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eral leakage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9초

유·무기질 체질안료 입도 및 함량에 따른 아스팔트 매스틱 도막방수재의 누유 특성 (Oil Leakage Characteristics of Asphalt Mastic Waterproofing Membrane Coating According to Particle Size and Content of Organic/Mineral Extender)

  • 박진상;김동범;박완구;김영삼;신홍철;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1-5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아스팔트 매스틱 도막방수재를 구성하는 원료의 종류 및 함량을 조정하여 누유발생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원료와 누유발생 간 특정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아스팔트 매스틱 도막방수재의 유·무기계 체질안료인 CA(탄산칼슘)와 ASE(침강방지제) 두 개 원료를 선정하였으며, 입도 및 함량을 변수로 설정하여 배합을 통해 샘플시료를 조성하고 샘플시료별 점도 및 누유안정성(20℃, 40℃)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결과, 누유안정성 및 점도는 CA 평균입도에 반비례하며, ASE 함량에 비례하는 상관관계가 성립하는 것을 정량적으로 증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아스팔트 매스틱 도막 방수재의 누유 개선을 위한 배합 연구 시 기초 배합설계의 핵심적인 근거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고 누출 화학물질의 지하수 및 토양 환경 내 거동 및 환경 독성 특성 II: 인화성 물질을 중심으로 (Fate and Toxicity of Spilled Chemicals in Groundwater and Soil Environment II: Flammable)

  • 조은혜;신도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3권6호
    • /
    • pp.1-8
    • /
    • 2018
  • In this study, formaldehyde and benzene were selected as the arbitrary chemicals in accidental leakage to environment, and their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oxicity were studied. Also, the fate of these chemicals in soil and groundwater was studied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y can be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as gas or vapor phase, which then can be photochemically degraded. Since they have relatively high water solubility, they are likely to have high mobility in water and soil. Volatilization of these chemicals from soil is affected by the soil moisture content. Biodegradation of formaldehyde and benzene is one of the important pathways as wel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leakage accidents of flammable chemicals such as formaldehyde and benzene. Further research on the fate of flammable chemicals in the environment is needed to take appropriate response actions to leakage accidents of flammable chemicals, and thi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guidelines to cope with leakage accidents.

흐름 전위 특성을 고려한 수리시설물에서의 자연 전위 탐사 사례 고찰 (A Review on Past Cases of Self-potential Surveys for Dikes and Embankments Considering Streaming Potential)

  • 송서영;조아현;강경철;남명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6권6호
    • /
    • pp.1-17
    • /
    • 2021
  • Self-potential (SP) surveys measure naturally occurring differences in electrical potential in the absence of artificial sources and have been applied to various fields since the first application in mineral explorations. Among various causes of SP occurrences, streaming potential is generated by the flow of groundwater, and makes SP surveys suitable for the exploration of groundwater table fluctuation, fractures, sinkholes and landslide occurrences. Recently, there has been many studies that applied SP surveys to monitor water leakage through dikes and embankments. In this review paper, we first review the characteristic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of streaming potential in saturated or unsaturated porous media to introduce it in the embankment among various application field. After the review of the background theory, we review the past cases of field SP surveys on dikes and embankments and also the characteristics of field streaming potential data in the surveys. Further, by analyzing past studies of qualitative as well as quantitative interpretation of SP survey data, we show the possibility of quantitative interpretation of streaming potential data obtained on dikes and embankments. Consequently, it is hope that this review paper helps researches on SP surveys on dikes and embankments, and provides basis for interpretation methods of the SP data to identify leaked area and further leakage rate (or permeability).

