 반영)가 위약 군에서 PME88 멜론 SOD 투여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4주간의 시험기간 동안 대변에 대한 횟수나 성향의 이상 징후 및 거부반응은 없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PME88 멜론SOD의 섭취는 안전하게 UV로 인한 피부의 광노화를 억제하는데 유용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한반도 EUV-B 복사의 특성분석 및 적정 비타민D 합성을 위한 노출시간 산출 (The Radiative Characteristics of EUV-B over the Korean Peninsula and Exposure Time for Synthesizing Adequate Vitamin D)

  • 곽민경;김재환
    • 대기
    • /
    • 제21권1호
    • /
    • pp.123-130
    • /
    • 2011
  •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the radiative characteristics of erythemal ultraviolet-B (EUV-B from 1999 to 2005) over the Korean Peninsula. EUV-B measured at Gangneung, Anmyondo, Mokpo, and Gosan represents the measurements from clean areas and that at Seoul represents from a polluted area. The magnitudes of EUV-B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latitudinal decrease. Monthly mean variation of EUV-B at noon shows the maximum value of $158.5mWm^{-2}$ in August and the minimum value of $36.4mWm^{-2}$ in December in the clean areas. Seasonal mean diurnal variation of EUV-B shows a peak around noon (12:00 ~ 13:00 hr) and its intensity varies along with a season in order of summer > spring > fall > winter. The maximum value of $56.4mWm^{-2}$ in summer is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in winter ($14.3mWm^{-2}$). The value of EUV-B in the polluted area is lower than that in the clean areas, resulting from the effects of the blocking, reflection, and scattering of EUV-B due to high concentrations of PM10. UV-B is an essential element to synthesize vitamin D in human body. 200 IU(International Unite) of vitamin D can be formed by an exposure of 6-10% of body surface area to 0.5 MED(Minimal Erythemal Dose). In order to form vitamin D, the calculated exposure times to EUV-B are 15 min. in spring, 12 min. in summer, 18 min. in fall, and 37 min. in winter for the clean areas and 16, 16, 24, and 37 min. for the polluted area.

자외선 조사 피험자의 MED 측정 값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 of MED measurement Value of Trial Subjects from Ultraviolet Irradiation)

  • 석장미;박신영;최미라;안송이;김인수;김범준;박진오;정상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51-257
    • /
    • 2013
  • 본 연구는 자외선 차단지수(Sun protection Factor, SPF) 측정 시험에서 피험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정확한 시험결과를 통해 향후 자외선 조사시험의 기초 데이터 확보 및 연구자료 마련을 목적으로 하였다. 피부유형 기준표에 따라 피험자의 피부유형 I, II, III 형에 해당되는 피험자 3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색차계를 이용하여 피부색을 측정한 뒤 ITA (Individual Typology Angle) 값을 계산하고 그 값이 28 이상인 사람을 대상으로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하여 자외선을 60 s 간 조사한 후 24 h 뒤 피험자의 홍반 상태를 판정하였다. 전면에 홍반이 나타난 부위에 조사한 UVB의 광량 중 최소량을 최소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 MED)으로 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피부 유형이 높아질수록 MED 값이 증가하여 피부색이 어두워질수록 MED가 증가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MED로 여성이 남성보다 어두운 피부유형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별 MED는 피부타입별 모든 연령대에서 연관성이 없었으나 이 같은 결과를 단정 짓기에는 성별, 연령대별 피험자 수가 적어 통계적 유의성을 뒷받침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피부유형별 MED 측정값은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기 전 MED 값을 예상하여 자외선차단제의 효능 평가 시 비교, 판독을 할 수 있는 기준이 되므로 임상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