대단면 지하광산 갱도내 뒷채움 작업장 가스유출 및 확산제어 통기방안 연구 (A Study on the Ventilation Schemes for Gas Leakage and Dispersion Controlling at the Backfilled Working Face in Large-Opening Underground Mine)

  • 응우엔반득;이창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8권4호
    • /
    • pp.372-386
    • /
    • 2018
  • 뒷채움한 작업장의 공기질은 채움재의 양생기간 및 이후에 걸쳐 현저히 악화된다. 복합탄산염 기반의 채움재로 뒷채움한 채굴적으로부터 장기간에 걸친 NH3 및 CO2의 유출은 작업공간 내부에서 뿐만 아니라 지표상에서도 관찰된다. 가행광산에서는 가스의 유출은 작업환경을 급격히 악화시키므로 오염된 공간을 희석 시키기 위한 충분한 양의 통기량의 공급, 그리고 유해 가스 유출과 확산을 제어하기 위한 통기방안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채움공간내 가스제어를 위한 압력균형 통기기술의 적용성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CO_2$ 지중저장 주입정에서의 $CO_2-H_2O$-시멘트 반응 운송 모델링 (Reactive transport modeling of the $CO_2-H_2O$-cement reaction in a $CO_2$ injection well for $CO_2$ geological storage)

  • 조민기;채기탁;최병영;유순영;김태희;김정찬
    • 지질공학
    • /
    • 제20권4호
    • /
    • pp.359-370
    • /
    • 2010
  • $CO_2$ 지중저장에서는 대량의 $CO_2$를 장기간 안전하게 저장하여야하기 때문에 $CO_2$ 누출이 발생할 경우 $CO_2$ 지중저장의 목적이 달성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주변지역으로 $CO_2$가 확산되어 보건환경/생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CO_2$ 주입시 주입정을 통한 누출의 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관정 시멘트에 crack이 발생하였다는 가정 하에 crack으로 $CO_2$가 누출될 경우 $CO_2-H_2O$-시멘트 간에 발생할 수 있는 화학 반응을 지구화학 모델링을 통하여 예측하였다. 모델링 결과 $CO_2$-plume이 진행됨에 따라 시멘트 페이스트를 구성하는 portlandite와 CSH(Calcium Silicate Hydrate)가 용해되고, 2차적으로 CSH의 침전과 calcite의 침전이 발생하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약 3년 후에는 침전물의 대부분을 calcite가 차지하고 약 30년까지 침전물의 대부분을 이루게 된다. 본 연구 결과는 $CO_2$ 누출 시 주입관정 내 시멘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학적인 변화를 이해하고, 반응 모델은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시멘트 관련 연구개발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채널 지표토양 CO2 농도 모니터링(SCM) 시스템 개발 및 적용성 평가 연구 (Applicability of the Multi-Channel Surface-soil CO2-concentration Monitoring (SCM) System as a Surface Soil CO2 Monitoring Tool)

  • 성기성;유순영;최병영;박진영;한래희;김정찬;박권규;채기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0권1호
    • /
    • pp.41-55
    • /
    • 2015
  • Monitoring of $CO_2$ release through the ground surface is essential to confirm the safety of carbon storage projects. We conducted a feasibility study of the multi-channel surface-soil $CO_2$-concentration monitoring (SCM) system as a soil $CO_2$ monitoring tool with a small scale injection test. The background concentrations showed the distinct diurnal variation. The negative relation of $CO_2$ with temperature and the low $CO_2$ concentrations during the day imply that surface-soil $CO_2$ depends on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After 4.2 kg of $CO_2$ injection (1 m depth for 29 minutes), surface-soil $CO_2$ concentrations increased in the all five chambers, which were located less than 2.8 m of distance from each other. The $CO_2$ concentrations seem to be recovered to the background around 4 hours after the injection ended. To determine the leakage, the data from Chamber 2 and 5 with low increase rat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30 minutes ($CV_{30min}$.) is efficient to determine a leakage signal, with reflecting the fast change in $CO_2$ concentrations. Consequently, SCM and $CV_{30min}$ could be applied for an efficient monitoring tool to detect $CO_2$ release through the ground surface. Also, this study provides ideas for establishing action steps after leakage detection.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and interpretation considering excavation effects for the detection of loose ground in urban area

  • Seo Young Song;Bitnarae Kim;Ahyun Cho;Juyeon Jeong;Dongkweon Lee;Myung Jin Nam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5권2호
    • /
    • pp.109-119
    • /
    • 2023
  • Ground subsidence in urban areas due to excessive development and degraded underground facilities is a serious problem. Geophysical surveys have been conducted to estimate the distribution and scale of cavities and subsidence. In this study, electrical resistivity tomography (ERT) was performed near an area of road subsidence in an urban area. The subsidence arose due to groundwater leakage that carried soil into a neighboring excavation site. The ERT survey line was located between the main subsidence area and an excavation site. Because ERT data are affected by rapid topographic changes and surrounding structures, the influence of the excavation site on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field-scale numerical modeling. The effect of an excava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interpreting ERT data because it can lead to wrong anomalous results. A method for performing 2D inversion after correcting resistivity data for the effect of the excavation site was proposed. This method was initially tested using a field-scale numerical model that included the excavation site and subsurface anomaly, which was a loosened zone, and was then applied to field data. In addition, ERT data were interpreted using an existing in-house 3D algorithm, which considered the effect of excavation sites. The inversion results demonstrated that conductive anomalies in the loosened zone were greater compared to the inversion that did not consider the effects of excavation.

취약대가 존재하는 제방의 누수 탐지를 위한 전기비저항 탐사의 적용성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to Detect the Leakage of Embankment with Weak Zone)

  • 박삼규;김재홍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5-13
    • /
    • 2013
  • 댐 및 저수지 제방의 누수현상은 통관 주변에서 주로 일어나며 평상 시에는 제방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호우나 장마철과 같이 저수지 수위가 상승하면 제방의 붕괴 위험을 가져온다. 따라서 이러한 수맥과 경로를 조사하는 것은 재해 예방과 제방 관리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적인 방법과 실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통관이 취약대로 작용하는 댐 및 제방에서의 누수현상을 분석하였다. 누수탐지에는 전기비저항 탐사를 사용하여 그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수치해석의 결과에서는 취약대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전극 간격의 설정이 중요함을 보여주었고, 모형제방의 누수실험에서는 전극간격을 0.3m로 쌍극자 배열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누수현상의 분석을 통하여 댐 및 제방시설물의 누수탐지에 전기 비저항 탐사가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사력댐 누수경로 파악을 위한 수리지질과 지구물리 방법의 적용 (Application of hydrogeological and geophysical methods to delineate leakage pathways in an earth fill dam)

  • 송성호;송윤호;권병두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8권1호
    • /
    • pp.92-96
    • /
    • 2005
  • 한반도 남서쪽에 위치한 산동저수지에 대하여 저수지 누수문제 파악을 위해 다양한 수리지질학적 방법과 지구물리 방법이 적용되었다. 이 연구에서 적용한 방법은 추적자 시험, 배수에 따른 시추공 수위 변화 및 누수량 변화 측정, 쌍극자배열 전기비저항탐사, 온도 검층 및 자연전위법 등이다. 수리지질학적 방법 적용 결과 누수형태는 댐체 측벽부를 통한 누수로 밝혀졌으며, 지구물리 방법 적용 결과 이러한 누수구간 및 누수로가 확인되었다. 또한 연구결과로서 지구물리방법 중 전기비저항탐사는 누수구간 규명에 효과적이며, 유동전위를 대상으로 한 자연전위법은 누수 지점 및 누수 유로 확인에 매우 높은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자연번위법 적용 결과 누수가 합쳐져 유출되는 지점 근처에서 측정된 자연전위가 상대적으로 강한 음의 값을 나타냄에 따라 누수량의 증가와 자연전위값의 변화는 상관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저수지의 유지관리를 위한 전기비저항모니터링 기법 응용 (Application of Electrical Resistivity Monitoring Technique to Maintenance of Embankments)

  • 박삼규;김정호;서구원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8권2호
    • /
    • pp.177-183
    • /
    • 2005
  • 이 논문에서는 수리시설물을 효율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하여 저수지 제체에 계측 시스템을 설치하고, 전기비저항, 수위, 간극수압 및 지중변위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제체의 누수현상 및 안정성 평가를 시도하였다. 저수지 제체의 댐마루에 설치된 전기비저항 측정 시스템으로부터 측정한 각 단계별 전기비저항의 변화영상을 구하고, 변화추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누수현상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고, 수위, 간극수압 및 지중변위량의 자료를 종합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제체의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종래의 일시적으로 실시한 전기비저항탐사 결과로부터 누수현상을 파악하는 것보다 전기비저항 등 모니터링 계측시스템을 설치하여 운용하는 것이 수리시설물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한 방법임을 알았다.